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알맹이
컨텐츠
요점
골자
실질
내용물
속
d라이브러리
"
내용
"(으)로 총 5,838건 검색되었습니다.
[러셀 탐구생활] 천재는 하나의 신화일 뿐이다
수학동아
l
2023년 07호
러셀은 독일 수학자 게오르그 칸토어의 집합론에서 ‘훗날 *러셀의 역설’이라 불릴
내용
을 발견했습니다. 이내 칸토어의 집합론을 토대로 한 모든 수학적 성과가 무너져내렸지요. 이로써 러셀이 집필 중인 의 목표는 분명해졌습니다. 칸토어의 집합론을 대체할 새로운 수학의 토대를 ... ...
[커리어] 우리학교 과학시간엔요! 과학중점학교
과학동아
l
2023년 07호
비해서 실제로 이해하는 양은 너무 적습니다. 매일 자투리 시간을 이용해서 그날 배운
내용
을 확인하면 적은 시간으로 이해의 양을 늘릴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 ...
[오늘부터 우리는! 행복한 동물원] 동물을 보러 동물원 가도 될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06호
영양과 환경, 건강과 행동이 만족되면 마지막 영역인 정신적 상태도 좋아진다는
내용
이죠. 좋은 동물원에서는 주기적으로 각 영역의 복지 상태를 평가해 종합 점수로 나타냅니다. 그러면 어떤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지 쉽게 알 수 있어요. 최근 과학자들은 동물들의 복지 상태를 더 과학적으로 ... ...
챗GPT 필수가이드
수학동아
l
2023년 06호
답변을 해줘요. 말 그대로 그럴싸한 문장을 만들어준다는 점 때문에 사실 관계에 기반한
내용
을 물어보면 틀릴 수도 있지요. 이를 ‘환각(hallucination)’이라고 해요. 따라서 챗GPT를 사용할 때에는 모든 정보를 그대로 믿기 보다는 올바른 정보인지 확인해보는 자세가 필요해요. 또 다른 한계는 아직 ... ...
AI 시대에 알맞은 수학 공부법, 비판적 사고와 질문하기
수학동아
l
2023년 06호
사고가 길러질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또한 챗GPT에 다양한 질문을 넣어보면서, 같은
내용
을 어떻게 질문하느냐에 따라 답변이 어떻게 다른지를 직접 확인하면 좋겠어요. ‘복소수의 개념을 설명해주세요’라는 질문과 ‘수학 교과서의 문자와 식 단원에서의 복소수 개념을 구체적인 예와 함께 ... ...
챗GPT 과연 수학자를 위협할까?
수학동아
l
2023년 06호
3번은 4번으로 바꿨어요. 챗GPT의 답변을 보면 악수 보조정리는 알고 있지만, 저장된
내용
을 따라 답하는 거예요. 7명이 3번씩 악수하는 것이 가능한지를 묻는 문제의 풀이와 답이 인터넷에 많이 있거든요. 그런데 선의 개수가 챗GPT가 이미 알고 있는 문제와 똑같은 홀수가 아닌 짝수여서 그 부분에서 ...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06호
오프라인 문화가 우세한 탓에 이 현상이 메신저까지 이어졌다고 말합니다. 자세한
내용
은 영상에서 확인하세요! 갈수록 고조되는 기후위기 시대에 사람들은 서로에게 그 탓을 돌리며 책임을 미루기 바빠요. 하지만 현재의 기후위기는 소수의 국가나 일부 지역만의 문제가 아닌, 전 지구적 ... ...
게임 회사에서 언어 AI 연구하는 이유는?
수학동아
l
2023년 06호
중요
내용
을 요약하는 거죠. 따라서 이용자가 과거에 한 어떤 질문과 대답도 핵심
내용
은 언제든 파악할 수 있어요. 이번 연구 논문은 3대 자연어 학회 중 하나인 ‘전산언어학학회(ACL)’에 소개될 예정이에요. AI 연구원에게 가장 중요한 역량은 비판적 사고 크래프톤에 입사하게 된 계기는 ... ...
[가상 인터뷰] 블랙홀, 암흑에너지로 우주를 팽창시킨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06호
블랙홀에 암흑에너지가 들어 있어 우주가 팽창함에 따라 블랙홀의 질량이 증가한다는
내용
이지. 휴면 은하? 그게 뭐야? 휴면 은하란 별을 만드는 기체가 다 떨어져 더 이상 새로운 별을 만들지 못하는 은하를 말해. 만약 휴면 은하의 블랙홀이 무거워졌다면, 다른 블랙홀과 합쳐졌기 때문이라고 ... ...
[핫이슈] 메리 스튜어트 여왕의 비밀 편지, 400여년 만에 암호를 풀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06호
어떻게 풀었을까? 암호는 상대방과 비밀리에 소통하기 위한 수단이에요. 다른 사람이
내용
을 알 수 없게 평소에 쓰는 언어를 두 사람만이 아는 규칙으로 바꾸지요. 따라서 암호를 해독하려면 이 규칙을 찾아야 해요. 편지에는 꼬불꼬불 그림처럼 그려진 기호가 15만 개나 사용됐어요. 연구팀은 15만 ... ...
이전
16
17
18
19
20
21
22
23
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