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요점
중심
알맹이
정수
중앙
중추
중점
d라이브러리
"
핵심
"(으)로 총 3,110건 검색되었습니다.
① 인간과 정보의 경계 허무는 인터페이스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LCD 분야에서도 우리나라가 세계 1위의 위치를 굳히고 있기 때문에 산학연 연계를 통한
핵심
기술을 키워나가면서 앞으로도 지속적인 우위를 지켜야 한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40인치급 이상의 HDTV용 LCD와 70인치급 HDTV용 PDP의 개발과 실용화를 성공리에 수행해낸다는 목표를 세우고 있다.두번째 ... ...
이라크전에 등장 예고된 전자기파 펄스 무기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것으로 점쳐지고 있다. 미 정보국의 보고서에 따르면 이라크는 대량살상무기를 비롯한
핵심
무기를 병원과 같은 민간건물 지하나 요새화된 지하기지에 숨겨놓았을 가능성이 높다고 한다. 따라서 영화에서처럼 사람을 죽이지 않고 목표물을 무력화하는 정밀한 비살상무기가 필요하다. 바로 이 역할을 ... ...
② 복제는 불임의 유일한 대안인가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그러나 고등동물의 처녀생식은 그 누구도 상상하지 못했던 일이다.처녀생식 방법의
핵심
은 난자에 정자가 들어간 것처럼 속임수를 써 배아를 만드는 것이다. 난자(n)는 난모세포(2n)가 염색체 수를 절반으로 줄이는 감수분열을 통해 극체(n)와 함께 만들어진다. 감수분열 중 세포가 난자와 극체로 ... ...
반도체 나노소재기술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트랜지스터를 들 수 있다. 단 한개의 전자로 연산작용을 할 수 있는 단전자 트랜지스터는
핵심
동작 부분이 수-수십nm 정도다. 현재 60개의 탄소로 이뤄진 축구공 모양의 풀러렌(탄소공)을 이용해 1nm급의 단전자 트랜지스터가 개발된 정도다. 물론 아직까지 단전자 트랜지스터는 극저온에서만 ... ...
분뇨에서 노다지 캐는 환경공학자 박완철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물론 박 박사는 연구 초기에 미생물 분야에 대해서 문외한이었다. 하지만 문제 해결의
핵심
에 미생물이 있다는 사실을 깨닫고는 두꺼운 영어책들을 쌓아놓고 무작정 독학을 시작했다. 확실한 감을 잡을 때까지 이론 공부에 매달리느라 밤을 지새우는 일이 많았다.7년 간 각고의 노력 끝에 찾은 ... ...
'사이언스' 선정 2002년 최고 과학 이슈는 소형 RNA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아미노산을 운반하는 것으로 파악된 것이다.그러나 새로운 연구는 크기가 작은 RNA들이
핵심
적인 역할을 맡고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이들은 특정 유전자를 작동·중지시키며 DNA 중의 일부분을 제거할 수도 있다. 이런 연구 성과는 유전자 돌연변이 때문에 생기는 암 같은 질병 퇴치 연구에 새로운 ... ...
1 생명 현상 조절의 실체 단백질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발전(자세한 내용은 76쪽 참고)이다. 생명공학의 많은 전문가가 프로테오믹스의
핵심
기술로 꼽는 것들이다.현재의 프로테오믹스는 크게 2분야로 나눌 수 있다. 먼저 단백질에 대한 총체적 연구를 집약하려는 노력이다. 단백질의 성숙과정이나 변형과정, 단백질 간의 상호관계, 세포에 따른 특정 ... ...
2003년 생활 변화시킬 IT제품 퍼레이드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아쉽다.크기 : 40.5mm×51mm×22mm 무게 : 37g가격 : 6천엔(6만원대)▲미놀타 Dimage X이 제품의
핵심
은 2cm의 얇은 두께에 있다. 렌즈를 수직으로 카메라 본체 속에 내장시켰기 때문에 3배줌이지만 렌즈코가 없다. 이를 이너줌이라 부른다. 디지털카메라이기에 가능했지만 누구도 생각지 못했던 재미있는 ... ...
3 단백질 네트워크의 총괄 책임자 허브 분자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연관된 네트워크의 원리를 파악해 질병 진단에 대한 아이디어와 미래의 신약 개발의
핵심
대상을 찾겠다는 전략이다.효모가 전해준 결정적 힌트단백질 사이의 네트워크는 어떻게 알아낼까. 이를 밝히기 위해서는 단백질 사이의 결합을 실험적으로 확인해야 한다. 이미 30여년 전부터 어떤 분자에 ... ...
1 우리 위성 쏘아올릴 액체로켓 발사 성공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로켓 KSR-Ⅲ는 성공적으로 비행했다. 이로써 우리나라는 우주발사체의 독자개발에 필요한
핵심
기술을 확보하게 됐다. 또한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의 연구원들과 관련 산업체의 과학기술자들은 2005년 국산 우주발사체 개발에도 성공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온국민에게 보여주었다.2005년에 발사될 ... ...
이전
205
206
207
208
209
210
211
212
2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