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손
뒷자손
후속
후예
뉴스
"
후손
"(으)로 총 210건 검색되었습니다.
왕의 숫자보다 많은 금관
동아사이언스
l
2013.11.24
미추왕이 그토록 사후에 큰 대우를 받고 있는 것은 그가 흉노 휴저왕의 황태자 김일제의
후손
으로 김씨 최초의 신라 왕이 되었기 때문이다. 경북 청도에 있는 이서국이 금성(경주)을 공격해왔는데 신라가 이기지 못했다. 이때 갑자기 대나무 잎을 귀에 꽂은 무수한 병사들이 나타나 적들을 물리쳤다. ... ...
이상형도 아닌데 왜 그 사람에게 끌리지?
동아사이언스
l
2013.11.17
자신과 다른 면역체계를 가진 이성과 결합했을 때 보다 다양한 면역체계를 가진
후손
을 생산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시각적으로 이미지화되어 있는 ‘이상형’에서 벗어난 이성에게 끌리게 되는 것이다. 이 책은 이처럼 사소한 일상 속에서 일어나는 아이러니한 일들이 비롯된 원인을 ... ...
비운의 진화학자 '월리스'를 아시나요
과학동아
l
2013.11.12
월리스 관련 문서를 모으는 ‘월리스 서신 프로젝트’를 1998년부터 시작했다. 그의
후손
등으로부터 4000~5000점의 자료를 수집하는 데 성공했다. 그 중 1000점 이상은 편지로 공개된 적이 없는데 현재 디지털 작업 중이다. 월리스가 재조명되는 이유는 다윈과의 관계다. 다윈이 월리스의 ... ...
경주 곳곳에 숨어있는 왕릉의 비밀
동아사이언스
l
2013.11.11
흉노의 왕들을 의미하는 마립간으로 바뀌었다는 것은 이들이 북방기마민족의
후손
으로 왕위를 인계받았다는 것을 뜻한다. 신라는 『삼국사기』에 의할 경우 기원전 57년에 건국되어 935년에 멸망할 때까지 무려 천년을 이어 온 한국 역사상 최장수의 왕국이다. 그러므로 신라지역은 고분의 형태도 ... ...
초기 인류의 ‘족보’ 전면 수정되나
과학동아
l
2013.10.29
아시아, 유럽에 퍼져 살았다는 뜻이다. 현생인류(호모 사피엔스)는 이 종의 먼
후손
이 된다. 고인류학에서는 새로운 인류 화석을 발굴했을 때 이들을 새로운 종으로 분류할 것인지, 혹은 기존과 같은 종으로 볼 것인지 늘 논란을 벌였다. 이번 연구 결과는 그런 논란의 확장판으로, 추가 논쟁이 벌어질 ... ...
[화보]제10회 바이오현미경사진전 영광의 수상작들은?
과학동아
l
2013.10.25
거미가 자신의 배에 삼층석탑을 그려 넣은 것 같다. 혹시 신라시대 왕궁에서 살던 거미의
후손
이 아닐까. 이 거미가 다른 거미보다 훨씬 큰 거미줄을 만드는 걸 보니 높은 신분이었을지도 모르겠다. 선인장에 핀 꽃 - 충북대 의학연구정보센터 제공 ◆선인장에 핀 꽃(일반부 바이오예술상 ... ...
수백만 년 뒤 인류는 어떻게 진화할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3.09.16
했다. 이미 지나간 과거에 살았던 조상이 아니라 미래시대에 살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후손
을 미리 만나본 것이다! 이미 영국 스코틀랜드의 동물학자 두걸 딕슨은 저서 ‘맨 애프터 맨’에서 미래 인류의 모습을 상상했다. 그는 환경이 심각하게 오염된 미래에 현생인류 중 일부는 과학기술의 ... ...
80년 동안 제사도 봉양도 못 받은 王
동아사이언스
l
2013.09.03
어느 날 꿈에서 단종을 만나 그의 억울함을 들었다 한다. 꿈을 꾼 뒤 박충원은 엄홍도
후손
의 안내로 노산묘를 찾아 봉분을 정비했다. 단종이 명예를 회복하는 데는 200년이 넘게 걸렸다. 숙종 7년(1681), 숙종은 그를 일단 노산대군으로 추봉한 뒤 숙종 24년(1698) 정식으로 복위시켰고 묘호를 단종으로 ... ...
호빗족은 지금도 어딘가에 살고 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9.02
진화계보를 다시 그리게 했다. 현생인류와 100만 년 전 이전에 갈라진 호모 에렉투스의
후손
이 불과 1만3000년 전까지 살고 있었다는 건 누구도 예상하지 못했던 충격적인 발견이었다. - 네이처 제공 그러나 모든 사람이 이들의 발견에 찬사를 보낸 건 아니었다. 일부 인류학자들은 호빗이 병든 ... ...
고양이나 쥐가 살기 어려운 곳은 사람도 살기 어려운 곳
동아사이언스
l
2013.08.18
한 후에는 지덕 때문에
후손
에게 큰 불행을 초래하지 않았다는 뜻이다. 묘택을 잘 쓰면
후손
이 행복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 해가 미친다는 이같은 사례는 그 후 풍수지리의 중요성을 논할 때마다 자주 거론되며 한국인의 풍수에 큰 영향력을 미치지만 ‘서오릉의 창릉’ 장에서 설명한 것처럼 발복 ... ...
이전
16
17
18
19
20
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