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제휴
도움
협력
협동
원조
조력
보조
d라이브러리
"
협조
"(으)로 총 325건 검색되었습니다.
(2) 6공 과학기술정책을 움직이는 사람들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할 수 있는 일도 아니다.우선 예산이나 조세, 금융과 관련해 경제기획원이나 재무부의
협조
없이는 되는 일이 없을 정도며 상공 체신 동자부 등 걸리는 부처도 너무 많고 콧대들도 높아 협의과정에서 과기처 실무자들이 자주 곤욕을 치러왔다.부처간 자존심이나 이해관계로 알력도 많았으나 최근에 ... ...
(3) 과학동아 편집실이 뽑은 '6공' 과학기술계 10대뉴스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사업이다. 과거 관련부처들이 서로간의 밥그릇싸움으로 대립양상을 보였던 데 반해
협조
체제를 지향하고 있어 모범이 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90년까지 추진되던 국책개발사업이 돌연 실종되고 그 대역으로 등장한 정책이란 점 때문에 조령모개식 과학기술정책의 또하나가 아닌가하는 의구의 눈길도 ... ...
(1) 거세지는 외풍, 뒷걸음질치는 정책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돌리고 나름대로 부처의 특성에 맞는 기술개발계획을 세우기 시작했다. 때문에 부처간에
협조
가 안되고 호흡이 맞지 않아 다툼이 벌어진 것은 어떤 의미에서 과도기의 필연적인 현상으로도 보인다. 과거 과기처 독주의 시대에서 타부처들이 주체적으로 참여하는 다원화추세에 잠시 전체의 ... ...
대규모 탐색 작업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여러개의 대형 천체망원경들이 이 탐색작업에 이용될 전망이다. 바로 여기에 소련의
협조
는 더 큰 효과를 가져온다. 전파망원경들이 추가로 제공되기 때문만이 아니라 소련제 망원경들을 소련의 이곳저곳에 위치시킴으로써 전파를 수집하는 영역이 보다 넓어질 수 있는 것이다.물론 외계인을 ... ...
5. 이제 관심은 평화적 이용방안에 모아져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20% 이상의 농축도를 가질 수 없도록 규정하고 있다. 많은 나라들이 이 원칙에 동의해
협조
하고 있으나 중국 북한 이라크 등 몇몇 국가들은 핵무기의 개발에 미련을 버리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고농축돼야 핵무기의 원료로 쓰인다일반적으로 핵무기의 원료는 핵분열반응을 거치면 다량의 ... ...
'과학기자재 보내기 운동'을 다시 본다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통한 관계전문가들의 긴급토론회와 공개모금을 시작으로 신문·방송광고, 유관기관
협조
요청 등 다차원적인 방법으로 국민대중의 지지를 호소해왔다.운동이 시작된 지 만 한달이 채 못되는 지난 8월12일까지의 모금액은 13억5천7백여만원. 1천만원 이상을 기탁한 특별회원 46단체를 비롯해 독지가 1만 ... ...
5.극심한 생물계의 수난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철저히 막아야 한다. 또한 생물이 모든 종을 보존하고 생물의 다양성을 유지하도록
협조
해야 한다. 이것은 자연파괴의 주범인 인류의 속죄의 길이 될 것이다. 아울러 생물자원을 지속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길이기도 하다. 야생 동식물은 식용품, 섬유나 석유의 대용품, 약품 등으로 활용할 수 있는 ... ...
멸종위기에 놓인 판다(Panda)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서로 긴밀한
협조
관계를 가진다. 사회주의에선 그게 훨씬 용이한데도 우리는 아직 그런
협조
를 실현하지 못 하고 있다"고 꼬집는다.중국에는 모두 14개의 판다 보호구역이 있는데 각각 고립된 상태에서 어려움에 맞닥뜨리고 있다. 지역마다 판다가 얼마 남지않아 짝짓기가 어렵고 일단 짝을 지어 ... ...
금성이 반달처럼 보이는 이유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단체들, 특히 KAAS, 지구과학교과교육연구회, 우주소년단 지도교사협회가 긴밀하게
협조
해야 한다는 쪽으로 모아졌다.KAAS도 이에 발맞춰 교육간사를 중심으로 한 교육지원팀을 구성했다. 아울러 올여름 한국 아마추어 천문학 역사상 최대 규모의 별잔치(star party)를 열 예정이다. 자세한 문의는 전화 ( ... ...
현장경험 강조하는 독일의 실용공학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아니라, 인문사회학과도 공동 연구의 기회를 확대하고 있다. 이러한 학문의 전반적인
협조
체계는 현대 사회에서는 과학의 발전이 결코 어 떤 특정한 학과 내지 분야의 발전으로는 완성될 수 없다는 사실을 반영하는 현상이리라 ... ...
이전
16
17
18
19
20
21
22
23
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