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용
수요
사용
필수
필요경비
경비
필요사무
d라이브러리
"
필요
"(으)로 총 13,784건 검색되었습니다.
기후변화에 무관심한 정부 우리가 빼앗길 미래는?
수학동아
l
2020년 07호
말했다. 그 3분의 1에 인간이 없으리라는 보장은 없다. 이제는 정말 ‘살기 위한’ 정책이
필요
할 때다. 용어정리* 증발산량 : 강수량과 물이 대기로 증발하거나 증발해 흩어진 양 ... ...
대한민국 청소년, 우리는 잠이
필요
해!
수학동아
l
2020년 07호
때 잠이 해결법을 알려줄지도 모릅니다.”라고 말했어. 성장기의 잠이 단순히 성장에
필요
한 에너지만 보충하는 것이 아니라 문제 해결력과 통찰력에도 영향을 준다는 거야. 놀랍지 않니? 그러니 청소년 인간인 너희도 질 좋은 잠을 충분히 자야만 해! 뭐? 그럴 수 없다고? 2019년 3월 15일 ... ...
[매스크래프트] #7. 네덜란드 풍차, 우정을 그래프로 표현하면?
수학동아
l
2020년 07호
많으면 자신의 정체를 들킬 수 있어요. 하지만 둘 다 동시에 아는 친구가 하나도 없으면
필요
한 정보를 전해주는 것이 불가능하죠. 함께 아는 친구가 단 한 명이면 좋겠죠? 이럴 때 풍차 그래프를 이용해 스파이를 투입할 수 있어요. 김재훈 KAIST 수리과학과 교수는 풍차 그래프가 유용하게 쓰이는 ... ...
[오쌤의 수학공부법] 내게 맞는 수학 문제집은?
수학동아
l
2020년 07호
거의 이해하지 못하는 학생 이 친구들은 문제집이
필요
없습니다. 대신 특별한 노력이
필요
합니다. 수업을 이해하지 못한다는 것은 기초가 부족하다는 뜻인데요, 제 경험상 수업을 따라가기 어려운 친구들이 혼자서 문제집을 풀다 보면 자신감만 떨어지고 수학을 완전히 놓아버리는 경우가 종종 ... ...
[퍼즐라이프] 꼭꼭 접어라, 전개도가 보일라!
수학동아
l
2020년 07호
정육면체를 만들 수 있습니다. 단 모든 면을 채색면으로 만들려면 정사각형이 최소 8개
필요
하므로 남은 종이는 둘로 나뉘지 않도록 적당히 잘라야 하죠. 그 예로 정중앙에 있는 정사각형을 잘라낸 ‘ㅁ’자 모양의 종이로 정육면체를 만드는 방법을 소개했는데, 이 방법이 생각보다 만만치 않고 ... ...
1981년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 20세기 흑사병’에서 만성질환으로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치료에 사용되기도 했다. 칼레트라는 HIV의 증식에
필요
한 단백질 분해 효소를 억제하는데 같은 방식으로 사스코로나바이러스-2에도 작용하기 때문이다 ... ...
B림프구...항체 생산하는 면역의 종결자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항원을 인식하고 이에 대응할 항체를 만들어내는데, 이렇게 대응하기까지 일정 시간이
필요
하다. 그래서 면역세포가 미리 항원을 경험하고 이에 대항할 항체를 체내에 만들어놓을 수 있도록 준비시키는 게 백신이다. 유사한 항원이 체내에 침입하면 면역세포가 곧바로 면역반응을 일으켜 항체를 ... ...
1996년 면역세포가 ‘남’을 구분하는 원리를 밝히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인식하고 파괴하려면 바이러스 항원뿐만 아니라 자신의 주조직 적합성 복합체(MHC)도
필요
하다는 걸 의미했다. T림프구의 킬러 본능은 자신 안에서만 발휘되는 셈이다. 면역세포가 작동하려면 자신과 외부 물질을 동시에 인식해야 한다는 이들의 발견은 면역시스템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가져왔다 ... ...
DNA&RNA 백신_코로나19 백신 Covid-19-vaccine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최종 물질인 단백질은 DNA를 바탕으로 만들어진다. DNA로부터 단백질이 만들어지는 데
필요
한 중간물질이 RNA다.DNA 백신은 항원 단백질을 발현하는 DNA의 염기서열을 이용해 제작한다. 이때 인체에 DNA만 주입하면 정상적으로 단백질이 발현되지 않기 때문에 DNA가 인간 세포에서도 발현될 수 있는 ... ...
Chapter 07. 치료제┃인간 지킬 유일한 방패, 백신항바이러스제 개발의 꿈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돌연변이라는 강력한 무기를 장착한 바이러스가 대부분 승리를 거뒀다. 하지만 비관할
필요
는 없다. 인류도 1962년 최초로 항바이러스제를 개발한 이후 항바이러스제 후보물질을 재빠르게 찾아낼 방법을 확보하는 등 새로운 바이러스에 맞서 싸울 준비태세를 하나씩 갖추고 있다. 점점 더 ... ...
이전
205
206
207
208
209
210
211
212
2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