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영역
한계
분야
테두리
경계
한도
범주
d라이브러리
"
범위
"(으)로 총 2,789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동 컴퓨팅의 세계
과학동아
l
1994년 04호
통신을 가능케 하는 중추이기 때문에 반드시 논의돼야 한다. 워낙 무선통신 기술의
범위
가 넓고, 또 난해하므로 간략히 몇가지만 이야기해 보자.무선통신의 환경은 우리들이 요즘 사용하는 이동전화가 운용되는 셀룰러 환경, IBM과 모토로라가 합작 운용하는 Ardis 네트워크가 사용되는 라디오(radio) ... ...
인체는 다양한 카오스 실험실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찾아냈을 때 컴퓨터 화면이 보여준 기상계의 행동은 한없이 복잡한 궤도가 일정한
범위
에 머무르면서 서로 교차되거나 반복됨이 없이 나비의 날개모양을 끝없이 그려내고 있었다. 혼돈을 나타내는 이 그림은 놀랍게도 일정한 모양새를 갖고 있었다. 혼돈(불규칙성) 속에 모양(규칙성)이 숨어 있었던 ... ...
미생물 이용, 환경오염 막는다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부유물질(SS)을 제거해 투명한 처리수를 얻는 것 ② 질소나 인 등의 영양염류를 가능한
범위
에서 제거하는 것 ③ 발생하는 슬러지(오니) 양을 감소시키는 것 ④ 가능한 한 유익한 물질을 자원으로 회수하는 것 등이 일컬어지고 있다. 생물처리의 종류는 (표 1)과 같다. 이들은 각각 미생물의 대사반응 ... ...
4. 극저온·초고온에 견디는 신소재를 찾아라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알루미늄 합금 다음으로 많이 사용된다.티탄합금은 고온에서 극저온까지 넓은 온도
범위
에서 견딜 수 있기 때문에 로켓뿐만 아니라 항공기 원자력잠수함에 이르기까지 여러 분야에 이용된다. 그러나 알루미늄 합금보다 비싸고 가공성도 좋지 않아 소형 모터케이스, 고압 헬륨가스 저장기, 2단 자세 ... ...
2. 기형아치료 새 생물 창조 등 의학 육종학의 새 전기 마련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앞으로는 발생과정중에 돌연변이가 생긴 새로운 개체를 다량 얻어낼 전망이다.응용
범위
넓은 인위적 돌연변이발생과정중 이상이 생긴 돌연변이들은 정상발생과정에 대한 새로운 정보를 가져다 줄 뿐만 아니라 발생과정을 인위적으로 조작해 새로운 생물을 창조할 수 있는 아이디어를 제공한다. ... ...
3. 1996년 2단 중형 로켓발사의 디딤돌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최소화했다.과학 1·2호는 발사각과 무게중심 조종용 하중에 따라 최대고도 35-75km의
범위
내에서 측정 임무에 따라 조종하여 발사하도록 설계됐다. 이중1호는 로켓의 성능시험과 1차 오존층탐사에 목적을 두고 있으며 발사각 66.6도로 발사됐다. 이에 따라 최대성능의 약 60% 정도인 39.0km까지 도달해 약 ... ...
물리- 번개와 천둥은 빛과 소리의 속도 차이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소리 등등. 그러나 모든 종류의 음을 들을 수 있는 것은 아니다.우리가 들을 수 있는
범위
에 있는 음은 진동수가 약 20에서 2만번까지의 음으로 이것이 가청진동수이다. 진동수가 2만번이 넘어서 우리가 들을 수 없는 음을 초음파라고 한다. 우리 인간들은 그것을 들을 수 없지만 박쥐는 초음파를 ... ...
세계 각국의 진기한 연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망가지거나 실이 끊어지기 쉽다. 연의 종류와 재질에 따라 연을 날릴 수 있는 풍력의
범위
가 있다. 일반적으로 종이연의 경우 초속 2-6m의 풍속이 적당하며 천과 플라스틱에 합성수지의 대를 사용하더라도 천둥 치는 장마철이나 초속 14m 이상의 강풍에서는 날리면 안된다. 연을 날리는 사람들 ... ...
(1) 컴퓨터로 인간 5감(五感)입력 가상공간을 현실로 느낀다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만은 아닌 미래VR기술이 주목받기 시작한 배경에는 기술적 진보와 함께 이 분야의 응용
범위
가 대단히 넓다는데 있다. 그리고 앞으로의 발전 정도에 따라 공상이 아닌 현실로 우리의 생활에 큰 변화를 일으킬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그러나 간과해서는 안될 것이 있다. VR기술의 현재 기술은 아직 시작 ... ...
세포의 주소·운명·개성·목적 결정하는 '형태 조성지시유전자'발견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유전자들의 역할을 명확히 밝히지 못하고 있다. 아마도 다른 세개의 유전자들은 그 작용
범위
가 더 제한되어 성(性)세포와 같은 특정한 영역에서만 작동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이제는 소닉 고슴도치 단백질의 작용 방식을 이해하려는 도전이 이루어지고 있다. 세포들에서 분비된 그것이 세포들로 ... ...
이전
205
206
207
208
209
210
211
212
2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