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현재
오늘
지금
금일
이날
현세
d라이브러리
"
오늘날
"(으)로 총 2,714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수프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수프'라고 생각될 수 있을 것이며 따라서 '바다수프'라고 불릴 수도 있는 것이다. 바다는
오늘날
까지도 수프와 같은데 다만 생명체가 존재한다는 점이 다를 뿐이다. 태초의 바다 수프속엔 생물이란 없었으며 그 국물은 더욱 진했다. 바로 이 바다 수프로부터 원시형태의 생명체들이 처음으로 ... ...
밤하늘은 천체교육의 산 교실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천문학이 일부 교사들까지도 두려워하는 '공포의 과목'으로 둔갑해 있는 현실이다.
오늘날
우리 천문학 교육이 무언가 잘못돼가고 있다는 생각은 중고등학교 과학실에 있는 값비싼 천체 망원경들이 조립도 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자 속에서 낮잠을 자고 있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는 사실로부터 쉽게 ... ...
내일의 우주인 꿈키워주는 일본 「스페이스 캠프」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1950년대에 만든 최초의 일본 자작(自作)로켓이다. 이로부터 본격화된 일본의 우주개발이
오늘날
프리덤 우주정거장의 JEM(Japanese Experiment Module)건설, 98년 발사예정인 무인비행선 호프(HOPE)로까지 발전했음을 전시물들은 일목요연하게 보여준다.이외에 실습장에는 세계 각국에서 발견된 운석(隕石)들을 ... ...
종합 의학 연구기관 설립 더 늦출 수 없다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5천달러에 육박했을 때 각종 연구소들이 우후죽순처럼 세워져 창의성을 발휘함으로써
오늘날
의 일본을 이루는 버팀목이 됐다고 한다. 우리나라에서도 앞으로 국민소득 1만달러 내지 1만5천달러를 누리는 고도산업사회를 이룩해내려면 지금부터 각 분야에 걸쳐 과감한 연구개발투자가 이뤄져야 ... ...
생활주변에서 소재 찾으면 누구나 발명가 될 수 있다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14세의 전파사 수리공이었던 필립은 一자 드라이버를 十자 드라이버로 개량 발명하여
오늘날
세계적인 기업인 필립(Phillip)사를 탄생시켰으며, 23세의 자전거 수리공이었던 마쓰시타(松下)는 쌍(雙)소켓의 발명으로 일본 제일의 마쓰시타그룹의 총수가 되기도 했다.작은 발명으로 성공한 사례는 ... ...
(1) 컴퓨터를 가전제품처럼 쓸 수 없을까?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것인가.위의 질문에 대한 답은 다음과 같은 점을 주목한다면 자연스럽게 도출될 수 있다.
오늘날
의 컴퓨터는 사용 방법이 매우 어려워 그 사용자가 어느 정도의 훈련을 받은 극히 일부에 지나지 않는다는 사실과 현재의 컴퓨터가 다루는 매체가 주로 문자이고 그림이나 소리, 움직이는 화상 등은 잘 ... ...
'교사 목소리 담긴 정책이 아쉽다'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전국민의식의 과학화'가 우선돼야 한다는 주장이 부쩍 강해지고 있습니다.
오늘날
대다수 한국인들이 눈뜬 후 부터 잠들 때까지 온갖 첨단과학문명의 이기를 이용해 생활을 지탱하고 있지만 흑백 TV를 보던 20년전이나 오늘에나 '과학대중화'는 변함없이 요원한 과제로 남아있다는 얘깁니다. 우리는 ... ...
레이저에서 광컴퓨터로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파장만 다르다. 1960년 최초로 마이만이 레이저 발진 매질로 루비를 사용했다. 그로부터
오늘날
까지 경이적인 발전이 이루어졌고 그 응용 또한 무궁무진하다.레이저 원리의 가장 기본 구조인 복사유도방출에 대해 알아보자. 자연의 어떤 과정으로부터 우리가 보는 광의 진폭과 위상은 아무렇게나 ... ...
저녁 놀 빛깔로 대기오염도 알 수 있다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살았던 시대의 대기층의 기체분자는 기껏해야 지름이 0.025μm를 넘지 못하는 것이었으나
오늘날
공장지역의 매연에서 분출돼 나오는 분진알갱이들은 지름이 0.01μm에서 10μm에 이르는 것까지, 과거와는 비교가 안될만큼 커진 것이다.한편 레일라이가 빛의 파장과 산란정도가 반비례하는 것을 밝힌데 ... ...
악어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서로 잡아먹는 습성도 있어 이래저래 점차 자연도태돼 가고 있는 중이다. 그렇더라도
오늘날
악어가 전세계적으로 현저히 줄어들고 있는 이유중 가장 큰 것은 그들의 훌륭한 가죽을 사냥꾼들이 노린다는 데 있다 ... ...
이전
208
209
210
211
212
213
214
215
2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