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짝짓기
타가 수정
교잡 수정
교미
양성 혼합
교합
교접
d라이브러리
"
교배
"(으)로 총 296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기술정보의 총집합소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암수 초파리의 피부색, 더듬이, 눈 색과 모양, 날개 크기와 형태, 각도 등을 조절하는
교배
실험이 가능하다.한편 화려한 그래픽과 동영상이 빈번한 국내 인터넷 환경에서 보면 문제풀이 방식으로 진행되는 과정이 답답하고 지루할 수 있다. 하지만 육감을 잃어버린 인간에게 자연을 이해하는 능력이 ... ...
진화론의 고향 갈라파고스는 전쟁 중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선인장을 먹는다. 플라자섬에는 지구상에서 유일하게 바다이구아나와 육지이구아나끼리
교배
해 태어난 잡종 이구아나가 있다. 바다와 육지이구아나의 서식지가 매우 가깝기 때문에 자연적으로 일어나는 현상이라고 한다. 잡종의 몸과 꼬리는 육지이구아나를, 머리는 바다이구아나를 닮았다. ... ...
인류와 가장 가까운 새, 닭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등 영양분을 충분히 공급해야 한다. 현재 양계장 시스템이 바로 이것이다.한편 다양한
교배
를 통해 알을 많이 낳는 품종을 만들어내기도 한다. 이탈리아 원산인 레그혼종이 대표적인 난용종으로 연간 산란수는 220∼250개다. 이 녀석들은 성질이 예민하고 알을 잘 품지 않으려고 한다. 낳기만 하고 ... ...
2. 심장 왼쪽에 치우친 이유있다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돌연변이로 내장 역위증을 보이는 생쥐에 주목했다. 흥미롭게도 이 돌연변이체끼리
교배
를 시켜 태어난 새끼는 심장이 왼쪽인 생쥐와 오른쪽인 생쥐가 1:1의 비율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즉 이 돌연변이체는 심장이 왼쪽에서 발달하도록 유도하는 유전자가 고장나 좌우 결정이 임의적으로 이뤄진 ... ...
마침내 모습 드러낸 파란장미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아니라 병충해 저항성, 꽃의 수명 등을 개선할 수 있는 유전자들을 찾고 있다. 품종간의
교배
가 아니라 특정 기능을 가진 유전자를 넣어줌으로써 원하는 특성을 갖는 식물을 창조해낸다는 것이다.예를 들어 꽃이 싱싱하게 오래 피어있게 할 수 있다면 상품성이 훨씬 커진다. 꽃이 일찍 시드는 이유는 ... ...
2. 지리산 반달가슴곰 반돌이 가출사건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사육중인 북한산 반달곰 새끼 방사도 검토중이다. 이들을 국내 토종 야생 반달곰과
교배
해 2012년까지 50마리로 복원하는 것이 목표다.실제로 미국 아칸소주에는 1800년대까지 ‘The Bear State’ 라고 불릴 정도로 흑곰이 많이 서식했으나 1927년 불과 25마리로 격감했다. 이에 정부가 복원사업을 진행해 198 ... ...
광우병 그 정체를 밝힌다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18세기에 처음 발병했다. 당시 영국에서는 좋은 품종을 얻기 위해 우량종 양끼리
교배
를 시켰다. 그랬더니 자라는 속도가 빠르고 털이 긴 양이 태어났다. 그러나 그 중 몇몇 양들이 몸을 자꾸 긁어대고 비틀거리며 이상하게 걷다가 결국 사망했다. 그 후 이 병은 스크래피라고 불렸다. 1930년경 한 ... ...
괴물처럼 거대한 태양 폭발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B)를 아버지 쪽으로 하여 여교잡(戾交雜, 교잡으로 생긴 잡종을 다시 그 양친의 한쪽과
교배
시키는 것)을 되풀이하면 B의 핵을 A의 세포질로 치환할 수 있다 맥류(麥類) 등에서 핵과 세포질과의 생리적 기능 관계를 조사하기 위해 행해진다 아메바 개구리알 등에서는 세포수술에 의하여 직접 핵을 다른 ... ...
라이트 형제의 인류 최초 동력 비행기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선을 그을 수 있는 것만은 아니다 즉 외견상 비슷한 형태를 지니고 있으면서도 서로
교배
할 수 없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그 반대의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재료 또는 화물을 일정한 거리만큼 자동적으로 연속해서 운반하는 컨베이어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만들어지는 합리적인 반송(搬送)체계 전진하는 ... ...
기능성 쌀 등장으로 다시 주목 받는 쌀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그대로 남아있기 때문이다.서울대 식물육종연구실 고희종 교수팀은 돌연변이 육종
교배
를 통해 거대배아미 품종 ‘서농6호’를 개발했다. 벼의 7번 염색체에 있는 ge 유전자의 돌연변이로 생긴 거대배아미는 일반 쌀에 비해 배아의 크기가 3-5배다.고 교수팀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주)신지는 지난해 ... ...
이전
16
17
18
19
20
21
22
23
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