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임의"(으)로 총 664건 검색되었습니다.
- 진화에서 인공지능까지, 똑똑한 유전 알고리즘수학동아 l2012년 05호
- 이런 예술을 ‘진화예술’이라고 한다. 진화예술은 진화예술가가 초기에 여러 작품을 임의로 만들어 놓는 것에서 시작된다. 아름다움을 컴퓨터가 판단할 수 없으므로, 괜찮다고 생각하는 작품을 진화예술가가 선택하고 이를 교차하고 변형한다. 그 뒤 이를 컴퓨터로 무수히 반복한다. 그 결과 ... ...
- 미션 임파서블! 월-E의 큐브 대작전수학동아 l2012년 02호
- 덧셈(+)에 대해 군이 된다. 정수끼리 더하면 다시 정수가 되므로 조건1을 만족시킨다. 임의의 정수 3, 5, 7에 대해 (3+5)+7=3+(5+7)이므로 조건2도 만족시킨다.이제 항등원과 역원만 보이면 된다. 항등원은 어떤 원소에 연산을 해도 그 원소가 되는 원소다. 따라서 정수의 항등원은 0이다. 어떤 수에 더해도 ... ...
- 세상에서 가장 둥근 게 뭐지?과학동아 l2012년 01호
- 틀끌림 현상을 검증하려면 아주 정밀한 자이로스코프가 필요하다. 자이로스코프는 임의의 축을 중심으로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는 장치로, 틀이 기울어져도 자신의 위치를 유지한다. 덕분에 아주 정밀한 수준으로 방향을 정해준다. 그래서 방향을 정확하게 알아야 하는 장치들, 항공기, 선박, 심지어 ... ...
- 6000년 전 배달국의 천문대장을 만나다과학동아 l2012년 01호
- 천문학적으로 옳다는 것을 증명한 셈이다. 몇백 년에 한 번씩 일어나는 이런 천문현상을 임의로 맞춘다는 것은 확률적으로 불가능하다.기원전 1733년이면 고조선 시대다. 박 위원은 오성취루 기록을 통해 고조선이 천문현상을 관측해 기록으로 남길 수 있는 조직과 문화를 소유하고 있었음을 알 수 ... ...
- 발 없는 트위터가 천 리 가는 이유수학동아 l2012년 01호
- 것이 ‘작은 세상 이론’이다. 페이스북에서는 이런 작은 세상 이론을 충실히 따라서 임의의 두 사람은 최대 6.6단계만 거치면 서로 연결될 수 있다(수학동아 2011년 12월호 특집 참고). 그렇지만 트위터에서는 팔로윙만 하면 이 단계가 급속히 줄어들어 1단계로 연결된다. 작은 세상이 더 작아진 것이다 ... ...
- 별걸 다 정해 주는 수학 행복도 지수로 푼다!수학동아 l2012년 01호
- ’ 이면 확실하게 속하지 않는다. 하지만 퍼지집합에서는 0과 1뿐만 아니라, 0과 1 사이의 임의의 값을 원소로 가질 수 있다. 각 원소가 퍼지집합에 포함되는 정도인 소속도를 이용해 퍼지집합을 정의한 것이다. 퍼지이론으로 보는 외모 판별법그럼 나예뻐가 예쁜지 혹은 예쁘지 않은지 퍼지이론으로 ... ...
- Part 4. 전세계 네트워크, SNS로 통한다!수학동아 l2011년 12호
- 억 8000명의 사람들이 나눈 300억 개의 메시지를 분석한 결과, 평균적으로 6.6단계를 거치면 임의의 두 사람을 연결할 수 있다는 결과가 나왔다. 그래서 연구팀은 6.6에 반올림을 해 MSN 메신저를 이용하면‘일곱 단계 분리’를 만족한다는 결론을 내렸다.한편 올 여름부터 SNS의 대표주자인 페이스북을 ... ...
- [수학실험실] 뢸로 삼각형 맨홀 덮개는 왜 안전할까?수학동아 l2011년 12호
- 과정으로 그릴 수 있다. 이렇게 그린 볼록한 삼각형은 꼭짓점에서 마주보는 곡선 위의 임의의 점까지 거리가 항상 일정하다. 또 이 도형은 그림④와같이 평행한 두 접선을 그렸을때, 접선 사이의 거리가 같다. 즉 어느 방향에서도 폭이 일정하기 때문에 이런 도형을‘정폭도형’이라고 한다. 원 역시 ... ...
- [수학영재캠프] 작은 것은 아름답다수학동아 l2011년 12호
- 그의 이름은 칸토(Canto). 물론 수학자인 만큼 모든 수를 다 좋아하기는 하였으나, 그는 (임의의 n에 대해) n 하나를 갖는 것이 n보다 큰 수들을 모두 갖는 것보다 차라리 낫다고 여겼다.칸토에게는 항상 이런 고민이 있었다.“수가 커지는 이유가 무엇일까?”그러다가 그는 그 원인이 곱셈에 있다고 ... ...
- Part 3. 뉴로피드백으로 명상 쉽게 한다과학동아 l2011년 12호
- 알파파 상태이지만 연주하는 영상을 떠올리면 알파파가 아니라는 것이다. 이 실험은 임의로 조절할 수 없다는 뇌파를 의지로 조절할 수 있다는 결과로서 진정한 의미에서 최초의 뉴로피드백 실험이라 할 수 있다.1971년 미국 UCLA의 배리 스터먼 박사는 SMR파(뇌의 감각운동피질에서 발생하는 12~16Hz의 ... ...
이전1617181920212223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