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난"(으)로 총 394건 검색되었습니다.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연구비 공황과 보통과학자의 위기2019.12.12
- 마태효과에 의해 신참보다 훨씬 유리한 위치에 서게 된다. 그건 선배 과학자들이 더 뛰어난 과학적 업적을 지녔기 때문이 아니라, 단지 신참보다 먼저 과학계에 자리를 잡았기 때문에 누리는 효과다. 이 마태효과는 다양한 방식으로 젊은 과학자들을 힘들게 만든다. 이미 안정된 실험실을 갖춘 선배 ... ...
- [영상+] "이쪽으로 대피하세요" AI가 지하철 화재시 가장 안전한 대피로 알려준다동아사이언스 l2019.12.09
- 연기농도 정보를 토대로 위험을 평가하는 능력이다. 이어 소방관들이 자문해 준 불이 난 지역에 따른 안전도를 데이터화해 AI가 스스로 안전한 길을 찾도록 했다. 실제로 불이 나면 AI는 학습한 정보를 바탕으로 최적의 대피로를 찾아 모니터와 천정에 설치된 130여 개의 레이저 표시기로 전달한다. ... ...
- 英과학자 "한국 한방 난임치료 연구 '비과학적'" 논문심사 거부동아사이언스 l2019.12.09
- 지원 받고도 결국 명확한 근거를 찾지 못하고 성급한 결과를 내놨다고 보고 있다. 한방 난임치료에 대한 효과와 안전성을 입증하려면 잘 설계된 연구를 통해 뚜렷한 데이터와 과학적인 근거를 얻고 국제 학계 공인을 받아야 하는 상황이다.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GMO 황금쌀, 20년 만에 빛을 볼까2019.12.03
- 것이다. 실천윤리학자이자 동물해방론자인 미국 프린스턴대의 피터 싱어 교수는 지난 2014년 ‘프로젝트신디케이트(유명 석학들이 중대 사안에 대해 기고하는 사이트)’에 발표한 글 ‘유전자변형 식품을 막아야 하는가’에서 “유전자변형 식품에 대한 일부 환경단체들의 맹목적인 반대는 ... ...
- [만연하는 가짜 의학정보] "글루텐이 뇌 염증, ADHD 유발한다?"동아사이언스 l2019.11.29
- 며 "이 때문에 밀가루 음식에 중독되고, 밀가루 음식을 끊어도 금단현상이 일어난다"는 주장이다. 글루텐을 소화시키는 과정에서 실제로 엑소루핀이라는 중독성 물질이 생성된다. 하지만 이 물질은 글루텐뿐만 아니라 콩이나 시금치, 유제품을 소화할 때도 생성된다. 엑소루빈 때문에 밀가루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소리로 소음 잡는다…노이즈캔슬링 시대2019.11.26
- 물을 먹기 위해 꼭지를 핥을 때 나는 소음(그래프의 검은 선)에 대해 노이즈캔슬링이 일어난 연수의 등쪽 와우핵의 신경 발화 빈도(아래 빨간 선)가 배쪽 와우핵 신경 발화 빈도(위 파란 선)보다 훨씬 낮음을 알 수 있다. ‘네이처 신경과학’ 제공 ※필자소개 강석기 (kangsukki@gmail.com). ... ...
- [표지로 읽는 과학] 쇠똥구리 가슴뿔과 날개는 기원이 같다동아사이언스 l2019.11.24
- 쇠똥구리아과에 속하는 곤충이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먹이인 소똥을 굴리는 재미난 습관을 가졌다. 물구나무를 서서 야생에 있는 소나 말, 사람의 똥을 집(땅속 굴)까지 구슬처럼 둥그렇게 굴리면서 간다. 쇠똥구리는 다른 딱정벌레들과 비교해 몸이 편평한 편이며, 가슴과 배 사이에 깊이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LSD 르네상스를 꿈꾸는 사람들2019.11.19
- 무대로 돌아오고 있다. 폴란이 ‘욕망하는 식물’에서 대마초를 다루고 17년이 흐른 지난해 FDA는 대마초 의약품을 승인했다. 작년 폴란의 책이 나온 뒤 사이키델릭 의약품이 나올 때까지 걸릴 시간은 이보다 짧지 않을까. 며칠 전 우연히 ‘진중권의 서양미술사: 모더니즘 편’이라는 책을 읽다가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남의 실패에 웃고, 성공에 우는 이들의 공통점2019.11.16
- 나만 괴롭게 만들고 나만 추하게 만들 뿐이다. 또한 당연히 존재할 수밖에 없는 나보다 잘난 사람들의 존재에 계속해서 지옥을 넘나들며 휘둘릴 뿐이다. 비교우위를 기반으로 내 가치를 확인하려 하기보다 변치 않는 나만의 행복, 나만의 가치, 소소한 선행 같은 것들을 통해 내 삶을 뿌듯하게 여길 ... ...
- [인류와 질병] 몸니, 옷과 함께 진화하다2019.11.16
- 연구하고 있다. 《행복의 역습》, 《여성의 진화》, 《진화와 인간행동》를 옮겼고, 《재난과 정신건강》, 《정신과 사용설명서》, 《내가 우울한 건 다 오스트랄로피테쿠스 때문이야》, 《마음으로부터 일곱 발자국》을 썼다 ... ...
이전1617181920212223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