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강도
격렬함
계수
셈
힘
능력
효력
뉴스
"
세기
"(으)로 총 2,440건 검색되었습니다.
병원체에 대한 고찰
2015.06.22
강화한다는 건 면역반응을 강하게 한다는 뜻이 아니다. 많은 전염병에서 면역반응
세기
(가로축)와 환자가 입은 손상(세로축)의 관계는 ‘U’자 형을 보인다. 면역반응이 너무 약하면 미생물에 무너지지만 너무 강해도 자멸하기 때문이다. - 네이처 미생물학 리뷰 제공 논문 가운데 나오는 그래프가 ... ...
[메르스 업데이트] 박쥐는 어쩌다 인간 감염병 바이러스의 온상이 됐나
2015.06.19
현재 한국을 ‘패닉’ 상태에 빠뜨린 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까지. 21
세기
인류를 위협하는 감염병 바이러스는 공교롭게도 모두 박쥐에게서 유래했다. 박쥐는 어쩌다 바이러스의 온상이 됐을까. ● 병원성 바이러스 평균 1.79종 보유…바이러스 최다 보유 동물 콜린 웹 미국 ... ...
그래핀 나노리본으로 차세대 전자소자 개발
2015.06.16
가운데 원하는 층만 반금속으로 만들기 위해 그래핀 나노리본에 가해야 하는 전기장의
세기
와 방향도 계산했다. 중금속을 이용하지 않고 스핀전자소자를 만드는 이론적인 토대가 마련된 것이다. 이 교수는 “두 층을 선택적으로 반금속으로 만들면 세상에서 가장 좁은 간격으로 붙어 있는 두 가지 ... ...
세균과 바이러스, 누가 더 위협적인가
2015.06.13
전염병도 무시할 수 없다. 특히 19
세기
부터 7차례에 걸쳐 유행하고 있는 콜레라는 20
세기
에만 57만 명의 사망자를 내며 지금도 끈질기게 살아남아 인류를 위협하고 있다. 서아프리카에서 발생한 뇌수막염도 1년 만에 1210명을 죽음으로 몰아넣었다. 세균은 바이러스와 달리 세포 형태의 생명체로 ... ...
25년에 한번꼴로 전염병 대유행… ‘독감’이 가장 위협적
2015.06.13
정도로 치명적이다. ● 전염병 확산 예측도 중요 전염병과의 전쟁은 20
세기
에 이어 21
세기
에도 ‘현재진행형’이다. 에이즈 치료제와 조류인플루엔자 치료제 등이 빠른 속도로 개발됐지만 아직까지는 전염병 퇴치에 역부족이다. 인류는 백신과 항생제, 항바이러스제 개발과 더불어 수학과 ... ...
백신은 바이러스 어떻게 물리치나
2015.06.13
세계 사망 원인의 10%를 차지할 정도로 무시무시한 전염병이었던 천연두가 좋은 예다. 18
세기
말 개발된 천연두 백신 덕분에 천연두는 1977년 지구상에서 완전히 사라졌다. 당시 세계보건기구(WHO)는 “백신 개발 역사상 가장 통쾌한 개가”라고 평가했다. 인플루엔자(독감) 바이러스처럼 시시때때로 ... ...
전염병과 싸우는 사람들
2015.06.13
요법’ 유프 랑어 박사. - 세계건강발달암스테르담연구소 제공 유프 랑어 박사는 20
세기
최악의 전염병인 에이즈에 맞서 싸운 전사로 꼽힌다. 1980년대 초 에이즈가 퍼져 나가기 시작할 즈음 레지던트였던 랑어 박사는 에이즈 치료 연구에 뛰어들기로 마음먹었다. 그는 이후 ... ...
응답하라~! 남극 세종과학기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6.12
남극 반도의 끝자락에 있어서 해양성기후를 갖고 있기 때문이에요. 하지만 바람
세기
에 따라 체감온도는 더 낮을 수 있죠. 얼마 전 눈보라가 치던 날은 기온이 영하 12℃ 정도였지만, 바람이 불어서 체감온도가 영하 25℃까지 떨어지기도 했답니다. Q 주로 어떤 음식을 드시나요? 보통 우리나라에서 ... ...
킁킁~, 비 냄새의 정체를 밝혀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6.12
직전부터 내리기 시작한 직후까지 나는 흙냄새는 세계 어디서나 맡을 수 있어요. 19
세기
에 나온 오래된 광물책에도 비 냄새에 대한 기록이 남아 있을 만큼, 오랫동안 알려진 현상이지요. 하지만 왜 비 냄새가 나는지는 한참 동안 아무도 몰랐답니다. 1960년대에 들어선 후에야 비 냄새에 대한 과학적인 ... ...
화려하고 예쁜 무당벌레일수록 ‘독’도 더 많아
2015.06.07
많이 죽으면 독성이 강한 것이다. 그 결과 색과 무늬가 화려한 무당벌레일수록 독의
세기
가 더 강하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또 연구팀은 새를 대상으로 가상의 무당벌레 영상을 보여주며 실험한 결과, 새도 화려한 색의 무당벌레를 덜 공격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무당벌레의 색이 단순히 ... ...
이전
207
208
209
210
211
212
213
214
2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