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크기"(으)로 총 7,95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바벨탑은 무너져야 했을까과학동아 l2016년 09호
- 하기도 했지만, 그 역할은 아주 미미했다. 벽돌은 굉장히 무겁고, 벽돌 사이에 마찰력이 크기 때문에 웬만한 충격으로는 쉽게 미끄러지지 않는다. 역청과 모르타르 같은 접착제가 없더라도 말이다.역청과 모르타르의 진짜 역할은 위에서 아래로 내려오는 하중을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것이다. 역청과 ... ...
- A 블록, 올록볼록 진화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블록에도 이런 규칙이 적용돼요. 서로 다른 블록끼리 쉽게 끼울 수 있도록 요철의 모양과 크기에 기준을 만들어 두었거든요.레고를 생각하면 쉬워요. 레고의 윗면에 튀어나온 원기둥은 지름이 5mm, 높이가 1.7mm로 모두 똑같아요. 또 원기둥 사이의 거리는 3mm로 정해져 있지요. 그래서 모든 레고 블록이 ... ...
- Part 1. 뇌까지 착각하게 만드는 VR 헤드셋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헤드셋은 한 사람을 위한 작은 모니터라고 할 수 있어요. 헤드셋 안에는 스마트폰 화면 크기의 작은 액정 화면이 들어 있어요. 이 화면이 마치 모니터처럼 영상을 보여 주지요. 스마트폰을 끼워서 바로 모니터로 쓰는 방법도 있어요. 그런데 이런 작은 화면을 너무 가까이에서 보면 초점이 잘 맞지 ... ...
- [출동! 섭섭박사] 밀가루 반죽에서 전구가 반짝! 전도성 반죽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강한 전류가 흘러 전구가 더 밝게 빛난답니다.전위차는 ‘볼트(volt)’라는 단위로 그 크기를 나타내요. 트는 V로 표시하지요. 전지를 보면 1.2V, 1.5V, 9V 등 다양한 숫자가 적혀 있어요. 볼트가 높은 전지일수록 전구를 더 밝게 밝힐 수 있답니다.전자는 정해진 통로를 통해서만 이동할 수 있어요. 흔히 ... ...
- [재미] 피자를 더 많이 먹는 방법!수학동아 l2016년 09호
- 비춰보세요).고민 해결! 어떻게 하면 피자를 훨씬 많이 먹을 수 있는지 알겠지요? 크기가 클수록 가격대비 훨씬 효율적이라는 사실도 알았으니, 아예 커다란 피자를 시켜서 사이좋게 나눠 먹는 것도 좋겠네요 ... ...
- [포커스 뉴스] 유전자 가위 NgAgo 재현성 논란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역할을 하고, 21개 염기서열로 구성된 RNA가 특정한 서열을 찾아낸다. NgAgo는 나노미터 크기의 박테리아인 그 레고리종의 ‘아거노트(Agronaute, Ago)’라는 단백질이 가위 역할을 하며, 약 24개의 염기서열을 가진 DNA가 길잡이 역할을 한다.둘의 가장 큰 차이는 ‘PAM’ 서열의 존재 유무다. 크리스퍼를 ... ...
- [News & Issue] 이산화탄소과학동아 l2016년 09호
- 가장 흔한 수종 중 하나인 소나무에 비해서는 무려 15배 이상 광합성 효율이 높다. 또한 크기가 작아 좁은 면적에서도 고농도의 물질을 만들어 낸다.심상준 고려대 화공생명공학과 교수는 광합성 효율이 높은 동시에 생성물의 경제적 가치도 높은 미세조류를 찾는 데 앞장서고 있다. 특히 과거 일일이 ... ...
- PART 3. 거대 도시가 사라지려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사람이 트러스를 절단하는 동안 구조물을 잡아줄 크레인을 실어야 하기 때문에 크기가 커야 한다. 트러스 해체가 끝나면 상판과 교각을 해체하는데, 방법은 건물과 비슷하다.철거란 없다, 재활용만 있을 뿐터널은 어떨까. 터널은 철거를 하지 않는다. 장수호 건설기술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 ...
- Part 3. 천사, 악마를 이겨라!수학동아 l2016년 09호
- 1982년에 미국의 수학자 엘윈 벌캄프는 천사가 한 번에 한 칸씩만 이동한다면 33×33 크기의 영역 안에서 악마가 천사를 반드시 가둘 수 있다는 논문을 발표했어요.“이봐, 천사. 한 칸씩 가봤자 날 못 이겨. 한번 봐줄 테니 날 이길 전략을 새롭게 짜보는 건 어때? 그래봤자 내 손아귀에 있을 테지만… ... ...
- [News & Issue] 꿀벌은 꿀맛을 알까?과학동아 l2016년 09호
- 개인 데 비해 사람의 뉴런은 1000억 개에 달한다). 셸리 앤 아다모 교수는 “곤충은 뇌의 크기와 비용을 줄여야 하는 선택압을 겪었을 것”이라며 “척추동물처럼 감정을 처리하는 뇌회로를 곤충은 갖고 있지 않다”고 주장했다.이에 대해 바론과 클라인 교수는 “뇌 신경세포의 개수보다는 뇌의 ... ...
이전2082092102112122132142152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