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전문의"(으)로 총 6,723건 검색되었습니다.
- ‘중력파’ 검출 바이셉2 연구, 사실은 잡음?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지난 3월 17일 전세계를 흥분의 도가니로 몰아 넣은 ‘우주배경복사 속 중력파 흔적’ 연구가 우주에서 오는 잡음(노이즈)에 의한 오차 때문이라는 주장이 나와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프랑스 파리-수드대 입자물리학자 아담 팔코스키 박사가 12일 자신의 과학 블로그 ‘레조너스(résonancesㆍ울림, ... ...
- “진주운석이 소중한 건 우주 궤도를 알 수 있기 때문”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운석의 모체인 유성체의 시간을 거꾸로 되돌려 지금부터 천 년, 만 년 전부터 어떤 경로로 지구에 왔는지 아는 게 중요합니다. 운석을 연구하는 이유 중 하나이지요. 이렇게 태양계를 역학적으로 분석하는 것은 태양계의 진화를 이해하는 중요한 방법입니다.”5월 17일 ‘제9회 과학동아카페’에 ... ...
- 의사도 모르는 의학이야기4 - 세월호 트라우마 어떻게 치료해야 할까과학동아 l2014년 06호
- 2014년 4월 16일, 세월호 참사는 수백 명이 사망한 사고는 많은 분들에게 충격과 공포 혹은 슬픔과 분노를 불러일으켰 어요. 세계 조선업 1위이자 ‘과학대국’이라는 평판이 부끄러울 정 도로, 우리는 배가 조금씩 바다 속으로 가라앉는 것을 멍하니 보 고 있어야 했죠. 그리고 하나둘 숨겨져 있던 사 ... ...
- 게임, 내손으로 디자인한다! 수학동아-넥슨 게임 카페수학동아 l2014년 06호
- 한 번 빠지면 헤어나기 힘든 치명적인 매력을 가진 게임! 최근에는 남녀노소, 나이를 불문하고 많은 사람들이 게임을 즐긴다. 그런데 이런 게임을 직접 만들기 위해서는 수학적 사고력이 필수라는데….왜 그런지 알아내기 위해 수학동아 독자 22명이 나섰다. 지난 5월 10일 넥슨에서 ‘바람의 전설 ... ...
- 우리 학과 뭘 배우지?과학동아 l2014년 06호
- BEST 어디를 가도 BIO요즘은 생명과 전혀 관련 없어 보이는 공학이나 예술 분야에서도 ‘생명’을 주제로 연구하고 있어. 의료기기를 설계하거나 생명 실험실에서 쓰이는 사진들이 예술로 인정받고 있기도 하지. 어떤 분야로든 진출할 수 있다고!WORST 산업화는 시기상조생명과(공)학 분야를 연구해서 ... ...
- Part 2 수학으로 세운 승부 전략!수학동아 l2014년 06호
- 6.18 러시아 vs 대한민국, 그래프로 분석하라!패스를 그래프 이론으로 분석한 영국의 수학자!최강 조직력을 자랑하는 러시아를 상대로 우리나라가 첫 승을 거두려면 무엇보다도 자국과 상대팀에 대한 철저한 분석이 필요하다. 많은 스포츠분석가들이 저마다의 방법으로 전술을 분석하는 가운데, 수 ... ...
- [시사] 김민형 옥스퍼드대 교수의수학 산책 마이클 아티야의 수학 세계수학동아 l2014년 06호
- 지난 4월 22일 마이클 아티야(Michael Atiyah) 경의 85세 생일 기념 학회가 옥스퍼드에서 개최됐다. 아티야는 20세기 후반부터 영국 수학계의 대부 역할을 해오고 있는 수학자다. 이날 대수와 기하, 우주 사이의 오묘한 연결점에 대해 공상할 기회를 가졌다.아티야 생일 기념학회마이클 아티야는 미국의 ... ...
- '모른다는 것'이 천문학 연구의 매력 (타이탄 연구자 심채경 박사)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전화를 받고 그제서야 ‘내가 위성 전공자구나’하고 깨달았다니까요.”위성 전문가를 찾아 물어 물어 연락이 닿은 심채경 경희대 우주탐사학과 연구원은 처음에는 당황했다고 했다. 심 박사는 국내에서 보기 드물게 위성을 정통으로 공부한 전문가. 토성의 위성 타이탄의 대기를 분석한 연구로 ... ...
- 장금이는 왜 짚신나물을 빻아 연생이 다리에 붙였을까?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장금이는 왜 짚신나물을 빻아연생이 다리에 붙였을까?2003년 9월 15일, 우리나라에서 기념비적 드라마가 첫 방송됐다. 세계적 인기를 누린 ‘대장금’이다. 의녀 장금의 모험담뿐만 아니라, 우리 야생화 200종으로 만든 궁중음식과 각종 약재를 만나는 것도 큰 즐거움이었다. 마침 충남 서천 국립생태 ... ...
- 와인 잔에 든 맥주가 더 맛있다! 음료와 컵의 밀당과학동아 l2014년 06호
- 대학교 MT를 가면 꼭 챙겨가는 종이컵과 맥주. 하지만 이상하게도 종이컵에 따라 마시는 맥주는 맛이 없다. 차라리 그냥 캔으로 먹는 게 훨씬 더 맛있다. 나만 그렇게 생각하는 것도 아니다. 미국 미시간대 아라드나 크리슈나 박사팀의 2008년 연구에서도 그랬다. ‘사람은 단단한 그릇에 담겨있는 음 ... ...
이전2072082092102112122132142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