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안내
지휘
통솔
맵
길잡이
약도
기로
d라이브러리
"
지도
"(으)로 총 3,081건 검색되었습니다.
열역학의 시인 일리아 프리고진 타계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가능케 했다. 이러한 그를 ‘열역학의 시인’이라고 부르는 것은 너무나 자연스러운 일인
지도
모르겠다.열역학 제2법칙에의 도전, 여러 분야의 자연과학과 사회과학에 종합적으로 적용되는 학설을 제시함으로써 이뤄진 학문 분야 간의 대화, 뉴턴의 결정론적인 기계론에 대한 도전, 이로 인해 ... ...
국내 최고 논문왕 자랑하는 수학자 박세희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많았어요. 수학에서 기본적인 것이 무엇일까가 항상 궁금했어요. 그런데 대학원 석사
지도
교수님이 위상수학을 전공하셨던 분이었어요. 여러 선배들이 수학기초론은 너무 어렵고 연구자들끼리나 서로 죽이 맞아 얘기하는 분야라고 하면서 위상수학을 하라고 권했어요. 당시에는 잘 이해도 못하면서 ... ...
4백만년 전 묻힌 인류의 조상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이들의 내부자유도와 관계가 없다 대표적인 단원자기체는 He, Ne 등의 비활성기체이다
지도
투영법(投影法)의 하나 한 개의 위선(韓線)을 따라 지구의(地球儀)에 접하도록 원뿔을 씌운 후 시점(視點)을 지구의의 중심에 두고 경위선을 투시하여 전개한 도법이다 일조시간이 짧은 계절에 번식활동이 ... ...
미항공우주국과 함께 하는 우주망원경 갤렉스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1백배나 넓어서 수백만개의 은하들을 두루 관측해 자외선영역에서 우주의
지도
를 작성할 수 있다.갤렉스(GALEX)는 말 그대로 하면 ‘은하진화 탐사선’(Galaxy Evolution Explorer)의 약자다. 한마디로 자외선을 많이 방출하는 은하들을 관측해 우주를 구성하는 기본단위인 은하의 진화를 살펴보겠다는 ... ...
생명체 복잡성 실체는 항공망 네트워크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최근 들어 인류가 지구 환경을 훼손시킴으로써 스스로 여섯번째의 재앙을 초래하고 있는
지도
모른다는 주장이 과학자들 사이에서 나오고 있다. 이러한 주장의 타당성을 검증하고, 또 무엇보다 만일의 사태를 피할 방법을 찾기 위해서는 당연히 복잡한 생태계 네트워크의 작동원리를 잘 파악하고 ... ...
1 인간은 머리기른 침팬지?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침팬지게놈 연구의 초안을 마련했다는데 큰 의의가 있다”고 말한다.물론 물리
지도
의 완성만으로도 침팬지와 인간게놈의 상동성을 어느 정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마치 대통령선거에서 출구조사만으로 당선자를 예측하는 것과 비슷하다. 하지만 박 박사는 “침팬지게놈의 전체 염기서열이 ... ...
우리가 잘 모르는 보석 이야기 3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유명한 ‘루비’들이 사용돼 왔다. 두 보석 모두 강렬한 붉은 빛을 띨 뿐만 아니라 산
지도
동일한 경우가 많아 혼동된 결과다.광물학과 보석학의 발달로 이제 더이상 루비와 스피넬을 혼동하는 일은 없다. 하지만 아직도 일반인은 보석에 관한 상식이 많이 부족한 편이다. 주위에서 그 이름을 흔하게 ... ...
인간게놈
지도
100% 완성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3분의 1을 실시한 영국 웰컴 트러스트 생거 연구소의 앨런 브래들리 교수는 “인간 게놈
지도
를 완성함으로써 얻는 의학적 혜택은 엄청날 것”이라고 말했다. 일례로 20번 염색체의 염기서열 해독은 당뇨병, 백혈병, 어린이 습진 같은 질병과 연관된 유전자를 찾는 연구를 가속화시켰다고 브래들리 ... ...
지구에서 자기장이 사라진다면?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일컫는 말이다. 일반적인 날씨가 때로 막대한 경제적 손실을 가져오고 심지어는 생명까
지도
앗아가듯이 우주날씨도 때로는 아주 심각한 피해를 일으킨다.우주날씨는 태양의 변화가 주된 요인이다. 태양에서 코로나 물질 방출이나 플레어와 같은 폭발 현상이 나타나면 수십-수백억t의 물질이 초속 ... ...
5mm 톡토기에서 진화를 추적하는 생물학자 이병훈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교수는 프랑스 국립자연사박물관 생태학 연구소에서 문헌 걱정도 없이 톡토기 전문가의
지도
를 받으며 한 걸음씩 앞으로 나아갔다. 그러자 차츰 톡토기 신종이 눈에 들어오기 시작했다. 그는 아침마다 연구실에서 현미경을 들여다보기 시작하면 가슴이 두근두근 거릴 정도로 흥분되는 시절이었다고 ... ...
이전
207
208
209
210
211
212
213
214
2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