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하나"(으)로 총 13,944건 검색되었습니다.
- STEP ④ 새로운 바이러스 조립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이 과정은 자발적으로 일어난다. 껍질을 이루는 구조단백질이 각각 따로 존재할 때보다 하나의 구조를 형성할 때 화학적으로 더 안정하기 때문이다. 나선형 바이러스의 경우 캡소미어(막 단백질을 이루는 단위 단백질) 조각을 한 층씩 쌓아 올리고, 정이십면체 모양의 바이러스도 캡소미어 조각으로 ... ...
- 1954년 바이러스를 시험관에서 배양하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세포에 멈프스바이러스가 감염된 소의 혈청을 주입한 뒤 멈프스바이러스의 당단백질 중 하나인 헤마글루티닌의 양을 측정했다. 측정 결과, 시험관의 헤마글루티닌 양은 뚜렷하게 증가했다. 바이러스를 시험관에서 증식시키는 데 성공한 것이다.연구팀은 곧바로 폴리오바이러스에도 도전했다. 인간 ... ...
- 1972년 항체의 구조, Y를 알아내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않는 부분이었다. 포터는 실험 결과를 토대로 동일한 두 부분은 Y의 가지 부분, 나머지 하나는 줄기 부분을 이룬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1994년 에델먼은 미국 잡지 ‘뉴요커’와의 인터뷰에서 “과학에 종사하는 사람은 누구나 (진리에 대한) 답을 찾을 수 있다”며 “과학 연구는 보물찾기(easter egg ... ...
- [가상인터뷰] 기름 잡으러 폴라리스 출동!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생겼지. 미국 캘리포니아 몬테리만해양연구소가 2007년부터 만들기 시작한 로봇 중 하나야.내 잠수 실력이 궁금하다고? 나는 물속에서 하루 이틀 동작할 수 있었던 기존의 자율수중로봇들과 달리, 한번 잠수하면 몇 주간은 물 밖으로 나오지 않아도 돼. 차가운 바닷물에도 견딜 수 있도록 튼튼하게 ... ...
- [수학뉴스] 마스크의 한계, 수학으로 넘는다수학동아 l2020년 07호
- 응용수학저널’ 6월 2일자에 공개했습니다.마스크의 효율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인 중 하나는 마스크 속 필터의 구멍입니다. 유해 물질을 거르면서도 호흡하기 쉽게 구멍 크기를 조절해 마스크를 만들지만, 얼굴에 마스크를 쓰는 과정에서 구멍이 늘어나거나 호흡하는 과정에서 기압 차로 구멍이 ... ...
- [특집] 수학으로 따지기2. 외계인을 어떻게 찾아?수학동아 l2020년 07호
- 모양의 안테나를 사용합니다. 포물선의 축과 평행하게 들어오는 모든 전파는 반사되면서 하나의 초점으로 모입니다. 이는 포물선의 성질을 이용한 거죠. 포물선은 한 직선과 한 점(초점)까지의 거리가 같은 점들의 집합이거든요. 이 덕분에 아주 약한 전파를 모으는 데 유리하죠. 포물선의 초점에는 ... ...
- [매스크래프트] #7. 네덜란드 풍차, 우정을 그래프로 표현하면?수학동아 l2020년 07호
- 친구가 너무 많으면 자신의 정체를 들킬 수 있어요. 하지만 둘 다 동시에 아는 친구가 하나도 없으면 필요한 정보를 전해주는 것이 불가능하죠. 함께 아는 친구가 단 한 명이면 좋겠죠? 이럴 때 풍차 그래프를 이용해 스파이를 투입할 수 있어요. 김재훈 KAIST 수리과학과 교수는 풍차 그래프가 ... ...
- Chapter 06. 백신┃인간 지킬 유일한 방패, 백신과학동아 l2020년 07호
- 감염병 중 백신이 개발된 경우는 에볼라 백신인 ‘어베보(Ervebo)’ 한 건에 불과한 현실이 하나의 방증이다. 에볼라는 전 세계에서 약 1만5000명의 사망자를 냈다.그럼에도 백신 개발을 멈출 수 없는 이유는 분명하다. 바이러스는 끊임없이 돌연변이를 일으키며 인류를 무섭게 위협해 왔고, 그 위협은 ... ...
- [노벨상 수상자 특별 인터뷰] 피터 도허티 "백신 개발 전까지 코로나19는 위험한 질병"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사용하기도 한다. 면역반응을 유도하는 사이토카인(면역세포가 분비하는 단백질) 중 하나인 인터류킨(IL)-6 분자의 작용을 억제해 사이토카인 폭풍을 막을 수 있다. 과도한 면역반응을 일컫는 사이토카인 폭풍은 최근 코로나19 환자들에게 심각한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이 때문에 (사이토카인 억제제 ... ...
- 소나기가 내리면 목숨을 걸고 튀어라! 호주 개구리 탐사기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전문가를 배출할 정도로 성장했습니다. 어릴 적부터 참여한 그랜트 연구원도 그중 하나입니다.시민들의 연구 수준 역시 상당했습니다. 가장 인상적인 발표는 개구리 ‘스포티드 그래스 프로그’의 울음소리가 지역마다 어떻게 다른지 분석한 연구였습니다. 이를 발표한 시민은 FrogID에 저장된 ... ...
이전2082092102112122132142152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