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순서
경로
경과
코스
절차
단계
진행
d라이브러리
"
과정
"(으)로 총 11,556건 검색되었습니다.
[SW 진로체험] 수학은 난관을 깨뜨리는 망치
수학동아
l
2019년 10호
학생에게 조언해 주세요!김기문 학생 때는 어떤 일에 도전했다가 결과가 안 좋아도 그
과정
에서 많은 걸 배울 수 있죠. 그런데 연구할 때는 결과도 굉장히 중요해요. 그렇다고 실패가 두려워서 포기하지 않았으면 해요. ‘실패가 아니라 효과가 없는 방법을 발견한 것뿐’이라고 말한 미국의 발명가 ... ...
몸속으로 들어간 바다의 보물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0호
접착제를 사용하면 상처를 꿰매지 않고도 간단하게 봉합할 수 있어요. 상처가 아무는
과정
에서 접착제는 몸속에서 자연스럽게 분해되고요. 몸속 장기에 구멍이 뚫렸을 때에도 홍합 접착제로 막을 수 있어요. 특히 부피 변화가 심한 방광의 경우, 접착제도 방광과 함께 늘어나거나 줄어들 수 있어야 ... ...
[스미스의 탐구생활] 엘리베이터의 변천사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0호
311개의 부품으로 나만의 구슬 미끄럼틀과 간단한 엘리베이터를 만들어 봐요. 그
과정
에서 ‘톱니바퀴’와 ‘축바퀴’의 원리도 배울 수 있어요. 톱니바퀴는 톱니의 맞물리는 힘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장치예요. 다른 톱니를 돌리거나 체인을 이동시킬 수 있지요. 마블런 엘리베이터의 손잡이를 ... ...
블랙홀 어떻게 만들어질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0호
거쳐 만들어졌을까요? 블랙홀은 별이 죽을 때 태어난다?! 블랙홀이 만들어지는
과정
을 알기 위해서는 별의 일생을 알아야 해요. 별은 우주 공간에 존재하는 물질들이 서로의 중력으로 뭉치면서 태어나요. 일 정한 밀도 이상으로 물질이 모이면 핵융합 반응이 일어나며 빛을 내는 아기별이 탄생해요 ... ...
법률 자문 놓고 첫 대결 AI 변호사 vs. 인간 변호사 진검승부
과학동아
l
2019년 10호
말을 ‘대포’ ‘통장’ 등 형태소별로 인식한다.이후 복합명사 처리를 거쳐야 한다. 이
과정
에서 사전의 의미와 다르게 쓰이는 용어를 재분석한다. 임 대표는 “대포통장은 통장에 대포를 더한 단어이지만, 실제로는 통장을 개설한 사람과 실제 사용자가 다른 비정상적인 통장을 뜻하는 것으로 ... ...
지능×뉴런 지능은 어디에 있을까
과학동아
l
2019년 10호
물론 두정엽-소뇌 사이에서도 구조 네트워크가 다양한 활동을 위해 지능이 발현되는
과정
에서 관찰됐고, 측두엽과 전두엽에서도 이런 상관관계가 확인됐다. 지능과 관련돼 있다고 알려졌던 두 영역 이외에 다른 부위도 지능 발현에 활발하게 참여하고 있던 것이다. 이 밖에 IQ가 높은 사람의 경우 ... ...
로봇에게 희로애락이란 프로그래밍에 의한 반응일 뿐
과학동아
l
2019년 10호
건 가능할까요? 정말 대답하기 어려운 질문입니다. 우리 뇌에서 감정이 만들어지는
과정
은 아주 복잡하고, 아직 밝혀지지 않은 부분이 많기 때문입니다.감정이란 무엇일까요? 어디서 생겨나고 어떻게 작동하는 것일까요? 단지 뇌에서 만들어내는 화학물질인 호르몬에 의해 만들어지는 반응일까요? ... ...
성균관대-KAIST-고려대 국내 첫 AI대학원 수업 들어보니
과학동아
l
2019년 10호
AI대학원과 달리 석사
과정
이 없다. 연간 50여 명의 정원 전원을 박사
과정
또는 석박사 통합
과정
으로 선발한다. 첫 학기인 이번 학기에는 총 28명을 선발했다 ... ...
Q. 오염수를 왜 바다에 버리려고 하는가?
과학동아
l
2019년 10호
방사성 물질이 든 오염수를 원전 밖에 설치할 경우 주민들이 강력히 반발할 테고, 수송
과정
에서 오염수가 유출될 가능성도 있기 때문입니다.김 책임연구원은 “일본은 오염수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으로 크게 5가지를 고려하고 있다”며 “오염수를 정화하고 희석한 뒤 해양에 방출하는 방안은 ... ...
호금조, 다양한 머리 색의 비밀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0호
이상한 점은 상대적으로 검정, 노란 머리 수컷은 암컷에게 인기가 적은데도 진화
과정
에서 사라지지 않고 남아있다는 점이에요. 보통 생물들은 진화를 거치며 생존에 유리한 특성만 살아남는데, 호금조는 그렇지 않고 다양한 머리 색을 유지하고 있지요. 이에 과학자들은 호금조의 행동을 ... ...
이전
207
208
209
210
211
212
213
214
2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