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줄
라인
철사
덕
케이블
전선
line
d라이브러리
"
선
"(으)로 총 3,430건 검색되었습니다.
형제자매 해치는 동물들의 기막힌 사연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자신의 새끼를 많이 남길 수 있다. 즉 자신의 유전자를 좀더 많이 퍼뜨리는 쪽을
선
택하는 셈이다.먹이를 충분히 확보해 한마리라도 더 살아남기 위해, 다른 동물보다는 동족의 먹이가 돼 번식에 기여하기 위해, 자신의 자손을 많이 남기기 위해 동물들은 동족 간에 서로를 죽인다. 하지만 지금까지는 ... ...
신경세포가 그리는 초상화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입체영상 등이 그 예들입니다. 그러나 MEART의 작품은 그 자체가 과학연구의 연장
선
에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습니다. 과학자들은 신경세포들이 어떻게 서로 전기신호를 주고받는지, 어떤 지역에서 더 강한 신호가 발생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그림을 그리는 로봇 팔을 세포들과 연결한 것입니다 ... ...
붉은별 화성이 다가온다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화성에 운하가 있다고 착각할 만큼 표면에는 붉은 배경에 밝고 어두운 부분과
선
들이 존재한다. 화성의 표면은 숙련된 관측가들에게 꽤 많은 지형들을 보여준다. 화성 표면의 대협곡이나 높은 산 등은 표면에 어두운 흐릿한 부분으로 나타난다. 이들은 초보자도 확인할 수 있는 가장 확연한 특징이다 ... ...
롱다리·똘똘이 유전자의 허황된 약속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있다. 생명과학의 이런 부작용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연구가 바로 ELSI다.미국 등 생명과학
선
진국에서는 이 문제에 대한 대응책을 모색하기 위해 인간게놈프로젝트의 일환으로 1990년부터 ELSI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미 국립보건원(NIH)과 에너지성(DOE)은 각각 연구비 총액의 5%와 3%를 할애해 ... ...
전설의 섬 이어도에 우뚝
선
과학기지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심재설 박사(연안공학)는 이어도 해양과학기지 건설의 산 증인이자 한국을 해양
선
진국으로 끌어올린 인물이다. 설계부터 완공까지 그의 손때가 묻지 않은 곳이 없다. 심 박사는 얼마 전 국립해양조사원에 요청해 국내 해도에도 이곳을 암초가 아닌 ‘이어도’로 표기하도록 했다.심 박사는 ... ...
쌍둥이 로버 화성으로 향하다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방법의 하나 러시아의 화학자 F K 바일슈타인이 고안하여 이렇게 명명되었다구리
선
을 분젠버너로 가열한 다음 여기에 미량의 시료를 붙여 다시 분젠버너 하부의 산화불꽃[酸化炎]으로 가열하면 청색 또는 청록색의 불꽃반응이 일어나므로 할로겐의 검출이 가능하다 기판 위에 구성된 회로소자와 그 ... ...
빛 속에 숨은 여러가지 색깔 찾기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6백여 개의
선
이 그어져 있는 것과 같다. 이와 같은 CD 표면에 평행으로 들어온 빛들은
선
이 그어진 곳과 그렇지 않은 곳에서 일부 흡수, 산란 또는 투과된다.이때 좁은 틈을 통과한 빛은 그대로 직진하지 않고 좁은 틈이 파원이 되어 여러 각도로 퍼져 나가게 된다. 이런 현상을 빛의 회절이라 한다. ... ...
신의 입자 검출하려는 노력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세 사람에 의해 재발견되었다 북아메리카 대륙의 서쪽, 멘도시노곶〔串〕에서 북위 40°
선
을 따라 약 3,000km 이어져 있는 캘리포니아 북부의 단열대 동부는 하나의 산맥으로 이루어지고 남쪽은 남쪽으로 면한 멘도시노 해저애(海底崖)를 따라 북쪽보다 1,000m 이상 깊다서부는 두개의 산맥이 가파른 ... ...
수박 자르지 않고 맛을 알아낸다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신
선
도는 큰 의미가 없다. 물론 이런 과일도 너무 오래 두면 상하므로 주의해야 한다.신
선
도와 상관없이 사과의 경우는 잘라 놓으면 곧바로 색이 변한다. 이는 산화효소에 의해 사과 내부에 들어 있는 폴리페놀이 산화돼 색깔이 생기는 현상이다. 산화효소가 활성화되지 않도록 해주면 변색을 막을 ... ...
터널 화재 당신이라면 어디로?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화재 진압장비가 개발되고 있다. 가장 대표적인 것이 물 분무(water mist).중앙대 유홍
선
교수(기계공학과)는 “물방울을 작게 하면 냉각시키는 표면적이 넓어져 더 많은 양의 물이 열과 접촉할 수 있고, 기화가 잘되기 때문에 이때 불의 열을 빼앗아간다”고 설명했다. 물 분무 시스템 제작사인 독일 ... ...
이전
205
206
207
208
209
210
211
212
2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