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디자인
계획
구상
입안
착상
도안
건설
뉴스
"
설계
"(으)로 총 4,593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간이 달에 첫 발 디딘 7월20일 베이조스는 우주 간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6.08
유인 캡슐은 돔 모양으로 사방이 유리로 돼 있어 어느 각도에서나 우주를 보기 좋게
설계
됐다. 우주여행을 마친 유인 캡슐은 낙하산으로 지구에 귀환한다. 블루오리진은 옛 소련의 유리 가가린에 이어 1961년 미국인 최초로 우주를 탐험한 우주 비행사이자 인류 역사상 두 번째로 우주에 나간 ... ...
[인사]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동아사이언스
l
2021.06.08
이종숙 △슈퍼컴퓨터기술개발센터장 오광진 △과학기술사이버안전센터장 송중석 △가상
설계
센터장 김명일 ▽데이터분석본부 △부산울산경남지원장 서성호 △대구경북지원장 이동원 △호남지원장 김은주 △충청지원장 최성배 △수도권지원장 김상우 △지역융합혁신단장 이호신 ... ...
[과기원은 지금] 손목시계 돌리는 마찰전기 나노발전기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6.08
소재로 전해질 수소 이온 전도도를 높이는 원리까지 발견했다. 다공성 고체 전해질
설계
에 도움을 줄 전망이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앙게반테 케미’에 지난달 17일 발표됐다 ... ...
'화재 취약지역 보여주는 지도'…소방 공공데이터 최우수 아이디어
연합뉴스
l
2021.06.06
화재에 취약한 건물의 정보를 지도를 통해 시각화한 '건축물 화재위험 분석·시각화'와
설계
도면 조회·전달 체계 자동화 지원 시스템인 '차세대 파이어브러리(Firebrary) 모델'이 각각 선정됐다. 이밖에 '화재 다발 구역 내 비상 소화장치 설치', '서울시 화재확산 위험지도 분석·시각화', '시민을 위한 ... ...
현대모비스, AI로 품질·효율성 높인다…40여개 기술 적용
연합뉴스
l
2021.06.06
중이다. 현대모비스에 따르면 가장 많은 인공지능 관련 프로젝트가 진행된 분야는
설계
및 시험 관련 분야였다. 자동차 부품은 디자인이 조금이라도 바뀌면 여러 극한의 환경에서 제대로 기능하는지 다양한 시험을 거쳐야 해 많은 시간과 비용이 드는데, 현대모비스는 인공지능을 통해 이 ... ...
[주말N수학] 당신을 속도의 세계로 초대합니다
수학동아
l
2021.06.05
차체부터 바퀴까지 가장 효과적인 상태를 만들기 위해 각 회사마다 AI를 접목한 수학적
설계
알고리듬을 개발해 사용하고 있습니다. 슈퍼카의 성능을 구분하는 명확한 기준은 없습니다. 최근 슈퍼카는 제로백(시속 0km에서 100km 도달하는 시간)이 4초 이하, 최대 출력은 600마력 이상, 최고 속도는 시속 ... ...
바다에 뜨는 해상풍력 기술 전쟁
동아사이언스
l
2021.06.04
진동을 흡수한다는 사실을 모방해 부유물을 파도 에너지를 흡수하는 유연한 구조로
설계
중이다. 럿거스대는 파도와 바람에 따라 터빈의 움직임을 예측한 뒤 최적화한 상태로 발전기를 운전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있다. 제너럴일렉트릭(GE)은 최근 무게는 35% 줄이고 발전 용량을 12MW ... ...
연구용원자로 '하나로' 3년 만에 정상 재가동
동아사이언스
l
2021.06.03
원자로 하나로가 100주기 운전을 완료했다고 3일 밝혔다. 하나로는 원자력연이
설계
하고 제작한 열출력 30메가와트(MW)급 고성능 다목적 연구용 원자로다. 방사성동위원소 생산과 중성자 이용 등에 활용한다. 하나로는 한 주기에 4주간 가동하며 주기 사이 2~3주 정비 기간을 갖는다. 하나로는 201 ... ...
한국 ‘러브콜’ 했던 빌 게이츠의 4세대 원전, 와이오밍주에 짓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6.03
전력 생산용으로 전환하는 연구를 지원하기 시작했다. 임 소장은 “소듐냉각고속로의
설계
를 조금만 변경하면 전기 생산용으로 충분히 바꿀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 ...
뇌 신경 세포망 모방한 인공섬유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1.06.03
자극에 따라 반도체 소재와 절연막에 존재하는 이온 사이에 산화환원 반응이 일어나도록
설계
했다. 이를 통해 시냅스처럼 전기신호의 강도를 기억하여 전달할 수 있는 트랜지스터를 개발했다. 연구팀은 “여러 개의 전극에서 다발적으로 들어오는 전기적 신호가 자연스럽게 하나의 소자에서 ... ...
이전
208
209
210
211
212
213
214
215
2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