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실험"(으)로 총 9,097건 검색되었습니다.
- [Career] 국내 뇌과학 연구의 미래를 엿보다 고려대 ‘뉴런(NEW LEARN)’과학동아 l2017년 11호
- 활동이다. ‘뉴런 인 스쿨(NIS·New learn In School)’이라는 이름으로 방학을 이용해 뇌 해부 실험을 하는 등 뇌과학 연구활동을 진행한다. 지난해에는 경기 양서고와, 올해는 서울 이화여고, 서라벌고와 진행했다. 4기 회장인 강윤영 씨(심리학과 3학년)는 “NIS에서 함께했던 고등학생들은 눈빛에서부터 ... ...
- [DJ CHO의 롤링수톤] 핑크 플로이드의 ‘달의 어두운 면’ 프리즘이 만든 무지개수학동아 l2017년 11호
- 강렬한 메시지로 사회적 파장을 일으키기도 했던 핑크 플로이드지만, 이들이 시도했던 실험 정신과 그 결과로 만들어진 진보된 음악은 끊임없이 다른 음악가들에게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 ...
- Part 2. 시금치, 두근두근 심장 조직으로 변신!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0호
- 건 무척 이상해 보일 수 있어요. 하지만 저희는 그 아이디어를 버리지 않았고, 실제로 실험을성공시켰답니다! 인공 혈관을 만드는 새로운 방법을 찾아낸 거죠.여러분도 다소 엉뚱해 보이는 아이디어라도 버리지 말고 끝까지 연구해 보세요! 더욱 많은 가능성을 펼칠 수 있을 거예요.▼관련기사를 ... ...
- [과학뉴스] 하품 전염되는 이유, 뇌에서 발견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찾았다. 연구팀은 성인 36명을 대상으로 하품을 참을 때 뇌에 어떤 변화가 일어나는지 실험했다. 참가자들에게 각각 하품을 하는 영상을 보여주면서, 경두개 자기자극술(TMS)로 뇌 운동 피질의 흥분도를 측정했다. 측정 결과, 개인차가 있지만 보통 하품을 참으려고 할수록 뇌 운동 피질의 흥분도는 ... ...
- [Origin] 남자 청소년 열에 아홉은 근시?과학동아 l2017년 10호
- 3년 동안 중국 광저우에 있는 초등학교 12곳에서 1학년 어린이 1900여 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했다. 연구팀은 6개 학교에서는 하루 40분씩 야외수업을 했고, 나머지 6개 학교에서는 기존에 하던 대로 실내수업을 했다. 3년 뒤 근시가 발병한 어린이 비율은 각각 30%와 40%로 다소 차이가 났다. ... ...
- Part 2. “소변에서 일부 화학물질 농도 2~3배 증가”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샤워 제품으로부터 유입될 가능성이 있다. 연구팀이 이 참가자의 일지를 분석한 결과, 실험을 진행하는 4일 동안 참가자가 샤워나 화장할 때 사용한 제품이 동일했다. 연구팀은 “소변 중 프로필파라벤의 농도 변화는 보습제 사용에 의한 것일 수 있다”고 해석했다. 최 교수는 “트리클로카반이나 ... ...
- Part 3. 실수 손님도 묵을 수 있을까?수학동아 l2017년 10호
- 짝지었다고 가정하고 시작했다. 그 다음, 이 목록에 없는 실수를 찾을 수 있는지 실험했다. 먼저 왼쪽 그림과 같이 자연수 n을 배정받은 실수의 소수점 아래 n번째 자릿수를 찾아 표시해 보자. 그러면 대각선을 따라 0.1257817…이 된다. 이제 이 수의 소수점 아래 수를 모두 원래 수와 다른 수로 바꿔 ... ...
- Part 3. 최첨단 시금치, 전자 기술을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시금치 잎에서 적외선이 나오면 스마트폰에 알림을 보내는 시스템도 만들었답니다.실험 결과, 폭발물이 있는 곳에 심어진 시금치는 잎사귀에서 적외선을 방출했어요. 이건 적외선 카메라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었지요. 또한 이를 스마트폰으로 알려 주는 데 10분밖에 걸리지 않았답니다.스트라노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쩌렁쩌렁 울리는 스피커를 만들어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청군 이겨라~! 백군 이겨라~!”섭섭박사님네 학교에서 운동회가 열렸어요. 응원단장인 섭섭박사님은 단상에서 열심히 응원을 하고 있었지요.“Cheer up baby~♪♬ Cheer up, 삐…이이…!”그런데 갑자기! 스피커가 고장 나서 음악이 나오지 않았어요. 운동회에 신나는 음악이 빠지면 안 되는데….어떻게 ... ...
- Part 4. 떠오르는 대세 ‘코스메슈티컬’과학동아 l2017년 10호
- 피뿌리풀 추출물이 피부 주름을 개선하는 데에도 효과가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세포 실험에서 레티놀 등 현재 주름개선 화장품에 주로 들어가는 성분들과 비교한 결과 주름 형성을 촉진하는 효소(MMP1)의 분비를 억제하는 효과가 가장 좋았다. 노 책임연구원은 “피뿌리풀 추출물을 피부 노화 개선 ... ...
이전2062072082092102112122132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