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태양
손해
손상
햇빛
불리
훼손
상해
스페셜
"
해
"(으)로 총 2,571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은 글로벌 연료전지 테스트베드
동아사이언스
l
2016.02.24
이산화탄소를 저감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인센티브를 줘서 수소 인프라 확대를 유도
해
야 한다는 뜻이다. 앞으로 우리나라는 점차 분산전원이 확대되면서 병원, 호텔, 데이터센터처럼 전기를 많이 쓰는 건물에서 연료전지 발전기를 이용할 것이라는 전망이 높다. 연료전지가 블랙아웃이나 지진 같은 ... ...
스트레스를 받는 나에게만 가혹한 ○○○ 세상, 정말일까
2016.02.23
때문에 기분 나쁜 일이나 스트레스 등이 생겼을 때 재빨리 털어버릴 수 있는 스트레스
해
소법(각종 취미나 덕질 등)을 한 두 가지씩 꼭 가지고 있도록 하자. ※ 필자소개 지뇽뇽. 연세대에서 심리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과학적인 심리학 연구 결과를 보고하는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 ... ...
바이오 마커, 질병 진단에서 개인맞춤의학까지
IBS
l
2016.02.01
밝히는데 주력하고 있다. 똑똑한 센서, 바이오 마커의 신비가 많이 밝혀지기를 기대
해
본다. * 본 콘텐츠는 기초과학연구원의 온라인 뉴스레터 IBS 뉴스레터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 기초과학연구원(IBS) 뉴스레터 ... ...
지카 바이러스와 소두증
2016.01.25
모기를 통제하기가 사실상 불가능하다) 이런 방향의 연구가 시급하고 우리나라도 대비를
해
야 할 것이다. ※ 필자소개 강석기. 서울대 화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기자로 일했다. 2012년 9월부터 프리랜서 ... ...
서운한 마음 표현하는 게 좋을까?
2016.01.20
곧 갈등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는 것이야 말로 이
해
의 시작인지도 모르겠다. 서로 이
해
가 부족했던 부분은 없었는지, 제대로 이야기 하지 않고 덮어버린 관계는 없는지 돌아보는 것이 좋겠다. ※ 필자소개 지뇽뇽. 연세대에서 심리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과학적인 심리학 연구 결과를 보고하는 ... ...
아파야 엄마일까
2016.01.12
가족이 다수를 위
해
누군가의 귀한 인생을 일방적으로 희생시키는 식으로 이뤄져 왔다고
해
서 앞으로의 가족도 그래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우리에게는 ‘옳은’ 방향을 찾아 나설 권리와 지혜가 있다고 믿는다. ※ 필자소개 지뇽뇽. 연세대에서 심리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과학적인 심리학 연구 ... ...
암 발생의 ‘불운’ 가설 반박하는 논문 나와
2016.01.11
암에 대처하는데 예방이 여전히 중요한 전략이라는 말이다. 귀가 몹시 얇은 필자는 지난
해
논문을 보면서 무릎을 쳤지만 이번 논문을 읽으며 ‘이게 훨씬 더 설득력이 있네…’라며 고개를 끄덕였다. 사실 암 발생에서 불운이 차지하는 요인이 50%이건 10%이건 예방노력을 게을리 하지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20)개처럼 벌어서 정승처럼 살다간 석유갑부 ‘모리스 스트롱’
2016.01.10
‘네이처’ 12월 24일자에 부고에서 저널리스트 에흐산 마수드는 뜻밖에도 UNEP을 통
해
기후변화와 종다양성상실을 늦추려는 그의 노력이 ‘실패’했다고 쓰고 있다. 이는 물론 스트롱만의 탓은 아니고 당시 국제사회 지도자들의 인식에 한계가 있었기 때문이다. 스트롱의 죽음은 구세대의 종말을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9)생명윤리 정책에 영향을 준 역사학자 ‘리사 자딘’
2016.01.09
핵을 추출
해
건강한 미토콘드리아가 있는 다른 여성의 핵을 뺀 난자에 넣어 인공수정을
해
미토콘드리아 결함으로 인한 유전병을 막는 방법이다. 생각하기에 따라서는 아이의 엄마가 둘이라고 볼 수도 있다(핵 게놈을 준 엄마와 미토콘드리아 게놈을 준 엄마). 자딘은 아버지처럼 방송활동도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8)홀로 연구
해
노벨상까지 탄 ‘리처드 헤크’
2016.01.08
“필요한 정보는 모두 다 얻어야 한다”며 학생들에게 각종 분석기기의 사용법과 데이터
해
석법을 가르쳤다고 한다. 2010년 노벨상 수상 뒤에도 헤크는 미국으로 돌아가지 않았고 2012년 필리핀인 아내가 먼저 세상을 떠난 뒤에도 여전히 필리핀에서 살다가 마닐라에서 별세했다. 모르긴 몰라도 ... ...
이전
207
208
209
210
211
212
213
214
2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