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용
사용
응용
굴절
적용
끝바꿈
어미변화
뉴스
"
활용
"(으)로 총 15,092건 검색되었습니다.
맞춤형 나노소재 빠르게 개발하는 AI 연구실 등장
동아사이언스
l
2024.04.04
인해 연구를 지속적으로 하기 힘든 모든 기관들에서
활용
이 가능하다"면서 "AI 로봇을
활용
함으로써 소재 개발의 효율성을 높일 뿐만 아니라 새로운 화학지식을 탐구하는 데에도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 ...
뉴로모픽 컴퓨팅 구현?…디램·낸드 장점 합친 상변화 메모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4.04
물질로 파고들면서 기존 전극보다 훨씬 얇은 상변화 물질 구조를 형성한다는 사실을
활용
했다. 최 교수는 "새로운 소자는 패턴 공정 없이 자연스러운 화학 반응으로 기존 전극보다 훨씬 얇은 상변화 필라멘트를 생성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초저전력 상변화 메모리 소자에서는 ... ...
바이러스 진단용 항체, 식물 이용해 생산…민감도 100배
동아사이언스
l
2024.04.04
“향후 질병 진단용 시약 개발과 생화학, 분자생물학 등 다양한 기초연구에서
활용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플랜트 바이오테크놀로지’ 1월호에 게재됐다 ... ...
'호암상' 공학상 첫 여성…AI 전문가 이수인 워싱턴대 교수 수상
동아사이언스
l
2024.04.04
분야 발전에 기여한 세계적 권위자다. 양자컴퓨터, 우주 암흑물질 탐색 등 다양한 연구에
활용
되는 세계 최고 효율의 단일광자 검출기를 개발하기도 했다. 안타깝게도 삼성호암상 심사가 진행 중이던 지난 1월 세상을 떠났다. 의학상을 받은 박 교수는 차세대 유전정보 분석법으로 암세포를 ... ...
염색체 말단 '텔로미어' 메커니즘 규명…"항암 치료 전략에 도움"
동아사이언스
l
2024.04.03
어떻게 암을 개시하는지 생물물리화학적으로 접근하여 풀어냈다"며 "상분리 특성을
활용
해 항암 치료의 새로운 전략을 제시했다"고 설명했다. 이러한 결과는 암 뿐만아니라 다양한 텔로미어 이상 관련 질환 연구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핵산연구'에 최근 ... ...
소재 연구데이터 '생태계' 구축해 R&D 효율 높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4.03
플랫폼 연계를 추진한다. 끊임없이 생산되는 소재 데이터의 국내외 기관에서 상호 연계·
활용
활성화가 필요하다고 봤다. 또 데이터의 품질 및 보안 체계를 마련해 중요 데이터의 국외 유출 등을 사전에 방지한다. 셋째로 이용자 친화적인 서비스 제공을 위해 데이터 분석 서비스, 웹 기반 AI 개발 ... ...
대용량 수소 폭발 위험 낮춘 '수소 저장 소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4.03
각각 206%, 49.4% 증가한 새로운 LOHC 소재를 개발했다. 연구팀은 개발한 LOHC 소재를
활용
해 수소 모빌리티에 직접 안전하게 수소를 공급하거나 수전해 수소에 직접 저장할 수 있는 소재 등 맞춤형 LOHC 기술에 대한 후속 연구를 진행 중이다. 이영국 화학연 원장은 “이번 성과는 LOHC 기술의 핵심인 ... ...
스스로 전기 만들어 세포 배양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4.03
했다. 세포에 전달되는 전기자극 범위도 넓어져 연골세포 뿐 아니라 다양한 세포에
활용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개발된 통합형 전기자극 세포배양시스템(FESA)은 스스로 전기 에너지를 생성할 뿐 아니라 기존 세포배양 시스템보다 연골 세포의 증식과 분화 촉진 효과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 ...
인간 뇌 모방한 '뉴로모픽 신경망', 컴퓨팅 난제 해결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4.03
담은 '나노 레터스' 표지. KAIST 제공 국내 연구진이 뇌를 모방한 ‘뉴로모픽’ 신경망을
활용
해 컴퓨팅 난제를 해결했다. 뉴로모픽 신경망이 다양한 분야에서 활약할 가능성을 확인했다. KAIST는 최양규 전기및전자공학부 교수 연구팀이 실리콘 바이리스터 소자로 생물학적 뉴런의 상호작용을 ... ...
[과기원NOW] GIST, 당구공으로 '양자적 혼돈' 비밀 밝혀냈다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4.02
계의 복잡한 정도가 시간에 따라 어떻게 변하는지 정의하는 양이다. 연구팀은 복잡도를
활용
해 경기장 모양의 당구대에 존재하는 당구공의 양자역학적 동역학을 분석했다. 이번 연구는 시간의 흐름과 양자 상태에 무관한 기존의 양자 혼돈 판단 방법의 한계를 극복하는 동시에 양자 혼돈의 본질을 ... ...
이전
208
209
210
211
212
213
214
215
2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