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형상
형태
생김새
꼴
외형
모습
모양새
d라이브러리
"
모양
"(으)로 총 8,094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위상수학에서 찾은 우주의
모양
수학동아
l
2017년 09호
눈으로 볼 수 없다면 수학적으로 우주의
모양
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여기에 쓰이는 수학은 위상수학이다. 위상수학은 물체의
모양
이 바뀌어도 변하지 않는 성질을 연 ... 어떻게 생겼을까?Part 1. 아무도 모르는 우주의
모양
Part 2. 위상수학에서 찾은 우주의
모양
Part 3. 우주는 한 개가 아니다 .. ...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풀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8호
여기에 발음요소인 ‘솟아오를 용(甬)’이 더해져, ‘병이 들거나 다친 곳이 종
모양
으로 부풀어오른 것’을 나타내죠. 예전에는 바늘로 찌르듯이 아픈 신경통의 의미로 사용되다가 이후에 ‘아프다’는 뜻으로 널리 쓰이게 됐답니다 ... ...
[Origin] 개를 위한 예술?
과학동아
l
2017년 08호
선풍기 뒤로 숲 그림이 흐르게 장치를 만들고, 선풍기 앞에는 창문 부분이 뚫린 자동차
모양
의 판을 세웠다. 개가 창문으로 머리를 내밀면 마치 달리는 차에 올라탄 듯 휙휙 바뀌는 풍경을 보면서 선풍기 바람을 정통으로 맞을 수 있게 한 것이다. 선풍기 안에는 고기와 생선, 낡은 신발 등을 넣어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
과학동아
l
2017년 08호
증명한 셈입니다. 이후 과학자들은 여러 실험을 통해 세포가 분화해 특정한 기능과
모양
을 갖게 되는 것은 유전물질이 유실돼서가 아니라, 서로 다른 유전자가 발현되기 때문임을 밝혀냈습니다. 거든은 여기에 기여한 공로로 2012년에 일본 교토대 야마나카 신야 교수와 함께 노벨 생리·의학상을 ... ...
Intro. 수학으로 그린 꿈의 도시
수학동아
l
2017년 08호
9개 중 3개만이 중앙 광장과 연결됩니다. 도로를 막았으니 방어에 유리하겠죠. 이제 어떤
모양
으로 도시를 만들지 아이디어가 떠오르시나요?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수학으로 그린 꿈의 도시Part 1. 뻥뻥 뚫리는 도로 깔기Part 2. 소방서와 경찰서를 지어라!BREAK TIME. 우리 동네 소방서 집중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모터 없이 움직이는 배를 만들어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8호
시계방향으로 회전을 해야 하는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해야 하는지는 날개의 뒤틀린
모양
에 따라 다르다. 대부분의 배는 프로펠러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앞으로 가도록 날개가 비틀어져 있다. 만약 이 프로펠러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배는 거꾸로 가게 된다 ... ...
[과학뉴스] 수박
과학동아
l
2017년 08호
최근 인터넷에서 ‘수박모자이크병에 걸린 수박’이라는 사진이 화제가 됐습니다. 수박 속에 갈고리
모양
의 패턴이 보이면 감염된 수박이니 먹지 ... 않은지를 확인하는 것이 최선”이라며 “반으로 갈랐을 때 색이 어둡거나 태좌의
모양
이 눈에 띄면 먹지 않는 것이 좋다”고 말했습니다 ... ...
[과학뉴스] 식물과 두뇌의 성장이 유사하다?
과학동아
l
2017년 08호
공유한다는 성질이다.이전 연구에서 연구팀은 뇌 신경세포의 수상돌기와 축삭이 뻗은
모양
도 같은 함수로 표현할 수 있으며, 특성 역시 같다는 사실을 밝힌 바 있다.두 연구에 모두 참여한 찰스 스티븐스 연구원은 “뉴런과 식물의 가지가 이처럼 유사한 수학 규칙을 따라 자라는 이유는 뉴런과 식물 ... ...
[Future] ‘작은 것’들의 반란 나노카 레이스
과학동아
l
2017년 08호
MANA)의 님스마나 팀이다. 나노모바일클럽 팀의 나노카는 300개의 원자로 만든 아주 복잡한
모양
을 하고 있다. 하지만 아쉽게도 경기를 시작하자마자 경기장에서 튀어나가 전혀 달릴 수가 없었다. 대신 ‘가장 아름다운 나노카’ 상을 수상했다. 님스마나 팀의 나노카는 바퀴 없이 애벌레처럼 ... ...
[Issue] 돌보다 강한 콘크리트 아파트, 40년 만에 다시 짓는 이유는?
과학동아
l
2017년 08호
등은 고려하지 않았다. 하지만 최근에 짓는 아파트는 외관도 네모반듯한 대신 다양한
모양
으로 짓는다. 미관을 살렸을 뿐만 아니라 동선을 짧게 만들어 효율을 높였다. 또 최근에는 윗집과 아랫집 사이의 층간소음, 그리고 옆집과의 세대간 소음을 최소화하도록 건물을 짓는다. 1990년 후반에는 ... ...
이전
209
210
211
212
213
214
215
216
2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