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용
기교
기술
능력
재주
솜씨
구실
뉴스
"
기능
"(으)로 총 7,547건 검색되었습니다.
신한울 1호기 '발목' 잡는 수소제거장비..."불꽃 튀어도 화재 확률 낮아"
동아사이언스
l
2022.11.07
상식을 벗어나는 일"이라며 "성능만 따져서 될 문제가 아니다"라고 말했다. 만약 PAR가
기능
을 못해도 수소를 제거할 수 있는 또 다른 장치가 있다. 신한울 1·2호기에는 PAR와 함께 수소점화기인 이그나이터가 각각 10개씩 설치돼 있다. 유 책임연구원은 "두 장치 중 어떤 것이 낫다기보다는 나라별로 ... ...
[표지로 읽는 과학] 수천 개의 뉴런이 함께 연주하는 오케스트라, 뇌
동아사이언스
l
2022.11.06
교수는 컴퓨터 모델링과 광유전학
기능
적 자기공명영상(ofMRI)으로 뇌의 회로와
기능
장애를 규명할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하는 리뷰 논문에 제1저자로 참여했다. ofMRI는 뇌의 연결성을 확인하는 대표적인 뇌 이미징 기법이다. 두개골을 열거나 뇌에 침을 꼽는 등 물리적 자극 대신 뉴런이 만드는 ... ...
뇌
기능
실시간 촬영...30년 된 일본 기술 대체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1.05
박장면 성균관대 교수 연구팀은 실시간으로 뇌 신경작용을 관측할 수 있는 영상기법 '다이애나'를 개발했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국내 연구진이 뇌에서 일어나는 신경작용을 실시간으로 촬영하는 기술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뇌가 자극에 어떻게 반응하는지 빠르고 정확하게 관찰할 수 있어 ... ...
악성 뇌종양 항암 면역반응 높이는 대식세포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2.11.04
또 CD169가 대식세포의 마커일 뿐 아니라 암세포에 대한 포식작용을 증가시키는
기능
을 하며 CD169로 인해 포식작용이 증가한 대식세포는 세포독성 T 세포(종양 세포를 파괴하는 림프구)의 활성을 직접 증가시키는 것을 밝혔다. 이홍규 교수는 “이번 연구는 교모세포종에 대한 항암 면역반응에 ... ...
얼굴에 큰 종양 마다가스카르 청년, 한국서 새 삶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1.03
15cm 이상의 크기에 810g에 달하는 플란지의 거대육아세포종을 제거하고 종양으로 제
기능
을 못하던 아래턱을 종아리뼈를 이용해 재건한 뒤 종양 때문에 늘어나 있던 입과 입술을 정상적인 크기로 교정하는 수술을 실시했다. 플란지는 영양 상태가 굉장히 좋지 않아 장시간의 수술을 버틸 수 있을지 ... ...
단백질 구조 예측 AI 구글·페이스북 경쟁...'알파폴드' 대항마 'ESM폴드' 등장
동아사이언스
l
2022.11.02
공개했다. 대형 언어 모델이란 일부 글자만 적어도 전체 단어를 예측하는 자동완성
기능
에 사용되는 AI다. 단백질은 20여 개의 아미노산이라는 단위체로 이뤄져 있고 각각의 아미노산은 알파벳 약자를 가지고 있다. 글리신은 'G', 세린은 'S'로 표기하는 식이다. 연구팀은 단백질의 구조를 20개의 ... ...
녹고 있는 빙하를 다시 얼릴 수 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22.11.02
하는 동결보존제에 사용된다. 주로 극지방 생물의 체액에 있는 결빙방지 단백질의
기능
을 모방하는 방식으로 개발된다. 결빙방지 단백질은 영하의 기온에도 얼음알갱이가 만들어지는 것을 막아 생물이 영하의 환경에서 생존할 수 있도록 돕는다. 안 교수팀은 얼음 표면에서 친수성 고분자의 표면 ... ...
정부, 국가연구개발사업 예비타당성조사 교육
동아사이언스
l
2022.11.01
정책 대상자들이 매우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며 "이번 교육이 R&D 예타 제도의 역할과
기능
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고 연구개발 예산이 효과적으로 활용되는데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 ...
이태원 참사로 국민 모두 '트라우마 고위험군' 됐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0.31
비슷한 수준의 충격을 가할 위험도 높다”고 지적했다. ●위험에 대비하는 뇌의
기능
이 고장나 외상후스트레스장애를 겪게 되면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뇌의 변화가 일어난다. 우리 뇌에는 위험한 상황에서 몸을 대비하게 만드는 편도라는 기관이 있는데 이 부분이 활성화되면 위험을 ... ...
대기오염 물질이 코로나19 후유증 후각·미각 상실 부추긴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0.31
물질과 만나면 더 활발하게 발현돼 농도가 높아지고 냄새나 맛을 느끼는 주변 세포의
기능
저하로 이어진다는 게 연구진의 결론이다. 연구팀은 2020년 1월 20일부터 같은 해 12월 31일까지 질병관리청에 등록된 코로나19 확진자 6만194명의 확진일자, 주소, 성별, 연령 및 식욕부진과 감각장애 ... ...
이전
205
206
207
208
209
210
211
212
2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