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강도
격렬함
계수
셈
힘
능력
효력
d라이브러리
"
세기
"(으)로 총 5,585건 검색되었습니다.
1 보이지 않는 세계를 대칭으로 생각하다
수학동아
l
2010년 12호
생각한 것을 보면 오래전부터 원소에게 대칭은 중요했던 거야.그뿐만이 아니야. 19
세기
에 돌턴은 원자를 구 모양이라고 말했어. 입체 도형 중에가장 완벽한 대칭 도형은 바로 구야.구는 중심을 통과하는 모든 면이 대칭면이 되기 때문에 대칭면이 무수히 많아.오래전 과학자들이 원소를 대칭 ... ...
내 안에 또 다른 나 있다
수학동아
l
2010년 12호
내가 프랙탈을 그려낼 수 있도록 가장 크게 도와준 것은 다름 아닌 컴퓨터였어.IBM은 20
세기
중반, 최고의 컴퓨터 회사였지. 내가 컴퓨터를 사용하기에 매우 적합한 환경이었어. 사실 내가 연구하던 프랙탈의 자료를 정리해 입력하고 분석하는 데 컴퓨터가 없었다면 프랙탈은 지금도 세상의 빛을 ... ...
바이오 이종 장기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숙제동물의 장기를 사람에게 이식하려는 시도의 역사는 짧지 않다. 기록에 따르면 17
세기
후반에 한 러시아의 귀족이 개의 뼈를 떼어다 머리에 이식한 적이 있다. 1960년대에는 영장류인 침팬지의 심장, 간 등을 환자들에게 이식했다. 하지만 대부분 2달을 넘기지 못하고 사망했다. 면역거부반응 ... ...
Part 1. 살아남은 50%의 슬픔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멸종하는 순간이었다. 발리 호랑이 말고도 카스피 해 호랑이와 자바 호랑이가 20
세기
중후반 차례로 지구에서 자취를 감췄다. 시베리아 호랑이의 일종인 한국호랑이도 한반도에서 볼 수 없게 됐다. 원인은 사냥과 벌채. 인간의 사냥으로 개체수가 줄고 숲을 벌채해 살 곳이 사라지자 천하의 호랑이도 ... ...
뇌 기계 접속 기술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수 있는 뇌파의 파형이 많아지면 더 자연스러운 대화를 할 수 있게 된다. BMI 기술은 20
세기
후반부터 시작됐다. 1998년 미국 에모리대 필립 케네디 박사와 로이 바케이 박사는 뇌졸중이나 루게릭병에 걸려 말을 할 수 없는 환자들의 머리에 전극을 꽂고, 적응 훈련을 시켰다. 수 주 동안 훈련을 받은 ... ...
Part 2. 과학이 아니다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생기는 압력의 변화 때문에 생긴다. 현대의학에서도 맥박을 진단에 사용한다. 주로
세기
, 맥박수, 규칙성 등을 본다. 심장과의 연관성은 당연하지만 그 외의 장기와 연관이 있다는 증거는 없다.각 손가락(검지, 중지, 약지)이 닿아 있는 세 부위의 맥박이 서로 다를 이유도 없다. 맥진기로 측정하면 세 ... ...
브누아 만델브로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재능을 가졌지만 전통적인 학풍에 적응하기 힘들어 했다. 더군다나 프랑스 수학계는 20
세기
초부터 직관보다 엄격한 논리체계와 형식미를 중시하는 ‘부르바키’ 그룹이 득세하고 있었다. 아이러니한 사실은 그에게 수학을 접하게 해준 삼촌 숄렘이 부르바키 그룹의 초기 멤버였다는 점이다. ... ...
익룡은 장대높이뛰기 선수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날 수 있다”고 덧붙였다.연구팀은 “익룡은 화석이 거의 남아 있지 않아 거의 한
세기
동안 연구가 이뤄지지 않았다”며 “앞으로도 익룡에 관한 연구를 계속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미국 공공과학도서관학술지(PLoS ONE)’ 온라인판 11월 15일자에 실렸다 ... ...
국기로 떠나는 세계여행
수학동아
l
2010년 12호
세계에서 가장 작은 독립국인 바티칸시국은 가로세로의 길이가 같은 국기를 사용한다. 14
세기
때부터 사용된 스위스의 국기도 정사각형이다. 세계가 함께 쓰는 기 국제연합(UN)이나 국제올림픽위원회(IOC)를 대표하는 깃발은 가로세로 비가 3:2다.국기는 일곱 종류 + α 지구에 수많은 나라가 있듯이 ... ...
꿈의 대회 창시자는 나! 콘스탄티노프
수학동아
l
2010년 12호
라운드를 준비했습니다.수학천재 콜모고로프 러시아의 수학자 안드레이 콜모고로프는 20
세기
통계학과 확률론, 위상수학 발전에 큰 공헌을 했다. 가르치는 것을 유달리 좋아했던 콜모고로프는는 모스크바에서 영재를 대상으로 특별강좌를 운영했다. 그는 수학의 어떤 분야를 연구해도 주목을 ... ...
이전
206
207
208
209
210
211
212
213
2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