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교수"(으)로 총 12,487건 검색되었습니다.
- [가상 인터뷰] 연가시가 사마귀를 조종하는 비밀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2호
- 맞게 새로운 유전자를 빠르게 획득할 수 있어 생존과 진화에 더 유리하지. 사토 타쿠야 교수는 “유전자가 사마귀의 행동을 조종하는 자세한 방법을 밝혀낼 계획”이라고 말했어 ... ...
- 반짝반짝 다이아몬드, 환경 파괴의 범인?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2호
- 수밖에 없습니다. 2021년 영국 임페리얼칼리지런던 환경정책학과 그베미 올룰레예 교수는 다이아몬드 1캐럿(0.2g)을 채굴하는 데 108.5kg의 탄소가 배출된다고 밝혔어요. 전 세계에선 1년에 대략 1억 5000만 캐럿의 다이아몬드가 채굴되는데, 이는 1년에 350만 대의 자동차가 내뿜는 탄소 배출량인 약 160 ... ...
- [특집] 어린이도 척척! 2023 노벨상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2호
- 노벨위원회는 해마다 총 여섯 분야에서 ‘인류에게 가장 큰 이익을 가져다준 사람들’을 뽑아 상을 수여합니다. 올해 노벨 과학상은 많은 생명을 구한 mRNA 백신 개발의 주인공들, 전자의 움직임까지 포착하는 ‘아토 과학’ 시대를 연 과학자들이 수상했어요. TV 화면에서 선명한 빛을 발하는 나노 ... ...
- [노벨 생리의학상] mRNA 백신으로 바이러스에 맞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2호
- 물질의 구조를 변형하자 mRNA는 면역 반응이 거의 없이 백신으로 작용했지요. 남 교수는 “수상자들의 연구는 당시 학계에서 주목받지 못했지만, 꾸준한 연구로 코로나바이러스 대유행 상황에서 활약할 수 있었다”며 “mRNA 백신은 만드는 방법이 쉽고 단순해서 백신 보급이 어려운 의료 낙후 ... ...
- [노벨 화학상] 화려하게 빛나는 양자점을 만들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2호
- 무궁무진하지요. 바웬디 교수의 제자이기도 한 포항공과대학교 화학과 김성지 석좌교수는 “TV나 태양전지 외에도 양자점이 빛을 내는 성질을 이용해 다양한 병을 진단하거나 환자의 증상을 확인할 수도 있다”고 설명했어요. 또 “양자점이 암세포에 달라붙어 빛나도록 해 의사가 더욱 정밀한 ... ...
- [현장취재] 해조류로 예술작품을 만들다! 하코다테 해양탐사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2호
- 해조류 전문가인 홋카이도대학교 야스이 하지메 명예교수를 만나기 위해서였죠. 야스이 교수는 “하코다테는 차가운 해류와 따뜻한 해류가 만나는 곳이라 다양한 어종이 분포하고 있다”고 설명했어요. 또 “암석 지대가 발달해 해조류가 살기에도 최적의 장소인데, 지구가 뜨거워지면서 해조류와 ... ...
- [도전! 섭섭박사 메이커] 창 너머 아른아른 전통 한지공예 무드 등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2호
- 약 90종의 식물이 발견됐습니다. 하지만 개체 수는 점점 줄고 있지요. 스에츠구 겐지 교수는 “티스미아과 식물은 균류와 나무의 활동에 크게 의존한다”며 “삼림 벌채 같은 활동으로부터 희귀 식물을 보호하기 위한 조치가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 ...
- [4컷만화] 좁은 틈도, 수영도 문제 없어! 4족 보행 변신 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1호
- 자유자재로 움직여요. 지난 10월 3일, 미국 콜로라도주립대학교 기계공학과 지앙궈 조우 교수팀은 복잡한 지형에서도 동물처럼 필요에 따라 몸과 다리를 변형해 움직일 수 있는 4족 보행 로봇을 개발해 발표했어요. 새로 개발된 변신 로봇에는 몸체와 외피에 전기로 수축하고 냉각 후 이완되는 ... ...
- [기획] 가장 맛있는 비법을 찾아라! 라면의 과학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1호
- 지난 9월 27일부터 10월 10일까지 팝콘플래닛 누리집을 통해 어과동 독자들의 라면 취향을 조사했습니다. 매운 음식을 잘 못 먹어 진라면 순한맛을 좋아하는 독자도 있었고, 짭짤한 너구리를 좋아하는 독자도 있었죠. 유현수 독자는 “불닭볶음면이 맵고 자극적이어서 중독성이 있어 계속 찾게 된다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달콤바삭! 크루아상 빼빼로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1호
- 느낌인 포만감을 느낄 수도 있어요. 지난 5월 22일, 덴마크 오르후스대학교 티크 안데르센 교수팀은 이 같은 내용의 연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연구팀은 1149명을 대상으로 실험했어요. 첫 번째 그룹에는 동그란 모양인 주황색 M&M 초콜릿하나가 담긴 그릇 사진을 최소 2초 동안 30번 반복해서 보고 ... ...
이전1617181920212223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