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몽상
드림
희망
포부
소원
소망
이상
d라이브러리
"
꿈
"(으)로 총 2,986건 검색되었습니다.
미항공우주국과 함께 하는 우주망원경 갤렉스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갤렉스보다 더 큰 자외선우주망원경을 개발할 수도 있을지 모른다. 우리 천문학자의
꿈
과 능력은 더욱 커져만 간다.NASA에서 지원받는 우리의 과학위성우리나라가 NASA와 함께 하는 자외선우주망원경은 또 있다. 오는 8월 발사를 앞두고 있는 과학위성 1호다. 원자외선 분광기가 실려있는 과학위성 ... ...
4 화석연료 대신하는 미래 청정에너지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관심을 갖고 적극적으로 대응한다면 2011년 총 에너지의 5%를 대체에너지로 공급하는 일은
꿈
이 아닌 현실이 될 것이다.우리나라의 대체에너지 정책1970년대 2차례 석유파동으로 대체에너지의 중요성을 깨달은 우리나라는 대체에너지 기술력 배양을 위해 KIST를 중심으로 태양열, 풍력 등에 대한 ... ...
과학 전도사들의 눈높이 강연 2백 47회 달성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그리고 일반인이 보인 높은 관심에 보람을 느꼈다고 강연을 회상했다. “과학자가
꿈
인 어린 자녀와 학부모에게 많은 소망과 비전을 줄 수 있는 기회였어요. 강연 후 30분간 학부모들이 자리를 떠나지 않고 많은 질문을 하는 것을 보고 과학기술인의 한 사람으로서 보람을 느낀 시간이었습니다.” ... ...
저항없는
꿈
의 전력소재 개발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질문에 염교수는“연구실에서 개발된 기술이 기업으로 이전되고 상품화된 후에야 내
꿈
이 이뤄졌다고 말할 수 있다” 고 답했다. 현재 염 교수의 연구실은 박사후연구원 1명, 박사과정 4명, 석사과정 3명으로 구성돼 있다 ... ...
우주비행사 되는데 자연과학자 유리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실험장비가 국제우주정거장에 활용될 수는 있을 것이다.그렇다고 한국인 우주비행사의
꿈
을 버릴 필요는 없다. 항공우주연구원은 한국이 국제 우주정거장의 다양한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문제에 대해 장기적으로 NASA와 협의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인 우주비행사는 10년 후면 탄생할 것으로 ... ...
지구 수호자에서 이웃집 청년까지, 슈퍼영웅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우리 세대와 함께 만화 역시 성장한 것이다.전쟁과 인간의 무력감을 겪은 전후 세대가
꿈
꾼 슈퍼 히어로는 인간의 힘으로 맞설 수 없는 절대악으로부터의 구원자였다. 이런 상상력이 어린이의 전유물이었던 만화와 결부돼 슈퍼맨과 마징가제트를 탄생시켰던 것이다.그리고 과학만능시대가 ... ...
지구를 지키는 원자력특공대 vs 산소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종이 위에서 잠든 자신을 발견한다.)이기자 : (기지개를 키며) 모두
꿈
이었나? 하지만
꿈
이라고 하기엔 너무 생생했어. 어쨌든 두 연극 모두 과학과 교육연극의 만남이군. 한국에도 드디어 과학연극이라는 분야가 싹을 틔우기 시작한 거야. 빨리 보고싶어지는걸 ... ...
21세기 과학혁신 이룰 국내 대형 양성자 가속기 개발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마련하려는 첫번째 이유는 1GeV급의 고에너지급 양성자 가속기를 건설한다는 최 단장의
꿈
이 담겨있기 때문이다. 이뿐 아니라 양성자 가속기를 활용하는 각종 산업기술센터와 암치료 등을 할 수 있는 의료기관을 비롯해 이와 관련된 전문 인력을 양성하는 교육센터도 함께 지어질 계획이다. 양성자 ... ...
인간형 로봇으로 후끈 달아오른 일본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됐고 놀라운 경제 성장을 이뤄냈다. 즉 인간형 로봇을 만드는 일은 수많은 일본인의
꿈
을 실현하는 일인 셈이다.일본 인간형 로봇의 기원인 아톰을 살펴보기 위해서 데스카가 살았던 오사카 인근 다카라즈카에 위치한 데스카 오사무 기념관을 찾았다. 기념관에서는 초창기 아톰 만화와 애니메이션을 ... ...
로켓 원리 밝힌 치올코프스키 논문 1백주년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죽음, 독학, 아들의 자살(1902년), 열악한 경제형편 등 혹독한 환경 속에서 치올코프스키가
꿈
꿨던 우주비행은 그의 탄생 1백주년(1957년 옛소련의 스푸트니크)부터 시작됐다. 그리고 다시 그의 놀라운 논문이 발표된지 1백주년이 되는 2003년. 그의 구상 중 많은 것이 실현됐지만 아직 많은 것은 성취되지 ... ...
이전
208
209
210
211
212
213
214
215
2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