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첨예
급진
선구
끄트머리
앞장
엉덩이
d라이브러리
"
첨단
"(으)로 총 2,809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강의 두번째 기적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생수를 찾는 방향으로 파행의 길을 걷고 있다. 국가의 정책도 상수원을 지키는 것보다
첨단
처리 기술을 도입하는 쪽에 비중을 두고 있다. 강물은 더러워도 당장 마시는 물은 깨끗하게 만들어 보자는 생각이다. 팔당 댐 이북 상수원 보호지역에는 올해 들어 눈에 띄게 식당이나 호텔이 늘어났고, 얼마 ... ...
비틀대는 한국과학기술의 「싱크탱크」 활로는 없는가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그렇다고 정부에 반납하기는 아까워 돈을 쓰기 위한 연구집행이나 크게 필요치않은
첨단
장비를 구입하기도 한다.연구소 곳곳마다 먼지속에 쌓여있는 논문들이 비록 연구의 질을 평가하는 '잣대'가 모호하다고 해도 얼마나 국가과학기술발전에 기여했는가 하는 문제를 놓고 한번쯤 자기성찰을 할 ... ...
계면(界面)공학, 왜 각광받나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신소재의 응용이 오늘날
첨단
기술 산업을 이끌어 왔음을 감안할 때, 앞으로도 이와 같은
첨단
과학기술의 지속적인 연구개발만이 우리나라 경제 발전의 원동력이 될 것은 확실한 사실이다.우리나라 각 산업별로 주요한 계면공학 응용분야를 살펴보면 전자 통신 컴퓨터산업 같은 반도체 응용산업 ... ...
데이콤, 아산지구국 개통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데이콤이 지난달 7일 충남 아산에 위성지구국을 개통함으로써 본격적인 위성통신서비스 경쟁시대에 들어섰다.아산지구국은 한국통신의 금산 ... 직경 21m 크기의 위성통신용 안테나 2기를 포함, 고출력중폭기 저잡음수신기 등 각종
첨단
장비를 보유하고 있으며 최대 운용회선은 3천3백60회선 ... ...
한국신경과학학회 초대회장 박찬웅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10년을 뇌연구의 기간으로 선포했고 서방선 진 7개국의 정상들도 이미 뇌연구를 '인간
첨단
과학프로그램'으로 정해 이 분야 연구에 집중투자하고 있다.60년대 말 MIT의 야심만만한 젊은이들이 인간의 뇌를 꼭 닮은 컴퓨터의 개발을 꿈꿔온 이래 '마음이란 무엇일까, 기억은 어떻게 남는걸까, 말은 ... ...
첨단
기술 갖고 한국 찾은 옛 소련 과학자들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표정이 역력하다고 한다.한소과학기술협력센터 권오관소장(기계공학)은 "구 소련의
첨단
과학기술 특히 군사 및 항공우주 핵에너지기술의 해외유출에 관해 미국 등 선진국들이 크게 우려하고 있고 CIS 내부 체제가 정비되면 현재와 같이 싼값으로 핵심기술을 이전받기가 어려워질 것"이라고 ... ...
새로운 단백질 찾는 열쇠 cDNA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존재를 밝힘으로써 대상질환의 조기진단이 가능해지고, 나아가 유전자치료법과
첨단
의약제 개발에 cDNA를 긴요하게 활용할 수 있다. 또한 cDNA의 발현산물인 단백질들이 의료산업뿐 아니라 식품산업 화학공업 환경산업 에너지산업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기 때문이다.더욱이 현재 밝혀진 단백질의 ... ...
2.
첨단
용구와 스포츠웨어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스포츠웨어에 대한 개발도 경기 못지않게 매우 치열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이외에도
첨단
과학을 동원한 스포츠용 기구 및 보호장비가 많다. 테니스 라켓의 경우 팔꿈치에 미치는 진동을 최소로 줄이기 위해 흑연(graphite)이나 붕소(boron) 등의 신소재를 이용하여 개발하고 있다. 이들 신소재들은 ... ...
국내반도체산업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6메가D램손톱만한 크기에 신문 1백18페이지에 해당하는 1백2만4천자를 기억시킬 수 있는 최
첨단
반도체. 후지쓰 히타치 NEC 등 일본 반도체 메이커들이 89년부터 시제품만 내놓고 있을 뿐 아직 완제품은 나와 있지 않다. 우리나라도 지난 90년 전자통신연구소를 중심으로 삼성 금성 현대 등 반도체 3사가 ... ...
시공을 뛰어넘는 원격체험 TE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이르렀다고 말할 수 있다. 일본 통산성이 추진중인 극한작업 로봇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첨단
과학센터가 개발한 TE시스템은 사람이 머리에 쓴 디스플레이를 통해 멀리 있는 로봇의 주위를 입체적으로 보며 컨트롤러로 로봇의 팔을 작동시킬 수 있게 고안됐다.이 작업로봇은 사람의 명령에 따라 1초에 ... ...
이전
206
207
208
209
210
211
212
213
2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