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절
당
파
편의
편익
떡
떡밥
d라이브러리
"
편
"(으)로 총 4,072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1 인간광우병 환자 프리온이 MM형인 이유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문득 옛 사람의 말이 떠오른다.“바꾸어서 그리 이득이 없는 것, 그것은 바꾸지 않는
편
이 낫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광우병의 진실 PART1 인간광우병 환자 프리온이 MM형인 이유 PART2 미지의 질병, 광우병 파헤치기 우주에서 돌아온 뒤 그들은 무얼 ... ...
스무 살 성인 된 V3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저장된 데이터를 모두 파괴한다. 당황한 사용자들이 다급히 나를 찾았다.뿌듯한 마음 한
편
으론 씁쓸한 기분을 감출 수 없다. 결국 바이러스에 당하고 나서야 다들 정신이 번쩍 드는 모양이다. ‘백신=무료’라는 공식을 당연한 듯 여기며 내 실력을 업그레이드하는 데 필요한 비용마저 외면하다가 ... ...
홀라당~ 뒤바뀐 달걀?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6호
무정란보다 는 유정란을 이용하는 게 좋아요. 무정란은 유정란보다 흰자 부분이 두꺼운
편
이라 만들기가 더 힘들거든요.”닥터고글의 해박한 지식에 감탄하고, 고마운 마음씨에 감동한 두 사람. 닥터고글을 위해 특별히 뒤바뀐 달걀 100개를 만들 수 있는 체험 쿠폰을 주기로 한다. 덕분에 하루 종일 ... ...
해조류가 스트레스 받으면 구름 낀다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날씨가 하늘 탓이다? 앞으로는 애꿎은 하늘보다는 해조류를 탓하는
편
이 과학적일지도 모른다. 영국 맨체스터대 대기과학자 고든 맥피건 교수는 대형 갈조류인 켈프가 스트레스를 받으면 날씨가 흐려진다는 연구 결과를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5월 6일자에 발표했다.맥피건 교수팀은 심해에 ... ...
전 소대원 몰살시킨 의문의 바이러스 GP506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바이러스는 ‘인류의 적’이 아니라 오랜 세월 인간과 공생관계로 살아온 것은 아닐까.한
편
영화 중반 꼭 짚고 넘어가야할 옥의 티가 있다. 사건의 열쇠를 쥔 강 상병이 심장마비를 일으키는데, 군의관이 제세동기로 심장에 전기 쇼크를 주고 심장마사지를 하지만 결국 강 상병은 사망한다 ... ...
중국의 주요 지진 발생 지역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평행하는 두 광학쐐기와 광학축 방향이 두 광학쐐기와 수직인 평행 평면판을 조합시킨
편
광 측정용 광학소자 바빌로니아에서 발달한 수학 바빌로니아의 60진법과 12진법은 현재도 각도(角度) · 시제(時制) 등의 도량형법에 남아 있어 우리들이 직접 그 영향을 받고 있다 1906년 독일의 A 바세르만, M ... ...
할리데이비슨의 3대 매력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진동을 제어하므로 다른 브랜드의 모터사이클보다는 운전자가 느끼는 진동이 큰
편
”이라고 말했다.최근 할리데이비슨은 디자인에 변화를 꾀했다. 할리데이비슨코리아 마케팅팀 안정현 차장은 “할리데이비슨은 40대의 남성팬이 가장 많다”며 ‘V-로드’ 시리즈는 젊은 층을 공략해 팬 층을 ... ...
치매 해결의 열쇠 뇌혈관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일조하고 싶다”고 포부를 밝혔다.연구단은 지난 5년간 저명한 국제학술지에 50여
편
의 논문을 발표했다. 김규원 단장은 2003년 제 1회 대한민국 최고과학기술인상을 받았고, 2005년에는‘한국의 노벨상’이라고 일컫는 호암상을 수상했다. 뇌혈관분야라는 한 우물을 20년 동안 판 덕분에 거둔 쾌거인 ... ...
충남 보령 바닷물 범람 사고미스터리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상승 정도나 국지적인 기상자료가 많지 않아 정확한 원인을 분석하기는 어려운 형
편
이다.아무리 예측하기 어려운 자연현상이라고 할지라도 그 피해는 미리 막을 수 있다. 겉으로 보기에 평온해 보이는 바다라도 언제 어떻게 돌변할지 모른다. 안전사고에 철저하게 대비하는 일이 최선이라는 얘기다 ... ...
우리 바다 지키는 '포세이돈' 프로젝트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결론을 얻었다.김 박사는 “북태평양 중에서도 우리 나라 주변 바다의 수온 상승이 큰
편
”이라고 전했다. 서해와 동해가 대륙에 막혀 있기 때문에 해수의 순환이 외해보다 자유롭지 못하고 대륙의 영향으로 기상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이 원인으로 지목됐다. 그는 “다른 나라보다 한반도 ... ...
이전
207
208
209
210
211
212
213
214
2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