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용
응용
적용
활용
용도
소비
개발
뉴스
"
이용
"(으)로 총 15,591건 검색되었습니다.
수 분 걸리던 의료진단기기 결함 찾기, AI 접목했더니 3초 대로
동아사이언스
l
2023.08.31
다양해 검사 자동화가 어려운 분야로 꼽힌다. 연구팀은 머신비전 기술을
이용
한 기존 결함검사 방식에 AI 기술을 접목했다. 딥러닝 알고리즘을 통해 불량 유무를 정확하게 측정·판단할 수 있는 결함검사 플랫폼 기술을 개발했다. 머신비전 기술은 산업용 장비가 수행하는 작업을 확인하고 빠른 ... ...
IBS, 생명과학 클러스터 내 신규 연구단장 2인 선임
동아사이언스
l
2023.08.31
구 신임 단장은 유전자 교정 기법을 활용하여 제작한 생쥐 및 오가노이드 모델을
이용
해 위장관 내 성체 줄기세포 연구 분야에서 선구적인 역할을 해온 것으로 평가된다. 그가 고안한 ‘모자이크 유전학’은 생쥐 모델로 암 발생 초기 단계를 추적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이러한 업적을 ... ...
땅속 '무선통신' 길 열었다…"매몰 시 생존 여부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3.08.31
구성됐으며 여러 층으로 나뉜 광산 내 40m 거리에서 20kHz(킬로헤르츠) 대역 반송파를
이용
해 음성신호 전송 수준인 4kbps(초당 킬로비트)급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 성공했다. 20kHz는 일반 무선통신에서 활용하는 대역폭이 아닌 매우 작은 저주파 대역이며, 4kbps는 음성데이터 전송이 가능할 정도의 데이터 ... ...
[기술패권 시대 우리말] ②풀어드립니다…전력반도체·프리폼 디스플레이란
동아사이언스
l
2023.08.31
기술이다. 한국기계연구원이 최근 개발한 반도체 장비(레이저·워터젯 융합가공기)를
이용
하면 경도가 높아 가공이 어려운 반도체 재료를 보다 손쉽고 빠르게 정밀 가공할 수 있다. 한국전기연구원이 개발한 나노 3D 프린팅 기술은 염료 없이 디스플레이의 천연색을 구현할 수 있다. 이 같은 반도체 ... ...
무서운 태풍 분석 가능해질까…'와류' 존재 수학적 증명
동아사이언스
l
2023.08.31
축을 따라 무한히 앞으로 나아간다는 사실을 수학적으로 밝혔다. 최 교수는 변분법을
이용
해 힐이 계산한 구형 와류가 특정 조건에서 운동에너지를 최대화한다는 것을 확인했다. 변분법은 에너지 또는 거리가 최소 혹은 최대가 되는 곡선이나 속도를 찾는 방법을 말한다. 또 함수해석학, ... ...
전기자극으로 ‘동체시력’ 강화 첫 성공…“운동선수 능력 향상에 도움”
동아사이언스
l
2023.08.30
쓰이기까지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지만, 서로 다른 주파수를 결합한 전류 파형을
이용
한 뇌 기능 조절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확인했다는 데 중요한 의미가 있다. 향후 난치성 뇌 질환 치료를 위한 전자약 개발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우울증 진단, 머신러닝으로 정확도 높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8.30
밝혔다. 이 선임연구원은 “뇌파의 진단 능력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머신러닝을
이용
한 학습모델의 개발이 중요하다”며 “이번 연구에서 개발한 뇌파 분류 모델은 향후 병원에서 우울증 환자를 진단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채 교수는 “이번 연구결과는 증상도 다양하고 ... ...
'꿈의 신소재' 맥신, 불순물 함량 높아…“상용화는 시기상조”
동아사이언스
l
2023.08.29
검출기에 충돌시킨 후, 원자의 충돌 위치와 순서 그리고 충돌 원자의 질량 대 전하 비를
이용
해 시편의 3차원 원자 분포를 이미징하는 분석 기술이다. 연구를 이끈 김세호 교수는 “이번 연구에서는 가장 많이 쓰이는 Ti3C2 맥신 물질의 불순물에 주목했지만 맥신의 종류와 합성 과정 중 원치 않게 ... ...
미션 완료 후 스스로 '분해돼 사라지는' 정찰용 소프트로봇
동아사이언스
l
2023.08.29
사라지는 소프트 로봇. 서울대 제공 국내 연구진이 최초로 자외선 감응형 소재를
이용
해 완전 분해가 가능한 소프트 로봇 시스템을 개발했다. 강승균 서울대 재료공학부 교수 연구팀은 기존 실리콘 기반 소프트 로봇의 한계를 극복하고 사용 후 스스로 사라지는 '자동 분해' 정찰 소프트 로봇을 ... ...
손상된 폐 되살리는 '재생능력 메커니즘' 규명됐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8.29
확인했다. 연구팀은 우선 특정 유전자 기능이 조작하지 않도록 만든 실험용 쥐를
이용
해 발생기간 동안 폐상피세포에서 미토콘드리아 전자전달계 기능을 제거했다. 이를 통해 쥐가 호흡부전으로 사망하는 것을 확인했다. 이 폐조직에 대한 단일세포 전사체분석도 수행했다. 그 결과 ... ...
이전
208
209
210
211
212
213
214
215
2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