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아래"(으)로 총 5,599건 검색되었습니다.
- 와인 잔에 든 맥주가 더 맛있다! 음료와 컵의 밀당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전용컵을 만들고 있다.‘잔’ 하면 떠오르는 와인글라스를 빼 놓을 수 없다. 입구가 좁고 아래가 넓은 튤립모양 의 잔을 가느다란 다리가 떠받치고 있는 모양이다. 얇고 투명한 재질로 되어있어 안에 담 긴 와인이 어떤 색인지도 감상할 수 있는 1석 2조의 효과가 있다. 와인글라스의 모양은 차가운 ... ...
- 왜 세 살 기억 여든까지 못할까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자서전적 기억으로 나누고, 내재기억은 절차적 기억이나 지각적 기억 등으로 나눈다(아래 참조).이 가운데 기억상실증의 대상이 되는 것은 삽화적 기억과 자서전적 기억이다. ‘5살 생일에 무슨 일이 있었나?’ 같은 자서전적 기억은 나이가 들면 거의 완전히 사라진다(기억나는 사람 손 들어보시라 ... ...
- Part 1 알아두면 더 재밌는 월드컵 이야기수학동아 l2014년 06호
- 본선 티켓의 수를 정한다. 2014년 월드컵에서 대륙별로 배정된 본선 티켓의 수는 왼쪽 아래 표와 같다. 개최국인 브라질은 예선과 상관없이 본선에 진출한다.그런데 표를 살펴보면 아프리카와 유럽을 제외한 나머지 4개의 대륙의 경우, 티켓의 수가 정수가 아닌 소수로 배정돼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런 ... ...
- 선택 2014, 무한도시 시장을 뽑아라!수학동아 l2014년 06호
- 한 것이다. 6명이 출마한 무한 시장 선거 투표용지를 교호순번제로 제작한다고 가정하면, 아래와 같이 총 6종류의 투표 용지가 필요하다. 무한도시 선거에서 더 공정한 선거를 위해 후보자의 순서를 아예 무작위로 배치하기로 했다면 그 경우의 수는 얼마나 될까? 이는 6명을 차례대로 줄 세우는 ... ...
- 700년 만에 깨어난 씨앗의 꿈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자연냉동이 가능하대. 또 해발 130m에 있는 영구 동토층에 있는 단단한 바위산의 120m 아래에 지어져 있기 때문에 지구온난화로 해수면이 높아져도 잠기지 않고, 지진이나 핵폭발도 견딜 수 있을 만큼 안전하대.여기서 언제까지나 잠만 자냐고? 그건 아니야. 지진, 전쟁, 테러 같은 위험한 일이 벌어져 ... ...
- 도박하면 대박? 수학으로 보면 쪽박!수학동아 l2014년 06호
- 점입니다. 2~12번 문항에서는 ‘예’에 체크하면 1점, ‘아니오’에 체크하면 0점입니다.※아래 검사에서 의미하는 도박은 친구끼리 하는 돈내기 게임과 경품 뽑기 게임 등을 모두 포함합니다. 도박을 하고 싶은 마음이 생길 때는 이렇게!➊ 주의 분산시키기도박 충동을 약화시키기 위해 다른 일 ... ...
- PART 1 - 과학기자가 예측한 브라질 월드컵과학동아 l2014년 06호
- 다르게 날아가는 경우다. B는 A보다 공 뒤에서 일어나는 역류(위 그림에서 흰 연기, 아래 그림에서 파란색)가 적다. 공기가 분리되는 지점(화살표)이 A보다 뒤에 있기 때문이다. 패널과 패널 사이의 ‘홈’이 분리점을 뒤로 보내는 역할을 한다. 역류가 적은 B의 경우, 뒤에서 공을 잡아당기는 힘(항력 ... ...
- 35.9% 지지율로 서울시장?과학동아 l2014년 05호
- 만족시키지 못한다. 가령 세 후보 A, B, C에 대한 유권자 20명의 선호도 투표 결과가 아래와 같을 때, A, B, C는 1위 표를 각각 7, 6, 7장 받았기 때문에 B가 배제된다. A와 C만 놓고 다시 정리하면 결국 당선자는 A가 된다. 만약 이 때 어떤 사정이 있어서 재투표를 하게 됐는데, 이미 A가 대세라고 생각한 C의 ... ...
- 에너지드림센터의 비밀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5호
- 전기를 만들기 때문이지요. 또 높이가 각각 다른 댐모형에 직접 펌프질을 하면 물이 아래로 떨어지면서 생기는 에너지의 양을 수치로 볼 수 있어요. 물이 위치한 높이가 높을수록 더 많은 에너지가 생긴답니다.풍력발전의 과정도 체험할 수 있어요. 각각 다른 모양으로 생긴 풍차를 바람으로 돌려 ... ...
- [시사] 김민형 옥스퍼드대 교수의 수학 산책 수의 본질수학동아 l2014년 05호
- 어떤 광자가 나올까?그 답은 L₁#L₂ 상태의 광자가 된다. 이것을 수식으로 표현하면 아래와 같은 꼴의 등식이 성립한다.P*(E₁#E₂)=L₁#L₂=(P*E₁)#(P*E₂)여기서 강조하고 싶은 것은 이 등식이 완전히 실험적인 사실이라는 것이다. 그런데 보통 수를 다룰 때 분배법칙은 덧셈과 곱셈의 차이를 결정한다. ... ...
이전2092102112122132142152162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