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정상"(으)로 총 4,442건 검색되었습니다.
- 콜드 스프링 하버 연구소, 암 전이 늘리는 '비번역 RNA' 발견연합뉴스 l2020.12.23
- 저널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Nature Communications)'에 발표했다. 스펙터 교수팀은 2016년 정상적인 유방 세포보다 유방암 세포에 더 많이 퍼져 있는 수십 종의 조절 RNA를 발견했다. 이들 RNA는 모두 긴 염기서열을 가졌지만, 단백질을 생성하지는 못하는 비번역 RNA였다. 이런 비번역 RNA는 세포 내에서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코로나19 백신, mRNA 의약품 시대를 열다2020.12.23
- 개선됐고 효과는 5일 동안 유지됐다. 이처럼 mRNA를 투입해 단백질을 못 만들거나 비정상적인 단백질을 만들어 생긴 병을 고치는 방법을 ‘단백질 대체 치료(protein-replacement therapy)’라고 부른다. 그 뒤 다양한 mRNA를 투입하는 동물실험이 이어졌지만 열기는 곧 식었다. mRNA가 세포 안까지 들어가는 ... ...
- 코로나19 백신 맞으면 면역효과 얼마나 갈까동아사이언스 l2020.12.21
- 단백질은 B세포의 수명을 늘리는 데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과할 경우 정상 세포를 공격하는 ‘사이토카인 폭풍’을 유발하기도 한다. 특정 바이러스 항원을 인식하고 한차례 항체를 생산한 B세포는 사이토카인 단백질을 통해 항체 생성 과정을 기억하는 ‘기억 B세포’로 전환돼 ... ...
- 폐암 조기 진단에 도움 줄 단백질 찾아냈다 동아사이언스 l2020.12.20
- 조기진단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창환 교수 연구팀은 폐암 환자 104명의 폐암 조직과 정상 조직에서 유의미한 농도 차이가 나타나는 단백질을 찾기 위한 연구에 착수했다. 분석 결과 ‘트림28’이라는 단백질이 폐암 조직에서 확연히 농도가 높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연구팀은 실제 트림28 ... ...
- 美, 화이자 이어 모더나 백신도 긴급사용 승인동아사이언스 l2020.12.20
- 화이자와 모더나의 백신이 빠르게 접종된다고 하더라도 직장이나 학교 등 일상생활을 정상적으로 영위하기에는 얼마나 시간이 걸릴지는 아직 알 수 없다는 게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모더나의 백신은 미국 정부와 과학자들이 코로나19에 대응하기 위한 노력의 결실이라는 분석이다. 중국이 1월 ... ...
- 코로나19 바이러스 뇌에 침투한다동아사이언스 l2020.12.18
- 사이토카인이 과다하게 분비되는 현상을 뜻한다. 사이토카인이 과다하게 분비되면 정상세포까지 공격해 대규모 염증반응이 발생한다. 이로 인해 머리에 안개가 낀 듯 멍한 증상인 ‘브레인 포그, 기타인지 장애 등의 문제로 이어진다는 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이번 연구 외에도 코로나19가 뇌에 ...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정부의 과학기술계 비정규직 해결의 모순2020.12.17
- 전혀 고려하지 않고 획일적으로 비정규직의 정규직화를 추진한 결과, 위에서 언급한 비정상적인 인건비 증가와 연구비 감소로 인한 연구능력의 저하 이외에도, 다양한 문제점들이 등장하고 있다. 첫째, 이미 오래전부터 한국사회에서 기업과 대학이라는 민간영역의 연구개발능력이 비약적으로 ... ...
- 2021년 첫 해 독도서 7시 26분 뜬다동아사이언스 l2020.12.17
- 대체한다. 부산시 해운대구는 2021년 1월 1일 해운대 해수욕장, 송정 해수욕장, 장산 정상, 청사포 다릿돌 전망대 등 해운대구의 해돋이 명소 4곳에서 해돋이 영상을 실시간 촬영해 유튜브를 통해 중계할 예정이다. *지역별 연말과 연초 일출·일몰 시각을 볼 수 있는 홈페이지 http://astro.kasi.re.kr/life ... ...
- 美 FDA, 18일쯤 모더나 코로나19 백신 승인여부 결정 동아사이언스 l2020.12.16
- 전문가들은 백신 긴급사용 승인으로 접종이 진행돼도 직장과 학교 등 일상생활을 정상적으로 되돌리기에는 얼마나 오랜 기간이 소요될지 불확실하다고 말한다. 미국 정부는 화이자와는 2억회분, 모더나와는 1억회분의 백신 선구매 계약을 체결한 상태다. 화이자와 모더나의 백신 모두 2회 ... ...
- [강석기의 과학카페](500회)항우울제 패러다임이 바뀔 수 있을까2020.12.15
- 시냅스를 형성하는 부위다. 케타민은 뉴런의 신경가소성(neuroplasticity)을 높여 신경회로의 정상기능을 회복시키는 약물이다. 지속적인 스트레스로 수상돌기 가시 일부가 파괴되면서 신경회로가 바뀌어 우울증이 유발됐는데 케타민이 이를 하루 만에 복원시켰다는 것이다. 게다가 복원된 ... ...
이전2082092102112122132142152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