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교수"(으)로 총 12,487건 검색되었습니다.
- 예술도 이제 과학적으로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5호
- , 김윤철(스튜디오 로쿠스 솔루스 운영 작가), 민세희(서강대학교 아트앤테크놀로지학과 교수), 신창호(한국예술종합학교 무용원 교수, 국립현대무용단 안무가), 국립현대무용단, 갤러리현대, 미디어아트 그룹 슬릿스코프 ▼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 Intro. 예술도 이제 ... ...
- Let’s dance 인공지능, 안무가로 화려한 데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5호
- . “규율에서 벗어나 새롭게 도전해 보세요.”_신창호(한국예술종합학교 무용원 교수, 국립현대무용단 안무가) Q인간과 인공지능이 만드는 안무는 어떻게 달랐나요?대부분의 전문 무용수들은 정규교육과정을 밟아요. 무용엔 단계별로 움직이는 패턴이 있어 ‘이 동작 다음엔 어떤 ... ...
- [탐험대학] 생태, 인공위성, 공룡...집중 탐험 시작!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5호
- 해 본 학생들은 장이권 교수님께 녹음 파일을 보내 소리를 분석하는 시간도 가졌어요. 장 교수님은 소리 분석 프로그램으로 파일을 살펴보며, 소리 수집 시 주의사항을 들려주셨지요.“좋은 녹음 장비를 사용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생물의 행동을 이해하는 게 가장 중요해요. 생물이 활동하는 시간과 ... ...
- 데이터에 예술을 더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5호
- 새로운 데이터에 적응하지 못하는 ‘오버피팅’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는 거예요.민 교수는 “기계는 학습에 의해서만 세상을 인식하는 한계가 있다”며, “다양한 집단의 데이터를 갖지 않으면 ‘다수’만이 옳다고 판단하고, 소수를 배제 시키는 위험이 있다”고 말했어요. 이어 “데이터 시각화 ... ...
- [슬기로운 동물원 생활] 사자 '도도'가 식욕을 잃은 까닭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5호
- 되찾은 모습이었어요. 도도를 살리기 위해 한달음에 달려와 준 충북대학교 수의대 교수님들, 도도의 수술 성공을 위해 수술 실패 경험을 공유해 준 서울과 대전의 동물원 수의사들에게 정말 감사했답니다. # 2020년 6월 28일, 건강하게 지내자, 도도야!큰 수술을 한지 어느 덧 6개월이 경과되었어요. ... ...
- [한장의 과학] 생각보다 더 크고 강했다! 딜로포사우루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5호
- 근거로 딜로포사우루스의 공기주머니도 새와 같은 기능을 했을 것으로 설명했지요. 로위 교수는 “딜로포사우루스는 영화로 유명해졌지만 사실 어떤 특징이 있는지, 어떻게 진화했는지 등은 잘 알려지지 않았다”며 “추가 연구를 통해 딜로포사우루스의 진화 과정을 알아볼 계획”이라고 ... ...
- [지구사랑탐사대] 코로나19에도 새는 운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새의 울음소리를 듣고 구분하며, 데이터 수집을 위해 앱에 소리를 녹음했어요. 장이권 교수님은 “도시와 시골의 배경 소리가 다른 만큼 새도 사람처럼 지역마다 울음소리 패턴이 다르다”며, “같은 종이라도 쓰는 사투리가 다르기 때문에 다양한 소리를 모으고 있다”고 탐사 목적을 ... ...
- 비둘기 깃털에서 아이디어가 반짝! 태양광 비행기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안녕하세요. 어린이과학동아의 실험맨, 정한길 기자예요. 최근 흥미로운 뉴스를 하나 봤습니다. 한국항공대학교에서 만든 태양광 무인 비행기 ‘KAU ... 항공연구본부 선임연구원), 배재성(한국항공대학교 항공우주및기계공학부 교수), 박상혁(한국항공대학교 항공우주및기계공학부 교수 ... ...
- [현장취재] 박쥐 탐사대, 도시 박쥐를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관심을 갖고 있었어요. 지도 교수님이셨던 일본 교토대학교 영장류연구소 데이비드 힐 교수님이 박쥐를 연구하셨거든요. 덕분에 옆에서 박쥐에 대한 이야기를 많이 들었고 익숙했던 터라, 흔쾌히 제안을 받아들였죠. 현재는 관박쥐의 짝짓기 습성에 대해 연구하고 있어요. 포유류인 관박쥐는 ... ...
- [통합과학 교과서] 과자보다 맛있는 복숭아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약 100년 동안 북미와 유럽의 기온과 호박벌의 개체 수를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어요. 커 교수는 기온이 오른 지역에서 꿀벌과에 속한 호박벌 개체 수가 크게 줄어들고, 무분별하게 살충제를 사용한 지역에서 꿀벌의 수가 줄어들었단 사실을 알아냈답니다. 이렇게 꿀벌의 수가 줄면 수분이 잘 일어나지 ... ...
이전2072082092102112122132142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