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구축
확립
건설
건립
설계
부착
편성
d라이브러리
"
형성
"(으)로 총 3,735건 검색되었습니다.
디지털 시대의 정보창고 데이터 저장장치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초당 1백MB의 데이터를 전송하고, 70-80GB 정도의 대용량을 지원하는 제품이 새로운 시장을
형성
하고 있다.하드디스크의 종류는 용량이나 속도 외에도 크기에 따라 크게 데스크탑 PC용인 3.5인치와 노트북용으로 사용되는 2.5인치 하드디스크가 있다. 이밖에도 PDA나 휴대용 디지털 기기용으로 개발된 ... ...
유전자 차별시대 펼쳐지는 디스토피아 가타카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미래에 펼쳐지는 것이 아닐까라는 우려와 불안감이 증폭돼서 막연하고 포괄적으로
형성
되는 것 아닐까요. 게놈프로젝트의 처음 시작이 유전질환과 관련된 유전자를 제거하기 위해 추진됐다면 한단계씩 나아가는 것이 가능할 것입니다.의준_ 박사님께서는 환경적인 요인이 중요하고, 단일한 사실로 ... ...
바이오벤처 전략의 교과서 유진사이언스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그렇지만 계속해서 틈새시장만을 찾아다닐 수는 없지 않을까.“우리만의 고유한 시장을
형성
한다는 목표엔 변함이 없습니다. 그렇다고 연구개발비가 덜 들어간다는 것은 아닙니다. 유진사이언스는 한해 연구개발비를 30-1백억원으로 잡고 있습니다. 이 정도로 10년 간은 투자해야죠.”노사장은 올해 ... ...
탁월한 리더십 발휘한 과학자 베스트5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모여든 연구자들과 일본 사회에서 허용될 수 있는 수준에서 자유롭고도 자율적인 관계를
형성
하려고 노력했다. 니시나와 그의 학생들은 다양한 연구주제를 섭렵했고, 함께 토론하고 점심을 먹고 맥주 파티를 열기도 했다. 1930년대 일본에서는 이런 일이 파격적인 것이었다. 니시나의 학생들 가운데 ... ...
복제된 인간에 머리 옮겨 붙이기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장기를 이식할 때 거부반응이 있음을 알아냈다. 1950년대에 이식된 장기에 대한 항체가
형성
돼 거부반응이 발생한다는 사실이 홀만에 의해 발견되면서 거부반응을 억제하는 방법이 연구되기 시작했다. 이것이 결실을 거두면서 장기이식이 가능해진 것이다.지난 반세기 동안 장기이식 수술은 현저히 ... ...
최초 소행성 착륙 성공 그후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0m 고도에서 찍은 영상(골프공 크기의 물체도 식별 가능)에는 표면 아래로부터 함몰될 때
형성
된 듯한 지형이 눈에 띈다. 놀랍게도 함몰지형의 크기는 손바닥 정도다. 그리고 고도 1백20m 영상에서는 오른쪽 위부분과 왼쪽 아래부분의 지형을 비교해보면 둘 사이에 확연한 경계가 나타난다.한편 니어 ... ...
Ⅰ. 인간게놈프로젝트가 밝힌 생명의 신비8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그 동안 과학자들이 연구해 온 게놈상의 약 1백4십만개에 달하는 방대한 수의 단일염기다
형성
(SNP,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이 밝혀졌다는 것이다.앞으로 이 SNP를 게놈지도상에 정확하게 표시할 수 있게 됐으며, 이러한 SNP 지도는 향후 질병지도를 작성하고 인류의 기원을 추적하는데 지대한 공헌을 할 ... ...
조각가 도나텔로의 드루시아나의 부활 기적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창문 원근법 이론으로 정리했다.보는 사람과 보이는 대상 사이에는 시각 피라미드가
형성
되는데, 화가가 그리는 그림은 그 사이에 놓인 투명한 창문과 같다는 설명이다. 그러고 보면 도나텔로의 드루시아나 부조도 꼭 동그란 창문을 통해 창문 저쪽 광경을 들여다보는 기분이 든다.화가와 ... ...
목숨 걸고 펼치는 가상전투게임 '아바론'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성환_ 감독이 워낙 문제 감독이기 때문에 그런 생각을 한 것이겠죠. 한국에도 마니아층이
형성
돼 있고, 감독에 대한 사전 정보가 많아서 오히려 부담스럽습니다. 우스갯소리지만 영화를 보고 나오면서도 같이 보는 사람들과 은연중에 지적 겨루기가 있었던 것 같기도 하구요.권교수_ 저는 사실 ... ...
PART 4. 프로펠러 달고 몸 속 누비는 생체기계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전구에 전력을 공급한다. 이때 가위의 양쪽 날을 모으면 어떻게 될까. 그러면 회로가
형성
돼 파란 전구의 에너지가 빨간 전구로 이동한다. 따라서 빨간 전구에서 나오는 붉은빛을 볼 수 있다. 그런데 다시 가위 날을 벌려서 두개의 전구를 떨어뜨리면, 단지 파란 전구로부터 나오는 파란빛만 볼 수 ... ...
이전
208
209
210
211
212
213
214
215
2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