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역
지방
세계
이승
세상
고장
초록별
뉴스
"
지구
"(으)로 총 7,057건 검색되었습니다.
LGU+, 국제우주정거장 외부서 촬영한 3D 가상현실 영상 공개
연합뉴스
l
2022.03.10
업체 퀄컴 테크놀러지 등 7개 지역 11개 회원사가 참여하고 있다. 이번 에피소드는
지구
에서 함께 훈련 받은 비행사들이 국제우주정거장에서 다시 모이는 내용으로, 세계 최초로 3D 360도 VR 카메라로 국제우주정거장 외부를 촬영했다고 LGU+는 설명했다. XR 얼라이언스 참여사 펠릭스 앤 폴 ... ...
UAE 화성임무 책임자 "우주개발 국가경쟁 아냐...인류 위한 협력 계속할 것"
동아사이언스
l
2022.03.09
국가마다 개발 방향에 차이는 있다”라며 “우리는 경쟁 같은 건 마음에 두지 않고, 전
지구
적으로 도움이 될 우주개발과 화성탐사에 얼마나 더 빨리 다가갈 수 있는지를 가장 우선으로 생각할 것”이라며 지속 협력을 통한 우주개발을 추진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지난달 22일 UAE 모하메드 빈 라시드 ... ...
"아마존 열대우림, 곧 황폐화...약 75%가 복원력 상실"
동아사이언스
l
2022.03.08
활동이 복원력 상실의 주요 이유로 꼽힌다”고 했다. 인간이 배출한 이산화탄소에 의한
지구
온난화로 아마존 지역에 강수량이 줄어든 것도 복원력 상실의 원인으로 제시됐다. 강수량이 줄면서 덩달아 아마존 열대우림에서는 기록적인 규모의 화재가 잇따르고 있다. 브라질 국립우주연구소(INPE)에 ... ...
北 김정은 "5년내 정찰위성 다량 배치"…국가우주개발국 시찰(종합)
연합뉴스
l
2022.03.07
바 있다. 한국이 2012년 발사한 다목적실용위성 '아리랑 3호'도 태양동기궤도에서 매일
지구
주변을 14바퀴 반을 돌며 지상관측 임무를 수행했다. 연합뉴스 ... ...
조선신보 "북 위성, 최고지도부가 결심하는 시간에 날아오를 것"
연합뉴스
l
2022.03.07
북한은 지난달 27일 정찰위성 개발을 위한 시험을 진행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28일 보도했다. 통신은 "국가우주개발국과 국방과학원이 정찰위성에 장착할 촬영기들로 지상 특정지역에 대한 수직 및 경사 촬영을 진행했다"고 전했다. 사진은 해당 촬영기로 촬영한 것으로 추정되는 한반도 모습. 평 ... ...
나사 "통가 화산재 58㎞ 상공까지 치솟아…역대 최고기록"
연합뉴스
l
2022.03.07
과학자들이 이 화산 폭발의 영향을 계속 연구하고 있다면서 폭발이 매우 강력했지만
지구
기후에 냉각 효과를 줄 만큼 많은 이산화황이 방출된 것 같지는 않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 ...
디지털과 결합한 고생물학…사라진 멸종동물이 다시 태어난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3.07
AR) 속에서 볼 수 있는 컬럼비아 매머드의 모습이다. LA 자연사박물관 제공 약 2만년 전
지구
를 호령한 초대형 포유동물 매머드와 포식자인 고양잇과 동물 검치호가 자연사박물관의 앱(응용 프로그램)에서 살아있는 모습으로 되살아 났다. 몸 길이만 4m가 넘고 길게 쭉 뻗은 상아가 ... ...
울진·삼척 특별재난지역 선포…산불 걷잡을 수 없었던 이유는
동아사이언스
l
2022.03.06
‘양강지풍’으로 불린다. 봄철 동해안에서 부는 태풍급 강풍의 대명사나 다름없다.
지구
온난화로 인한 해수면 온도도 상승, 봄철 가뭄으로 인한 낮은 습도 등도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산불 발생 횟수도 점점 늘고 있다. 올해 1월1일부터 지난 5일까지 발생한 산불은 모두 24 ... ...
[프리미엄 리포트] 몸과 마음을 여는 1조개의 열쇠
2022.03.05
보여요’가 있다.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 과학동아 3월호, Intro. 이 향에
지구
의 기억을 담을 수 있다면 [인포그래픽] 세상을 향기롭게 ‘향 레시피’ Part1. 향의 역사, 과학 그리고 응용 └① 역사...인간의 숨결에서 향이 탄생했다 └② 과학...오렌지 향에는 오렌지가 없다 └③ 응용.. ... ...
[프리미엄 리포트] 여름철 고수온 영향 남해안 멸치가 사라졌다
과학동아
l
2022.03.05
성장 환경은 21~22℃다. 현재로서는 시간에 따라 뚜렷한 감소세가 있는 것은 아니지만
지구
온난화가 진행되면 전망은 밝지 않다. 문성용 국립수산과학원 남해수산연구소 연구사는 “수온 상승은 알을 낳는 시기를 앞당기고 산란 해역을 북상시키는 등의 변화를 일으킬 수 있다”며 “멸치는 해양환경 ... ...
이전
205
206
207
208
209
210
211
212
2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