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동물"(으)로 총 6,508건 검색되었습니다.
-
- [News & Issue] 아름답고 섬뜩한, 체르노빌의 곤충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처음부터 피폭된 곤충에 관심이 있었던 것은 아니다. 그는 1967년부터 스위스 취리히대 동물학박물관에서 과학 일러스트를 그리는 작가로 일했다. 주된 업무는 돌연변이 유발제 EMS(에틸메탄술폰산염)를 먹인 돌연변이 초파리의 세밀화를 그리는 것. 주로 머리 부분에 돌연변이를 가진 초파리들이 ... ...
-
- [Knowledge] 공룡의 그늘 밑에서 살아 남아라!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살아갈 길을 찾았다. 비록 전성기인 트라이아스기의 화려함은 사라졌지만, 악어는 다른 동물들이 미처 차지하지 못한 여러 생태적 지위(niche) 속으로 비집고 들어갔다. 그리고 이를 통해 공룡의 그늘 밑에서 조용한 제 2의 전성기를 맞이할 수 있었다. 굵고 짧게 가는 전략은 버렸지만, 대신 가늘고 ... ...
-
- [Knowledge] 사람은 이름을 남기고, 명견은 명견을 남긴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된다. 자연 배란된 개를 구해야만 한다는 얘기다.어려운 문제가 하나 더 있다. 대부분의 동물은 난자가 성숙한 뒤 배란되지만, 개의 난자는 미성숙 상태로 배란돼 난관을 따라 내려오는 3일 동안 성숙된다. 배란한 지 딱 3일 된 난자를 꺼내야만 한다는 얘기다. 만약 배란된 것만 보고 배를 일찍 ... ...
-
- 과학수사대 ‘능력자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4호
- 하는 동물의 어깨뼈엔 세로로 위치해요. 또 사람의 척주와 동물의 척주를 비교했을 때, 동물의 극돌기가 사람보다 훨씬 튀어나와 있어요.실제로 과학수사대원들은 신체 각 부분의 뼈 모양과 이름을 배우고, 조립도 해보는 교육을 받는답니다.[*흉추 : 가슴 부분에 있는 척추뼈. * 척주 : 우리 몸통의 ... ...
-
- 생존전략 1. 화려한 꽃 미인계수학동아 l2016년 04호
- 만들어져 줄기를 타고 끝부분으로 가 꽃을 피운다고 결론지었다.과학자들은 동물과 마찬가지로 식물에서도 호르몬을 분리해 연구한다. 그 결과 씨앗에서 싹이 틀 때, 줄기가 햇볕을 향해 자랄 때, 기온이 뚝 떨어져 낙엽이 생길 때처럼 다양한 경우에 어떤 호르몬이 각각 어떤 작용을 하는지 ... ...
-
- [과학뉴스] 국내 첫 ‘오랑우탄 거울실험’, 다큐로 나온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 자의식․이타성․공감능력 등 인간만이 보유한 것으로 여기던 특성(인격체)을 가진 동물들을 어떻게 바라봐야하는가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다. 이번 다큐멘터리는 크라우드펀딩으로 후원자 160여 명에게 508만 원을 모아 제작됐다. 남 기자는 “3월 25일 시사회를 마친 뒤 환경영화제 출품을 거쳐 ... ...
-
- [Knowledge] 삶과 죽음이 함께 하는 공간 ‘시체농장’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인류학연구시설(ARF), 별칭 ‘시체농장(Body Farm)’의 첫 한국인 연구원이다. 시신이나 동물 사체의 부패 과정을 연구하기 위해 세운 시설을 시체농장이라고 일컫는다. 현재 미국에서 운영되고 있는 시체농장은 모두 6곳인데 1980년에 설립된 테네시대의 시체농장이 가장 오래됐고, 나머지는 모두 지난 1 ... ...
-
- [Knowledge] 협력과 배신, 그 아슬아슬한 줄다리기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돌아올 이득이 아주 크다면 상대방에게 옥시토신을 뿌리는 것 정도야 일도 아니죠.동물은 모두 합리적이고 매우 이기적입니다. 스스로의 안위와 관련된 일이라면 크든 작든 최대한의 이익을 얻는 방향으로 행동하기 마련이죠. 이를 옳거나 그르다고 판단할 수는 없습니다. 다만 확실한 건 배신이 ... ...
-
- [Tech & Fun] 누군가가 멀고 밉게 느껴진다면…과학동아 l2016년 04호
- 편을 가르는 동물이다. ‘내 편’이라면 처음 만난 이도 반기는 게 사람의 마음이다. 방금 실험실에서 무작위로 나눈 그룹에 대해서도, 왠지 자신이 속한 집단의 사람이 다른 집단보다 성격과 능력이 좋을 거라는 평가를 하기도 한다. 어떤 사건의 용의자를 지목해보라는 지시를 받았을 때도, 별다른 ... ...
-
- 거꾸로 푸는 역문제수학동아 l2016년 04호
- 자연스럽게 역문제를 풀고 있다.전기물고기 외에 역문제를 해결하며 살아가는 동물에는 박쥐가 있다. 박쥐는 초음파를 활용해 주변이 깜깜한 어둠 속에서도 무엇이 어디에 있는지 알아낸다. 덕분에 동굴 속에서도 부딪치지 않고 자유롭게 날아다닐 수 있다.프로파일러가 말한 역문제는 이미 우리 ... ...
이전2072082092102112122132142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