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용
응용
적용
활용
용도
소비
개발
d라이브러리
"
이용
"(으)로 총 15,132건 검색되었습니다.
텔레그램에 숨은 범죄자를 어떻게 찾아내나
과학동아
l
2020년 05호
메신저와 암호화폐를
이용
하는 등 인터넷 시대의 축복인 정보기술(IT)을 범죄에 악랄하게
이용
하면서 이를 막을 보안기술과 추적기술에 관심이 커졌다. 첨단 정보기술 뒤에 숨은 성범죄자들을 기술적으로 어디까지 발본색원할 수 있을까 ... ...
지상망원경
과학동아
l
2020년 05호
안테나 수십~수백 개를 군집 형으로 배열(array)하는 전파간섭계 기술을
이용
하는 추세다. 전파망원경 여러 대로 하나의 거대한 전파망원경 효과를 내기 위해서다. 가령 1km 떨어진 전파망원경 두 기를 연결하면 구경이 1km인 전파망원경과 같은 분해능을 갖는다. 이런 가상 망원경을 초장기선 ... ...
제임스 J. 복 스피어x 총책임자 "최초의 은하 찾겠다" [한글 번역본]
과학동아
l
2020년 05호
위해 한국 천문학자들을 포함해 전 세계 천문학자들과 워크숍을 열었고, 공공 데이터를
이용
하기 위해 이들이 개발한 다양한 아이디어에 깊은 인상을 받았다. Q. There are total of 13 institutions participating in the project. And KASI is the only Korean institution ...
[스쿨리포트 A+] 생활에서 궁금증 찾아 해결하기
과학동아
l
2020년 05호
기록하면 관찰 결과가 왜곡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를 위해 필기도구나 전자기기를
이용
해 메모하는 습관을 들여야 합니다. 범죄 영화 등에서 각종 단서를 메모지에 적어 벽면 가득히 붙여 놓은 장면을 본 적이 있을 겁니다. 주인공은 실시간으로 작성했던 메모의 위치나 배치를 바꿔가면서 문제 ... ...
[과학뉴스] 회색물범이 박수를 치는 이유는?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5호
표면을 세게 쳐서 소리를 만들기도 해요. 그런데 신기하게도 회색물범은 두 지느러미를
이용
해 박수를 쳤어요. 사실 이런 움직임은 물의 저항 때문에 물속에서 하기 힘든 동작이랍니다.연구원들은 회색물범의 박수는 번식기에 암컷에게 자신을 과시하거나 경쟁자인 다른 수컷 회색물범에게 ... ...
[통합과학 교과서] 범인 호랑이를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5호
구부리는 용도지요. 머리카락의 주성분인 케라틴 단백질이 구부러지는 성질을
이용
한 거예요. 케라틴 단백질은 습도가 높으면 모양이 쉽게 변하므로 머리카락이 약간 젖었을 때 헤어롤을 말고 머리카락을 말리면 훨씬 효과가 좋습니다. 매일 헤어롤을 마는 것이 귀찮다면 파마를 하면 돼요. ... ...
[보드게임] 비법서 개발 정보 모으기
수학동아
l
2020년 05호
왓?의 메커니즘을 분석한 결과, 이 게임은 ‘경우의 수’와 ‘확률’의 기본 성질을
이용
한다. 전체 마법의 돌의 수가 정해져 있고 다른 사람의 마법의 돌을 볼 수 있어, 내가 가지고 있을 확률이 높은 마법의 돌을 예상할 수 있다. 마법의 돌의 번호와 개수가 같아서 직관적이고 게임의 균형도 잘 ... ...
[매스크래프트] #5. 퓨처랜드 놀이공원, 줄 서는 시간을 줄일 수 있을까?
수학동아
l
2020년 05호
따라 조금씩 달라지기 때문에 딱 잘라 답할 수 없습니다. 이럴 때 ‘확률 분포’를
이용
하면 대략적으로 예측할 수 있죠. 주사위를 던져서 나올 수 있는 수의 확률 분포를 구하려 하면, 먼저 주사위를 던져서 나올 수 있는 수를 먼저 확인해야 합니다. 정육면체 주사위를 던져서 나올 수 있는 수는 1, ... ...
보기 좋은 통계가 이해하기도 쉽다! 제22회 전국학생통계활용대회
수학동아
l
2020년 05호
대응 계획을 세워 발표하기 때문입니다. 이때 수많은 데이터를 다양한 통계 기법을
이용
해 빠르게 분석합니다.데이터 분석만큼이나 각종 분석 자료를 보기 좋게 정리해 대중에게 전달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코로나19의 상황을 보여주는 아래 데이터를 한번 볼까요? 둘 다 국내 코로나19 발생 현황을 ... ...
[한페이지 뉴스] 피부세포를 시각세포로! 눈 먼 쥐 눈 떴다
과학동아
l
2020년 05호
이 피부세포를 환자에게 이식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연구팀은 유도만능줄기세포를
이용
하지 않고, 직접 망막 주변에 있는 피부세포에 광수용체 유도물질을 주입해 시력을 회복시키는 기술을 고안했다.안구에는 색상을 구분하는 원추세포의 광수용체와 명암을 구분하는 간상세포의 광수용체가 ... ...
이전
205
206
207
208
209
210
211
212
2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