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미립자
원자에너지
에너지
에네르기
태자
황태자
전자
스페셜
"
원자
"(으)로 총 577건 검색되었습니다.
KAIST 찾는 유력 인사들.. 윤석열 "탈원전 비판"·김부겸 "규제 혁신"
동아사이언스
l
2021.07.06
학과 이름이 잘못 노출된 것이다. 이는 윤 전 총장 캠프 측에서 전날 방문한 서울대
원자
핵공학과와 명칭을 혼동해 벌어진 일로 보인다. 과학계 한 관계자는 "양자를 배제하고 핵을 강조하고 싶었는지도 모르겠다"고 말했다 ... ...
임혜숙 장관 "앞으로 1년 과기정통부 할 일 세 가지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7.05
것은 아니고 60년 동안
원자
력 의존도를 낮추는 것"이라고 말했다. 임 장관은 "소형모듈
원자
로(SMR)처럼 우리가 할 수 있는 것을 잘 활용해 우리와 원전 상황이 다른 나라에 수출하거나 해외 건설하는 곳에 적용을 추진해나가야 한다고 생각하다"며 "적극적 연구개발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국내 ... ...
또 멈춘 연구용
원자
로 '하나로'
동아사이언스
l
2021.07.03
밝혔다. 원인이 조사되는 대로 재발방지 대책을 확인한다는 계획이다. 김기환 원안위
원자
력안전과장은 “예전 세웠던 대책의 연장선상에서 좀 더 보완적으로 봐야 할 게 있는지, 아니면 또 다른 이슈가 있는지를 확인하고 있다”고 말했다 ... ...
달과 비슷한 크기에 태양 질량 1.35배 '극단적' 백색왜성 확인
연합뉴스
l
2021.07.01
ZTF J1901+1458이 중성자별로 진화하기에 충분한 질량과 밀도를 가져, 심(core) 내에서
원자
핵 내 양성자가 전자를 포획해 중성자를 형성하면서 심이 붕괴해 중성자별이 될 수도 있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중성자별은 대형 별이 초신성 폭발을 거쳐 형성하는 것으로만 알려져 있었는데, 연구팀의 이런 ... ...
오락가락 日 원전 정책…노후 원전 재가동 승인과 후쿠시마 제2 원전 폐로 하루 차이로 결정
동아사이언스
l
2021.06.24
후쿠이현에 위치한 미하마 원전 3호기로 강화된 규정이 도입된 이후 첫 사례다. 일본
원자
력위원회 부회장 출신으로 나가사키대 핵무기폐기연구센터 스즈키 타즈치로 부소장은 23일 로이터통신에 “미하마 3호기의 재가동 승인 전 지역에 보조금을 지원하는 등 승인 절차에 의구심이 든다”며 ... ...
[랩큐멘터리]가볍고 안전한 자동차 소재 발굴할 수학모델 찾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6.16
가질 지 결정된다. 보통 외부 자극이 커질수록 가소성이 증가한다. 가소성은 미시적
원자
에서부터 거시적 모습까지 여러 단계를 이해해야 하는 매우 복잡한 현상이다. 프레데릭 발랏 포스텍 철강에너지소재대학원 교수가 이끄는 ‘재료 역학 연구실’은 금속의 가소성을 완벽히 이해하기 위한 ... ...
신한울 1호기 운영허가 '불발'…다음 회의에 재상정
동아사이언스
l
2021.06.11
하나는 원전에 설치된 피동촉매형수소재결합기(PAR)의 안전성을 둘러싼 논란이다. PAR는
원자
로 격납 건물 내부의 수소 농도를 낮추는 장치로 지진이나 해일 같은 대형 재난이 발생하면 자동으로 원전 내 수소 농도를 낮춰 폭발을 막는다. 2011년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에서도 격납용기 내부의 ... ...
[랩큐멘터리]
원자
에서 소재의 본질 찾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6.09
이해하고 나아가 새로운 소재를 설계하는 데 기반이 되고자 한다. 포스텍 전자∙
원자
구조 이미징 해석 연구실 보기 ` ※대학 연구실은 인류의 미래에 어떤 일들이 펼쳐질지 엿볼 수 있는 창문입니다. 인류 지식의 지평을 넓히는 연구부터 실제 인간의 삶을 편하게 하는 기술 개발까지 ... ...
[표지로 읽는 과학]전사의 과정을 생생히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6.06
멈추게 한 뒤 정밀하게 관찰하는 전자현미경이다. 바이러스, 단백질 같은 생체 분자를
원자
수준에 가깝게 자세하게 볼 수 있다. 과학 연구에 혁신을 가져온 공로를 인정받아 극저온전자현미경을 개발한 과학자 3명은 2017년 노벨 화학상을 받기도 했다. 연구팀이 극저온전자현미경을 활용해 전사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코로나 시대에 꿈자리가 사나워진 이유
2021.06.01
‘꿈을 그리는 화가’로 불렸던 살바도르 달리의 작품 ‘비키니섬의 세 스핑크스’.
원자
폭탄 실험이라는 시사적인 주제를 다뤘다는 사실을 잊게 할 정도로 기발한 상상력이 돋보인다. 과적합뇌가설에 따르면 이런 그림을 감상하면 뇌의 과적합을 완화할 수 있다. ○ 꿈은 잠의 부가적인 기능 ... ...
이전
16
17
18
19
20
21
22
23
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