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향기
악취
방향
혹취
내음
향
냄새감각
뉴스
"
냄새
"(으)로 총 687건 검색되었습니다.
질병
냄새
맡는 개보다 후각 200배 뛰어난 전자코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2.18
칠레 산티아고 국제공항에 배치된 '코로나19 탐지견'이다. AP/연합뉴스 제공 지난해 12월 칠레의 수도 산티아고에 위치한 국제공항에 골든리트 ... 실제 개의 코보다 약 200배 더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다”며 “지난 15년동안 우리가 개발한
냄새
감지장치 중 가장 빠르고 정확하다”고 밝혔다. ... ...
”자동차 20분 이상 타면 허용기준 넘는 발암물질 흡입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2.16
기체로 인체에 대한 독성이 매우 강한 발암물질이다. 벤젠도 무색의 액체로 독특한
냄새
를 내며 발암물질로 꼽힌다. 새차 증후군의 주요 원인인 이 두 물질은 합성 섬유와 플라스틱 내장재 등 자동차 실내공간에 사용된다. 연구팀은 하루에 최소 20분의 운전 시간을 가진 운전자가 흡입하는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인체에 안전하면서 강력한 살균수는 없다
2021.02.03
심지어 코로나19를 일으키는 바이러스도 비누로 씻으면 말끔하게 제거된다. 진한 알코올
냄새
가 나는 손 소독제보다 훨씬 더 효과적이다. 실제로 손 소독제는 비누로 손을 씻을 수 없는 경우에 사용하는 대안일 뿐이다. 정체도 불확실한 엉터리 살균수에 신경을 쓸 때가 아니다. ※필자소개 ... ...
[강석기의 과학카페]살아있는 화석 폐어와 실러캔스, 엇갈린 운명
2021.01.26
분석한 결과 수중에서
냄새
를 맡는데 관여하는 수용체 유전자는 줄어든 반면 공기 중의
냄새
를 맡는 수용체 유전자는 늘어났다. 특히 페로몬을 맡는 수용체인 VR 유전자의 증가가 두드러졌다. 실제 폐어는 페로몬을 감지하는 서골비 기관의 원시적 형태를 지니고 있다. 생활터전을 물가에서 뭍으로 ... ...
[슬기로운 동물원 생활] 청주동물원의 불청객 붉은여우 구출작전
2021.01.09
먼 곳이라 몸집이 작은 붉은여우가 오기에는 매우 힘들다. 아마 동물원에 있는 여우들의
냄새
에 이끌려 온 것으로 추정된다. 잠시 청주동물원을 찾았던 붉은여우는 원래의 서식 지역인 소백산으로 다시 돌아갔다. ● 2020년 3월 복숭아밭에서 온 김서방 2020년 3월 세종시의 한 복숭아밭에 여우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세포고기는 동물고기를 대신할 수 있을까
2021.01.05
못했을 것이다. 다만 풍미가 꽤 강하고 소스도 너무 달았다. 어쩌면 식물고기 패티의 잡
냄새
와 잡맛을 가리기 위함인지도 모르겠다. 그럼에도 가격은 동물고기 패티를 쓴 햄버거의 1.5배라 또 사 먹을 일은 없을 것 같다. 식물고기는 동물고기는 물론 세포고기보다도 친환경적이지만 고기 맛을 ... ...
[인간 행동의 진화] 언제까지 싸움만 할 것인가
2020.12.13
벌였다. 그러나 이들의 짝짓기 성공률은 거의 같았다. 소모전의 종결 칼럼에서
냄새
가 나는 것 같다. 미안하다. 인간 사회에도 소모전이 많다. 끝없이 이어지는 갈등이다. 분명 원래 목적이 있었겠지만, 시간이 지나면 도대체 왜 싸우고 있는지 모르는 지경에 이른다. 하지만 분명 이득 때문에 ... ...
코로나19 환자, 탐지견 개코로 정확히 찾아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12
음성이었다. 연구팀은 한 개에게 같은 병원에서 나온 환자 검체를 맡게 함으로써 병원
냄새
에 따른 차이를 피했다. 코로나19 탐지에 참여한 탐지견의 모습이다. 도미니크 그랑장 교수 제공 그 결과 개들은 최소 76%에서 최대 100%의 진단율을 보였다. 대장암 진단에 특화된 벨지안 말리노이 종 ... ...
식물도
냄새
맡고 안다…유익균인지 병원균인지를
동아사이언스
l
2020.12.10
조사한 결과 이들은 비슷한 군집을 이루고 있었다. 류 센터장은 “식물은 공기 중으로
냄새
를 전달하고, 이를 통해 생장에 유리한 유익균을 선별한다는 뜻”이라며 “유익균과 휘발성유기화합물을 이용해 뿌리 미생물을 조절하면 식물의 생장을 촉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 ...
땀으로 땀 배출 막는다
과학동아
l
2020.12.07
제공 땀
냄새
는 피부에 서식하는 박테리아(세균)가 땀 속 단백질을 분해할 때 난다. 이
냄새
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는 금속염 성분의 땀 억제제를 피부에 발라 땀관을 막는 것이다. 그러나 금속염 물질이 암을 유발할 수 있다는 우려도 있어 인체에 무해한 땀 억제 기술 개발의 필요성이 ... ...
이전
16
17
18
19
20
21
22
23
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