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합
협회
합동
합작
협력
연맹
교제
뉴스
"
공동
"(으)로 총 10,781건 검색되었습니다.
인류 조상 동아시아로 이주한 까닭은 '장맛비'
동아사이언스
l
2024.01.09
라오스 탐파링 동굴 등에서 발견됐다. 지난해 6월 미국 어바나-샴페인 일리노이대 등
공동
연구팀은 약 8만 6000년~6만 8000년 전 호모사피엔스의 유골 화석을 라오스 북부에서 발굴했다는 연구 결과를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에 발표한 바 있다. 그러나 아프리카 대륙에 거주했던 호모 사피엔스가 어떤 ... ...
살아있는 동물서 '시냅스' 변화 실시간 관찰 성공…뇌질환 원인 찾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1.09
규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허 교수는 “국내외 연구팀과
공동
연구를 통해 시냅샷 기술로 과거에는 구현하기 어려웠던 시냅스의 빠르고 역동적인 형성과 변화를 직접 관찰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었다”며 “뇌과학 연구분야의 연구방법론에 혁신을 가져올 것으로 예상되며 ... ...
난치 유전질환 유전자가위 치료 시대 열렸는데...국내선 임상 시도도 못해
동아사이언스
l
2024.01.08
세계적인 수준이다. 김정훈 서울대병원 교수와 김형범 연세대 의대 교수가 이끄는
공동
연구팀이 최근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연구팀의 1차 목표는 희귀질환으로 분류되는 선천성 망막질환(IRD) 치료제 개발이다. 선천적으로 망막세포 유전자에 이상이 생겨 시력이나 빛에 대한 감각 등 다양한 ... ...
비만치료제 '위고비'가 극단적 선택 충동 유발? "연관성 적어"
동아사이언스
l
2024.01.07
수 있다는 우려다. 크리스토퍼 톰슨 미국 브리검 여성병원 체중관리 및 건강센터
공동
책임자는 사이언스에 "5~6개월 정도 단기간에 이뤄진 관찰은 치료제의 정신적 부작용을 판단하기에 충분하지 않다"라고 밝혔다. ... ...
빅뱅 5억 년 후 초기 은하는 '바나나' 모양이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1.07
길쭉한 형태라는 주장을 내놨다. 연구팀은 우선 초기 우주 탄생을 연구하는 국제
공동
심우주 연구팀 'CEERS'이 제공한 이미지를 바탕으로 '확장 그로스 띠(Extended Groth Strip)' 영역에 속하는 은하의 이미지를 분석했다. 확장 그로스 띠는 보름달보다 약간 작은 범위의 심우주 공간이다. 선행연구에서 ... ...
화성 떠나는 우주비행사에게 완벽한 식단은
동아사이언스
l
2024.01.07
'식단설계'가 필요하다. 호주 애들레이드대, 미국 뉴욕시티칼리지, 영국 노팅엄대 등
공동
연구팀은 지난 2일 미국화학회의 학술지 ‘ACS 푸드 사이언스 & 테크놀로지'에 우주인을 위한 식단 전략을 소개했다. 올해 미국 항공우주국(NASA)이 달로 유인선을 보내는 ’아르테미스 2호‘ 임무와 ... ...
[표지로 읽는 과학] 벌레 잡는 식물의 구조적 비밀
동아사이언스
l
2024.01.07
벌레는 낭상엽에 갇히게 된다. 영국 브리스틀대, 옥스퍼드대, 브리티시컬럼비아대 등
공동
연구팀은 네펜데스 그라실리스가 어떻게 이 세 가지 형질을 갖게 됐는지 분석한 연구를 4일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네펜데스 그라실리스 서식지에서 4000km 떨어진 곳에서 비슷한 곤충 포획 ... ...
1년만의 규제 해제, 종이 빨대는 어떻게 될까
과학동아
l
2024.01.06
일회용 플라스틱 쓰레기를 배출하는 국가다. 1위는 호주, 2위는 미국이며 한국과 영국이
공동
3위다. 그린피스는 이 자료와 국가별 일회용 플라스틱 규제 강도 비교표를 근거로 한국의 일회용 플라스틱 규제가 더 강해져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린피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관련기사 과학동아 ... ...
[사이언스게시판] 과총, 필즈상 수상 싱퉁 교수 기술교류회 초청
동아사이언스
l
2024.01.05
위한 이론적 체계를 마련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관련 분야 연구자 간 교류를 통한 국제
공동
연구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국내 기초과학연구를 촉진하는 계기를 마련할 예정이다 ... ...
모계 유전 미토콘드리아 유전질환 치료길 열리나…동물모델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1.05
수 있도록 한 발짝 더 나아간 연구 성과를 낸 것이다. 조성익 연세대 의대 박사(
공동
제1저자)는 “심각한 증상을 유발하는 미토콘드리아 유전병을 극복하기 위한 새로운 기술이 개발됐다”며 “앞으로 기술 발전과 부작용 연구에 매진해 미토콘드리아 유전병 극복에 희망과 가능성을 ... ...
이전
207
208
209
210
211
212
213
214
2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