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우리"(으)로 총 14,892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뉴스] 화산폭발 규모, 우산 모양 화산재 구름으로 추정한다수학동아 l2021년 02호
- 에너지가 쌓이면 화산활동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과거에 존재했던 화산활동을 추적하면 우리가 밟고 있는 지각의 변화를 유추할 수 있죠. 로버트 콘스탄틴스쿠 미국 사우스플로리다대학교 지구과학과 연구원팀은 화산이 폭발할 때 나타나는 우산 모양의 화산재 구름을 분석해 과거의 화산폭발 ... ...
- [매스미디어] 음악과 함께 떠나는 영혼들의 여행, 소울수학동아 l2021년 02호
- 위치나 렌즈, 움직임이 잘 맞아야 해서 정말 까다로운 작업이었어요. 관객들에게도 우리가 담고자 했던 의도가 잘 전달되면 좋겠어요! 용어정리* 2차원 : 일반적으로 점이 만나 선을 이루면 1차원, 선이 만나 면을 이루면 2차원, 면이 만나 공간을 이루면 3차원이라고 말해요. 수학에서 차원이란 ... ...
- [게임 디자인 씽킹] 컴퓨터와 대결하는 규칙을 설계하라!수학동아 l2021년 02호
- 움직여 공을 받아넘기며 게임을 진행합니다. 1단계 좌표로 게임 화면 나타내기우리가 제작할 퐁에서는 왼쪽 판은 키보드의 화살표 키로 움직이고 오른쪽 판은 컴퓨터가 코드에 따라 움직임을 결정하도록 만들어 보겠습니다. 먼저 왼쪽과 오른쪽에 직사각형 모양의 판을 배치하고 가운데에 원 ... ...
- [KAIST 50년] 86학번-21학번 KAIST 캠퍼스 평행이론과학동아 l2021년 02호
- 하루 동안 기숙사에서 혹은 도서관에서 문제의 답을 찾기 위해 애썼다. 아마도 당시 우리 동기들이 갖고 있던 특별한 자존심 때문이었을 것이다. -19학번 바이오 및 뇌공학과 학생의 어느 하루- ●여느 하루 : 셔틀 타고 등교, 점심은 카이마루에서 “여기가 무슨 건물이지? 길을 못 찾겠어!” ... ...
- [막내기자의 과학실험실] 초콜릿 만들기, 영롱한 초콜릿의 비밀은 템퍼링!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이렇게 분자 가닥들이 모여 결정화하는 모양에 따라 고체의 성질이 달라집니다. 우리의 주인공, 카카오버터의 경우에는 녹는점에 따라 크게 여섯 종류(γ, α, β'III, β'IV, βV, βVI)의 결정 모양이 있죠. 이 여섯 가지 결정 중 가장 이상적으로 여겨지는 모양이 바로 ‘베타(βV) 결정’입니다. 베타 ... ...
- [야생동물이 사람을 두 번 만났을 때] 박쥐의 겨우내 도시살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살아갈 터전을 잃어가는 박쥐들이 어쩔 수 없이 선택한 장소가 건물 외벽 구석이라면, 우리도 기꺼이 그들이 편히 쉬어갈 자리를 내줘야 하지 않을까. 어쩔 수 없이 도심 어딘가에 자리잡은 박쥐가 부디 올겨울을 잘 날 수 있길 바라본다 ... ...
- [과동 키즈]잘 살고 있지? 지켜 줄 연구는 내가 할게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진행하면서 다른 활동을 하는 것이 시간적으로나 체력적으로 쉽지는 않지만, 사람들에게 우리와 다른 생물을 어떻게 대해야 하는지 알리는 것은 또 다른 보람을 느끼는 기회가 되기도 한다. 최근에는 야생 돌고래 개체군의 행동을 관찰하며 사람의 접근에 행동이 어떻게 바뀌어 가는지, 어떤 소리를 ... ...
- JOB 돋보기, 어떤 일을 하나요?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2호
- 이유를 찾고 수정해요. 게임의 처음부터 끝까지 ‘수학’이 활용된답니다. 건축가 │우리가 사는 건물은 ‘수학’으로 지어져요건축은 구조와 기능 그리고 아름다움이 함께 녹아들어야 하는 어려운 작업이에요. 그 작업에서 기하학은 빼놓을 수 없죠. 예를 들어, 튼튼한 구조물을 만들기 위해선 ... ...
- [층간소음 줄이기 대작전] 소음 측정 방식을 바꿔라!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쓰는 다다미 바닥의 특성을 고려해 큰 충격력(약 4500N*)을 내도록 설계됐지요. 하지만 우리나라는 바닥 구조가 콘크리트로 이루어져 있어 충격력이 너무 크고 실제 어린이들 뛰는 발소리와도 차이가 크지요. 대안으로 나온 방법이 임팩트볼이에요. 2.5kg 고무 재질의 공을 반복하여 떨어뜨리는 거예요 ... ...
- [하야부사 2호] 아직 끝나지 않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빨리 관측을 통해 얻어낸 자료를 분석해서 하야부사 2호의 설계에 반영해야 했지요. 우리 팀은 먼 거리에서 망원경만으로 정보를 얻어야 했기에 정말 애를 많이 먹었는데, 망원경만으로 추정한 류구의 모습과 실제 모습이 비슷한 것을 보고 안도감을 느꼈던 기억이 납니다. Q하야부사 2호는 어떻게 ... ...
이전2062072082092102112122132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