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낭세포
배낭
베낭
세포단체
단체
원형질체 단위
cell
d라이브러리
"
세포
"(으)로 총 4,737건 검색되었습니다.
바이오 이종 장기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바로 ‘초급성 면역거부반응’이다. 다른 동물의 장기를 사람의 몸에 이식하면 순식간에
세포
가 허물어지는 증상이다. 만일 어떤 방법을 써서 면역거부반응을 획기적으로 줄였다고 해도, 아직 숙제는 남는다. 수술 뒤 감염 같은 합병증을 줄이고 정상적으로 살 수 있게 하는 연구도 더 진척돼야 한다 ... ...
Part 1. 한의학은 과학이다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했다.배 교수는 “봉독의 경우 자체가 항염증 작용을 하는 게 아니라 인체의 면역
세포
의 활동을 조절해 작용하는 것으로 보인다”며 “위장 장애나 간 손상 같은 부작용이 있는 기존 소염진통제와는 달리 별다른 부작용 이 없는 것도 큰 장점”이라고 덧붙였다. 한약은 독이다? [지난해 ... ...
향기가 퍼져나가는 이유는?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내부의 다양한 기작을 통해 109분의 1 정도의 확률로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다. 한 개의 체
세포
가 사멸할 때까지 발생할 수 있는 잘못 복제된 염기의 최대치와 DNA 총량에 대한 오차 비율을 구하시오. 이와 함께 복제 과정에서의 오차율이 낮은 이유를 DNA의 구조와 연결해 설명하시오. 전문가 클리닉 ... ...
‘빛 좋은 개살구’가 보약이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때문이랍니다. 라이코펜에는 항암효과와 항산화효과 , 노화방지효과가 있습니다. 암
세포
를 키우는 작은 단백질(IGF-1)을 억제시키거든요. 최근에는 라이코펜이 몸에 안 좋은 콜레스테롤(LDL)이 혈관 안에 쌓이거나 산화하는 현상을 방해해 심혈관질환을 예방한다는 사실도 밝혀졌답니다. 청이 ... ...
흑인 부모는 어떻게 백인 아기를 낳았을까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표면에 있는 ‘멜라노코틴-1 수용체’다. 이 수용체가 호르몬과 결합하면
세포
는 피오멜라닌 대신 어두운 유멜라닌을 생산하게 된다.이 수용체의 유전자 염기서열에는 다양한 변이가 존재해 같은 인종에서도 다양한 농도의 피부색이 나타난다. 예를 들어 이 단백질의 일부가 다른 아미노산으로 바뀐 ... ...
[생물] 물질은 순환한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CO2와 결합할 수 있다. 즉 C4식물의 경우 C4 경로는 엽육
세포
에서, 캘빈 회로는 유관속초
세포
에서 일어나도록 공간을 분리했다. CAM식물은 선인장과 같은 사막 식물로서 수분 손실을 막기 위해 낮에는 기공을 닫고 밤에만 기공을 열어 CO2를 흡수하고 고정한다. 이때 C4 유기물 상태로 액포에 저장했다가 ... ...
인간은 얼마나 극한 환경을 견딜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물에 빠지거나, 보온에 신경쓰지 못하면 언제든지 일어날 수 있다. 저체온에 빠지면
세포
의 대사 과정이 저하되고 몸 안의 항상성을 유지하는 메커니즘이 하나씩 정지하게 된다. 한 가지 더. 추위를 피하기 위해 술을 먹는 것은 절대 금물이다. 알코올은 몸이 떨리는 것을 막고 피부의 혈관을 ... ...
그 곳에 생명이 있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동물이 질산염 호흡을 하면 항상성을 유지하게 위해 에너지가 많이 들어간다”며 “
세포
내에서 이를 해결하는 방법이 있어야 한다”고 설명했다. 염소로 호흡할 수 있다는 주장도 있지만 가능성은 낮다.SF영화나 소설에서 가장 흥미롭게 다루는 소재는 규소로 이뤄진 생명체다. 지구생명체를 ... ...
‘시험관 아기’로 신의 섭리 넘어서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등이 개발됐다. 서울대 인구의학연구소의 오선경 박사와 김희선 연구원은 인간 배아줄기
세포
주를 확립해 국내에서도 재생의학을 연구할 수 있는 길을 개척했다. 현재는 여성 암환자가 난자 또는 배아를 냉동 보관했다가 암 치료가 끝난 뒤에 아기를 갖도록 하는 시험관 아기 시술법도 활발히 진행 ... ...
세계는 지금 특허 전쟁 중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기준과 지적재산권을 보호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에 대해 고민해 봤다. 배아줄기
세포
관련 논문조작으로 불명예를 안은 황우석 전 서울대 교수는 ‘과학에는 국경이 없지만, 과학자에게는 조국이 있다’는 파스퇴르의 말을 인용했다. 지금은 포퓰리즘적인 발언으로 치부돼 꺼내는 것조차 ... ...
이전
207
208
209
210
211
212
213
214
2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