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강도
격렬함
계수
셈
힘
능력
효력
스페셜
"
세기
"(으)로 총 854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N사피엔스] 보어 원자 모형의 지지자들
2021.12.09
산봉우리와 골짜기 모양이 규칙적으로 여러 개 나타난다. 물론 전체적으로 전류의
세기
는 점점 커지는 경향을 보인다. 전류가 전압에 따라 계속 증가하지 않고 갑자기 골짜기 모양으로 떨어지는 전압간격은 4.9볼트(V)였다. 즉, 4.9V의 전압 속 전자가 가진 에너지, 즉 4.9전자볼트(electron Volt, eV)의 ... ...
[코리아스페이스포럼2021] 미국은 소행성 방어 연구...한국도 아포피스 향해 첫 탐사 길 연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2.06
계획이다. 지구와 사이키가 가장 가까워지는 2026년 1월쯤 도착 예정이다. 사이키는 19
세기
에 발견됐으며 베누나 에로스 등 다른 소행성에 비해 크기가 크다. 하지만 사이키에서 금속 성분의 비율이 얼마나 되는지와 다른 성분이 무엇이며 얼마나 되는지 등은 구체적으로 밝혀지지 않았다. 연구 ... ...
"표준모형이 풀지 못한 입자물리의 비밀 풀어주세요"
동아사이언스
l
2021.11.29
유럽입자물리연구소, 페르미국립가속기연구소를 모두 거쳐 입자물리학의 20
세기
성과를 되짚어 나갔다. 김 교수는 “입자가속기는 세상에서 가장 작은 알맹이를 보는 수퍼 현미경이자, 우주의 시작과 미래를 모두 볼 수 있는 타임머신과 같다”며 “20
세기
입자물리학의 가장 큰 성취는 표준모형을 ... ...
[사이언스N사피엔스] 고전역학에서 양자역학으로
2021.11.25
끌려가지 않으려면 태양 주변을 공전하는 행성들 마냥 핵 주위를 빙빙 돌아야 하는데, 19
세기
에 완성된 고전 전자기학에 따르면 전기를 띤 입자가 이처럼 원운동을 하면 전자기파를 방출해야 한다. 그 결과 전자는 계속 에너지를 잃어버리게 되고 공전반경이 점차 줄어들어 결국에는 원자핵으로 ... ...
'초' 재정의 위해 슈퍼컴·전파망원경 등 국내 첨단장비 총동원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1.24
가장 높은 정확도로 책정되는 시간 단위 ‘초’는 기술적 한계로 1967년 정의된 이후 반
세기
가 지나도록 재정의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 현재 ‘초’는 전 세계의 상용 원자시계와 세슘 원자시계로 측정되고 있다. 최근 세슘 원자시계보다 약 100배 정확도가 높은 광시계가 개발됨에 따라 ‘초’ ... ...
[코로나 생존, 끝나지 않은 굴레]① 감염자 3명 중 1명 후유증…국내선 현황조차 몰라
동아사이언스
l
2021.11.23
건강을 되찾은 사람부터 비록 격리생활을 했지만 별다른 증상 없었던 사람들까지 '21
세기
흑사병'으로부터 가까스로 목숨을 건진 수많은 사람들이 다시 일상으로 돌아왔다. 하지만 이들은 과연 코로나19 이전의 삶의 질을 되찾았을까. 11월부터 다시 코로나19 이전의 사회로 단계적 일상회복을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혁신의 그늘과 인류애의 폭력 사이에서
2021.11.18
발생하는 교통정체라는 이름으로 부른다. 역사적으로 가장 유명한 사례는 13
세기
유럽의 라인강에서 벌어진 참극이다. 당시 각 귀족들은 라인강 근처에 성을 짓고 각자 통행료를 징수했는데, 바로 이런 소유권의 중첩 때문에 결국 수백년간 아무도 라인강을 사용하지 않게 됐고 결국 전 유럽이 ... ...
지름 50m 지구근접 소행성 '카모 오알레와'는 달서 떨어진 파편
연합뉴스
l
2021.11.12
볼 때 약 100년 전부터 안정된 상태로 지구 주변을 맴돌아왔으며 이런 궤도는 앞으로 수
세기
에 걸쳐 더 지속할 것으로 분석했다. 하지만 카모 오알레와의 빛은 맨눈으로 볼 수 있는 희미한 별의 400만분의 1에 불과하고 크기도 워낙 작은데다 궤도상 매년 4월 몇 주간만 고성능 대형 망원경으로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아인슈타인이 노벨상을 받은 업적 '광전효과'
2021.11.11
측정했다. 플랑크 상수는 미시세계를 지배하는 가장 근본적인 자연의 상수이다. 20
세기
에는 자연의 상수를 모두 이와 비슷한 방식으로 실험을 통해 측정해서 그 값을 결정하였다. 그러나 지난 2019년 국제도량형국에서는 모든 단위를 자연 상수를 기준으로 해서 자연표준으로 바꾸기 위해 플랑크 ... ...
NASA 달 착륙 시간표 2025년으로 멀어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1.10
것보다 훨씬 더 빨리 우주비행사를 착륙시킬 수 있는 능력을 키워가고 있다”며 “반
세기
여만에 달에 착륙하는 첫 인류가 되고 싶다는 것이 NASA의 입장이며, 미국 정부의 입장이라고 믿고 있다”고 말했다. ... ...
이전
16
17
18
19
20
21
22
23
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