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포말
기포
거품
방울
물거품
수포
방울의 낙하
뉴스
"
물방울
"(으)로 총 216건 검색되었습니다.
드라마 ‘스샷’ 찍듯 단백질 반응 찍는다
2015.03.17
수소와 중수소의 교환현상을 분석하는 데 성공했다. 또한 마이크로미터(㎛) 크기의 작은
물방울
에서는 생화학 반응 속도가 평소보다 1000배 정도 빨라지는 현상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이 방법을 통해 3㎲의 정밀한 시간분해능으로 단백질 반응과정을 관찰하는 데 성공했다. 남 단장은 “이전까지 보기 ... ...
식품첨가물 유화제 알고보니…
2015.03.09
게 놀랍게 보일지도 모르겠다. 이처럼 수용액에 미세한 기름방울이 떠 있거나 기름에
물방울
이 분산돼 있는 상태를 ‘유화(emulsion)’라고 부르는데, 젖을 뜻하는 라틴어에서 왔다. 우유의 현미경 사진(4200배). 우유는 수용액에 기름방울(지방과립)이 분산된 유화 상태로 지방과립의 크기는 대체로 3~ ... ...
지구의 그 많은 물은 다 어디서 왔을까
2015.02.09
대부분이 지하수란 말이다. 일러스트를 보면 지구의 물이 얼마 안 되는 것 같지만 전체
물방울
의 지름은 1400km에 가깝다. 지구 지름이 1만2700km이므로 부피비로 대략 0.15%를 차지하고 있다. 질량으로 보면 약 0.03%다. 바다의 평균 수심이 대략 3.8km이므로 지표가 편평해 지구 전체가 일정한 수심으로 ... ...
세상에서 가장 작은 공기방울 실시간 관찰 성공
2015.02.08
홍 교수는 “눈에 보이지 않지만 사람 몸속에 혈액이나 세포 안에도 수많은 나노
물방울
이 존재하고, 잠수병의 원인도 나노공기방울이 비정상적으로 성장해 혈관을 막기 때문으로 추측된다”며 “나노공기방울에 대한 연구는 기체의 발생 및 전달을 포함하는 다양한 자연현상과 생명활동을 ... ...
[신문과 놀자!/고희정 작가의 과학 돋보기]나뭇가지에 핀 하얀 ‘얼음꽃’
동아일보
l
2014.12.24
합니다. 새벽에 이슬이 내리는 것은 공기 중의 수증기가 새벽의 찬 기온 때문에 액화되어
물방울
이 된 것입니다. 그런데 어떤 물체들은 고체에 열을 가하면 액체 상태를 거치지 않고 바로 기체가 되어 버리거나 기체 상태에서 열을 빼앗으면 바로 고체가 되어버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현상을 ... ...
헉! 초속 300m ‘초강력 슈퍼 울트라’ 토네이도
2014.09.05
장비는 ‘도플러 레이더’다. 구름을 향해 레이더 빔(beam)을 쏘면 빔은 구름 속에 있는
물방울
이나 수증기 입자, 얼음 알갱이 등에 부딪쳤다가 돌아온다. 이때 어떤 물질에 반사되느냐에 따라 빔이 감소한 비율이 달라진다. 빔의 감소율을 측정하면 구름 안에 어떤 물질이 얼마만큼 있는지 알 수 있다 ... ...
당신이 모르는 에센스 방울의 비밀
과학동아
l
2014.07.22
때문에 고체 표면 위에서도 동그란 모양을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 힘 때문에
물방울
표면을 따라 고체 표면이 솟아오른다는 사실은 알려져 있었지만 이전까지는 직접 관찰한 적이 없어 정확한 형태는 물론 형성원리 역시 수수께끼였다. 연구팀은 기존 공초점현미경으로는 정확히 볼 수 없던 ... ...
[표지로 읽는 과학] '박쥐의 노래' 들어보실래요?
과학동아
l
2014.06.22
때 부피가 줄어들지만, 물은 오히려 얼음이 될 때 부피가 늘어난다. 셀베르그 박사는 “
물방울
이 얼 때의 구조를 풀면 물의 특성을 잘 이해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고 의의를 밝혔다. ... ...
물방울
무늬 속에 담은 치유 메시지…거장의 ‘땡땡이’ 그림
동아사이언스
l
2014.05.07
I pray forever'(왼쪽)과 Pumpkin(오른쪽) - 예술의전당 제공 쿠사마 야요이는 흔한 소재인
물방울
무늬에 누구도 생각하지 못했던 방식으로 접근해 다양한 예술작품을 창조해냈으며, 회화 뿐 아니라 퍼포먼스, 해프닝, 패션, 문학 등 다양한 분야를 아우르는 현대미술의 거장이라 평가 받고 있다. ... ...
쏴~ 샤워기 물이 전기로 바뀌네
과학동아
l
2014.04.28
유전체층'과 기판에 물이 맺히지 않고 곧바로 흘러내리도록 하는 '발수층'을 포갰다.
물방울
이 발수층을 흘러내리면서 유전체층을 만나면 전하를 축적할 수 있는 능력인 정전 용량에 변화가 생기면서 전자 이동이 발생해 전류가 흐르기 시작한다. 연구팀이 개발한 소자에 물을 뿌리자 소자 ... ...
이전
16
17
18
19
20
21
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