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건축
구축
공사
건조
건립
설계
가설
뉴스
"
건설
"(으)로 총 2,278건 검색되었습니다.
첨단 융복합 기술의 첨병으로 불리는 3대 기계기술
2014.10.24
생산할 수 있는 규모다. 박성환 기계연 시스템신뢰성연구실 책임연구원은 “육상 발전소
건설
에 필요한 시간과 공간 문제를 한번에 해결할 수 있어 전력 위기 상황에 탄력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재종 나노융합기계연구본부장팀은 기존 바이오칩의 성능을 높이기 위해 ... ...
작은 대학 도시가 일으킨 ‘스웨덴 성공 스토리’
2014.10.24
소도시의 장점을 십분 활용해 SVS를 도심에 조성할 수 있다는 점도 매력적이다. SVS
건설
책임자인 울리카 린드마르크 대표는 “룬드 시 중심에서 SVS까지 5km에 불과하다”며 “SVS가 룬드라는 작은 도시를 세계 최고의 과학 도시로 탈바꿈시킬 원동력”이라고 말했다. 콜린 칼라인 SVS 특별고문은 ... ...
KAIST, 국내 첫 ‘재난학연구소’ 설립
2014.10.22
22일 KAIST에 설립한 ‘재난학연구소’ 개소식에서 박희경 소장이 연구소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 KAIST 제공 KAIST가 22일 국내 첫 ‘재난학연구소’ 개소식을 개최 ... 등에 중점을 두고 방재 및 안전연구를 수행할 계획이다. 초대 소장은 박희경 KAIST
건설
및환경공학과 교수가 맡았다. ... ...
[2014 국정감사] 출연연 연구원, 미사용 휴가 돈으로 환산하니…
2014.10.13
민 의원은 “큐슈대는 공대를 다른 지역으로 이전할 때 최적의 실험실을 설계하기 위해
건설
단계부터 실험자와 연구자와 함께 하며 의견을 적극 반영했다”며 “일본에서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가 10명이나 나온 것은 바로 이런 환경이 있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 ...
[국정감사 2014]과학계 낙하산 인사 여전…49명 평균연봉 9078만 원
2014.10.09
현 미래부 고위공무원 출신이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은 방송통신위원회 출신 2명, 한국
건설
기술연구원은 국토교통부 출신 2명이 근무하고 있다. 농업계도 마찬가지. 농촌진흥청 역시 퇴직 공무원의 상당수를 산하 기관인 해외농업기술센터(KOPIA) 소장 등으로 파견하고 있다. 국회 ... ...
더 튼튼하고 더 친환경적인 시멘트 나왔다
2014.09.29
“내성이 강하다는 점에서 이 시멘트가 다양한 분야에 쓰일 수 있을 것”이라며 “
건설
현장에 쓰일 수 있는 수준으로 발전시키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 ...
“싱크홀 탐사 레이더와 로봇 적극적으로 개발해야”
2014.09.24
관이 파손돼 생겼다. 김 실장은 “앞으로 지하 공간에 교통이나 인프라 시설을 계속
건설
하며 싱크홀은 더욱 증가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국가과학기술연구회는 24일 안전포럼을 열었다. -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제공 이 자리에서는 미국의 사례를 참고한 싱크홀 대응책도 논의됐다. 미국은 ... ...
몽골에 한국 하늘 감시하는 ‘매의 눈’ 설치
2014.09.23
이같은 시설을 설치할 계획이다. 이후에는 지구 남반구 2개 지점에 동일 시설을 추가로
건설
한다. 천문연 관계자는 “우주감시 네트워크는 올해 5월 수립된 ‘우주위험대비계획’의 일환으로 추진되고 있다”며 “관측시스템이 늘어날수록 인공위성이나 운석 추락 등 우주 물체의 경로를 ... ...
떨어지고, 사장되고…못 쓰는 아이디어 살려드립니다
2014.09.19
고배를 마셨다. 권 씨의 아이디어는 어디에나 쓸 수 있는
건설
용 리프트. 대규모
건설
현장에서 쓰는 타워크레인을 작게 만들어 어떤 공사장에서도 쓰기 편하게 하자는 것이다. 아이디어 자체는 훌륭했지만 이를 사업화할 구체적인 방안이 부족한 게 감점 요인이 됐다. 이런 권 씨를 도운 것은 ... ...
서울 싱크홀 年 680건… 지하철 인근 지하수 수위 170cm 뚝
동아일보
l
2014.08.29
관리를 지자체가 아닌 중앙정부로 일원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다. 장연수 동국대
건설
환경공학과 교수는 “하수관로를 교체하는 등 관리하는 것은 시간이 오래 걸리고 결과가 눈에 띄지 않아 대부분의 지자체장이 별 관심을 보이지 않는 게 문제”라고 지적했다. 조영달 dalsarang@donga.com·김현지 ... ...
이전
205
206
207
208
209
210
211
212
2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