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각
모서리
귀퉁이
실머리카락
열매
털
양모
스페셜
"
모
"(으)로 총 238건 검색되었습니다.
[지뇽뇽 사회심리학] 나 지금 이대로 괜찮은 사람이야
2018.05.12
너그러울줄 아는 사람들은 자신의 잘못이 존재한다면 쿨하게 인정하고 책임지려는
모
습을 보이는 편이다. 이러한 이유로 심리학자 Leary와 Neff 등의 학자들은 스스로에 대한 너그러움이야말로 높거나 낮지만 건강하지 않은 자존감의 아주 좋은 대안이라고 이야기한다(Neff, 2003). 특히 자존감에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상대방의 의도를 공격하는 이유
2018.03.24
어떤 행위를 통해 저 사람이 ‘이득’을 보게 될 것임을 이야기하는 것이다. 사람들에게
모
회사가 어떤 행사를 통해 수익의 50%를 자선단체에 기부한다는 이야기를 해준다. 또 다른 사람들에게는 같은 회사가 같은 행사를 통해 수익의 50%를 자선단체에 기부하고 나머지 50%는 자기들이 갖는다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내 기억력의 품질, 관리하기 나름
2017.12.19
있음에도 연말에 ‘망년회’를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이스쿠이에르두에 따르면 “
모
는 기억은 감정을 동반하고 감정적으로 가장 자극적인 기억이 대개 가장 잘 기억되기” 때문이다. 우리가 잊고 싶은 기억, 즉 좀처럼 잊히지 않는 기억은 분명 꽤나 부정적인 감정과 연관돼 있을 것이다. 바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게놈편집으로 흰 나팔꽃 만들었다!
2017.09.12
염색체 지도가 식물로는 세계에서 가장 앞서는 수준이었다. 지금도 나팔꽃은 원예식물의
모
델로 다양한 측면에서 연구가 이뤄지고 있다. 연구자들은 지난 수년 사이 대유행하고 있는 3세대 게놈편집기술인 크리스퍼/캐스9(CRISPR/CAS9)을 원예식물에 적용할 때 제대로 작동하는지 시험해보기 위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왜 어떤 사람들은 오이를 싫어할까?
2017.04.18
전부는 아니라고 언급했다. 음식이 웬만하면 먹고살기 마련이라는 것이다. 그럼에도 오싫
모
의 경우처럼 어떤 음식을 강하게 거부한다면 거기에는 그럴만한 이유가 있을 것이고 아마도 그 배경에는 생물적 기반이 있을 것이다. 자신의 감각세계 경험을 일반화할 수 없다는 사실을 인식한다면 다른 ... ...
난민과 이주민이 정말 ‘내 나라’에만 많이 올까
동아사이언스
l
2017.03.05
시리아에서 브로커를 통해 망명해 독일에서 일하고 있는 지질학자
모
하메드 알리
모
하메드 씨의 사례를 비롯해, 그동안 미국에 와서 업적을 남겼던 이주민 과학자들이 현재 미국에 입국하지 못해 어떤 일이 벌어지고 있는지 미국 스탠퍼드대의 저명한 미래학자, 비벡 와드하 교수의 글을 통해 ... ...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 바빠 죽겠는데, 남을 도우라고?
2016.12.27
쓴 사람들이 가장 자신에게 주어진 시간이 넉넉하다고 지각하며 마음의 여유를 갖는
모
습을 보였다. 24시간으로 한정된 시간이 자신을 위해 쓸 때보다 남을 위해 쓸 때 더 넉넉한 듯한 느낌을 받게 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연구자들은 많은 사람들이 시달리고 있는 만성적인 ‘시간 기근(time famine)’에 ... ...
조류독감, 발병의 주범은 오직 ‘철새’?
2016.12.22
수가 나타나길 바라며, 이번 화 문을 닫습니다. ※취재팀주 그 어떤 때보다 큰 규
모
의 조류독감이 난리입니다만. 사람들에게 빠르게 알려져야 할 관련정보들이 다른 이슈에 묻혀 전해지지 못하고 있습니다. 동아사이언스에서는 계속해서 시리즈 기획으로 반드시 알아야하는 조류독감에 대한 ... ...
백인 미국인은 한국인을 어떻게 볼까?
2016.11.15
나타났다. 분명히 같은 사람임에도 우리는 다양한 이유로, 사람을 사람으로 여기지 않는
모
습을 보인다. 같은 사람으로 대우하지 않으며 탄압하기도 한다. 나에게는 중요한 정의가 그들에게는 실현될 필요 없다고 하기도 한다. 이런 식으로 우리는 나와 내 주변 사람들에게는 한 없이 사랑을 ... ...
37억 년 전 지구엔 이미 생물이 번성했다!
2016.09.12
수 있다. 농도를 나타내는 세로축은 로그척도다. - 네이처 제공 즉 이 암석에는 원래 금운
모
라는 광물이 풍부했고 따라서 티타늄과 칼륨의 함량이 높다. 그런데 X선 형광법으로 원소함량을 분석한 결과 스트로마톨라이트로 추측되는 부분은 주변 암석보다 티타늄과 칼륨 함량이 10분의 1 수준이었다. ... ...
이전
16
17
18
19
20
21
22
23
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