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구분"(으)로 총 3,361건 검색되었습니다.
- [별별 우주기네스] 가장 거대한 행성을 찾아라!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2호
- 아니에요. 하지만 어떤 것이 행성이고 어떤 것이 갈색왜성인지 현재 기술로는 명확하게 구분하기가 어려워요. 행성과 갈색왜성을 합쳐서 생각해본다면, 그중 가장 큰 천체는 바로 ‘HD 100546b’예요. 현재 HD 100546b는 갈색왜성으로 분류하고 있어요. 지구에서 약 320광년 떨어져 있지요. 지름은 ... ...
- 진실 혹은 거짓, 멘델은 완두콩으로 무슨 일을 했을까?과학동아 l2022년 12호
- 2세대 식물을 만는 실험이다. 멘델은 이어 잡종 2세대 식물에서 열린 완두콩의 색깔을 구분한 다 음 노란 콩과 초록 콩의 갯수를 세 그 비율이 3:1임을 확인했다. 멘델은 약 8년 동안 2만 8000포기에 달 하는 완두콩을 재배하며 나온 자료를 ‘식물 잡종에 관한 실험’에 실었다. 그러나 멘델의 실험 ... ...
- 당신은 슬기로운 사람인가요 ?과학동아 l2022년 12호
- 단어를 성장을 위한 경제(지속가능한 경제)와 수축을 위한 경제(지속불가능한 경제)로 구분해야 한다고도 얘기했다. 이때 성장과 수축의 주어는 인류와 문명이 된다.DK 브레이킹 바운더리스는 지구 생태계를 위협하는 산업이 더는 돈을 벌지 못하게 해야 한다고 강하게 주장한다. 양적인 성장이 아닌 ... ...
- [과동키즈] "우주에 수직농장 세울 겁니다"과학동아 l2022년 12호
- 아무래도 천문학 공부를 더 해볼 수 있는 지구과학이 재미있어 보였다. 별자리만 겨우 구분하던 내게 지구과학 책들은 더 넓은 우주를 보여줬다. 우주는 한없이 방대하고 놀라웠고, 계속해서 우주를 알아갈 수 있는 천문학자가 되고 싶었다.한국 최초 우주인을 꿈꿨지만우주에 관한 호기심이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1호
- 00m 사이를 매우 미약한 빛이 있는 ‘박광층’, 그 이하를 빛이 전혀 없는 ‘무광층’으로 구분하기도 합니다. 심해는 생물이 살기 어려운 환경으로 여겨집니다. 수심이 10m 깊어질 때마다 수압이 1기압씩 높아지는 데다, 햇빛이 없어서 수온도 낮기 때문입니다. 게다가 빛이 없어 식물이 광합성을 ... ...
- [사업가가 된 연구자] 생분해 흡수체로 여성의 일상을 바꾸다과학동아 l2022년 11호
- 자양분이 됐다. 일단 새로운 과학 논문을 찾고 읽는 데 어려움이 없었다. 물질별 안전성 구분은 자료를 찾지 않아도 이미 알고 있던 지식으로 해결하기도 했다.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밤새워서 작업하기 일쑤였는데, 이 또한 이공계 대학원생들에게는 문제 되지 않았다. 박지혜 COO의 이야기다. ... ...
- [어덕행덕] 필름 덕후가 알려주는 입덕 가이드 카메라과학동아 l2022년 11호
- 이를 계기로 중형 카메라에 이어 대형 카메라까지 접하게 됐죠. 필름의 면적으로 구분한다면, 대형카메라는 4x5 인치 이상인 필름카메라입니다. 옛날 영사기가 생각나는 모습이군요.관우 씨는 길거리를 다니며 사진을 찍었는데요. 바깥에서 암천을 뒤집어쓰기만 해도 시선을 한몸에 받았다고 ... ...
- [과학뉴스] 인천발 뉴욕행 비행기, 가슴 엑스레이 10번의 피폭량?과학동아 l2022년 11호
- 1차 우주방사선이 대기를 구성하는 원자와 충돌해 생성되는 2차 우주방사선으로 구분할 수 있다. 항공기 고도에서 만나는 우주방사선은 2차 우주방사선이다.KREAM은 고도, 위도, 경도 단위로 2차 우주방사선 입자의 에너지 스펙트럼에 변환인수를 적용해 피폭량을 계산한다.예를 들어 2022년 11월 1일 ... ...
- [특집] 무엇이 그들을 지하로 이끌었을까? 중성미자와암흑물질과학동아 l2022년 11호
- 6개)와 그렇지 않은 렙톤(6개). 렙톤은 다시 전하를 띠는 입자 3개와 그렇지 않은 나머지로 구분된다. 렙톤 중 전자, 뮤온, 타우온은 전하를 띠고, 전자 중성미자, 뮤온 중성미자, 타우 중성미자는 전하를 띠지 않는다. 즉 중성미자는 강한 핵력뿐만 아니라 전자기력에도 반응하지 않는다. 우주에 ... ...
- [카타르 월드컵, 과학으로 즐기기] 인공지능이 예측하는 한국 16강 진출 확률은?과학동아 l2022년 11호
- 경기의 중요도 역시 다르다. 이 때문에 김 전력분석관은 경기의 성격을 정성적으로 구분해 데이터를 취급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우리는 월드컵 직전 경기인 최근 5경기 승리 개수를 추출해 이 점을 모델에 학습시켰다.STEP 2. 데이터를 꼭꼭 씹어먹은 모델, 내놓은 답은?머신러닝에는 다양한 ... ...
이전1617181920212223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