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적"(으)로 총 5,301건 검색되었습니다.
- [체험] 만화영화 감독에 도전하다! 애니메이션 기구 만들기수학동아 l2013년 11호
- 본 스탬퍼와, 벨기에의 물리학자 조셉 플래토가 1832년에 발명했다. 둘은 서로 교류한 적이 없이 각자 연구를 했지만, 같은 시기에 같은 장치를 만들었다. 스탬퍼가 개발한 페나키스티스코프는 실험2에서 살펴본 것처럼, 여러 개의 구역으로 나누어진 원판에 일정한 간격으로 구멍을 뚫어서 만든다. ... ...
- 노화 정복 꿈을 실현한다 (박종화 테라젠이텍스 연구소장)과학동아 l2013년 11호
- 하게 해야 사회가 건전해집니다. 예를 들어 의대 진학이나 벤처 창업이 돈을 위한 목적이라면 하면 안되는 것입니다. 돈을 좋아하면 파이낸스 전문가가 돼야 하는 게 아닐까요 ... ...
- 직업은 열정을 갖고 꿈을 실현시키는 것과학동아 l2013년 11호
- 과정의 일부로 여기느냐는 자신이 선택하는 거지요.”마지막으로 조 대표는 융합적인 사고를 주문했다. 전기자전거 회사를 운영하기까지 가장 중요한 역할을 했던 학문은 수학과 과학, 영어였지만, 결국 좋은 제품을 만들어 팔기 위해서는 경영학, 소비자심리, 사회문화 등 다양한 지식이 있어야 ... ...
- 5년을 몰입하면 인생이 재밌어진다 (박흥식 한국해양과학기술연구원 태평양해양연구센터장)과학동아 l2013년 11호
- 하고, 약간은 철학자가 돼야 한다는 것이다. 모든 것이 길고 늦고 오래 걸리는데 단기적인 사고방식으로는 자연과학에서 실패할 수밖에 없단다. “공학은 테크닉을 알면 되지만 자연과학은 테크닉보다는 주변을 보는 폭넓은 마음이 필요합니다.” 마지막으로 박 센터장에게 인생의 최종 목표를 ... ...
- 병원에서 귀신도 쫓나요?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누구도 그걸 부정할 수 없게 됩니다. 반박이 들어오면 제가 투명 드래곤을 옹호한 것처럼 적당히 가설을 만들어 우기면 됩니다.왜 세상을 그렇게 복잡하게 만드나요? 아까도 얘기했듯이 훨씬 더 간단한 설명이 있습니다. 그런 건 없다는 겁니다. 모르는 건 그냥 모른다고 받아들입시다. 억지로 상상의 ... ...
- 전자오락을 열심히 하다가, IT 전문가가 됐어요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키울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공학적인 문제들은 기술적으로 잘 풀립니다. 회사에서 필요로 하는 역량도 아주 고난이도는 아닙니다. 중요한 것은 어떻게 소통하는가 입니다. 자기가 아는 것을 다른 사람들에게 전달할 수 있는 역량이 기술 비즈니스 세계에서는 매우 중요한 ... ...
- 과학기술자가 창업하는 나라를 위해 (천종식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 / 생명과학 벤처 ‘천랩’ 대표)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보지요. 그러면 여러 인생이 보이고, 인생을 바꾸는 경험도 하게 됩니다. 실제로 만난 적 없지만, 글로 강연 동영상으로 만난 그 사람들이 제겐 스승입니다. 인생을 바꾸고, 사회에 공헌하며 더 많은 경험을 누리게 한 멋진 스승이요.” 실험실에서 연구만 하는 게 과학기술자가 살 수 있는 삶의 ... ...
- 수리온 하늘에 띄웠다. 다음은 민간 항공기다 (이대성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차세대중형항공기 사업단장)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마케팅 차원에서 꼭 협력이 필요하다고 했다. 지금까지 한국산 비행기를 만들어 본 적이 없는 ‘메이드 인 코리아’ 비행기의 판로 확보가 문제다. 또 비행기란 세계를 날아다니는 물건이다 보니 국가별로 서비스 망을 갖추는 것도 필요하다. 결국 초창기 사업은 외국과의 협력이 꼭 필요하다고 ... ...
- 금융 IT 산업, 새 시대를 열다! (유시완 하나은행 정보전략본부장)과학동아 l2013년 11호
- 궁금했었는데, 막상 사회에 나와 맡겨진 업무를 처리할 때마다 사물을 관찰하고 논리적인 사고를 하는 습관이 큰 도움이 됐습니다.” 이렇게 밝힌 그는 “특히 요즘 사회가 ‘융합형 인재’를 원하는 시대”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수학을 전공했다고 해서 인문학을 등한시하지 말고, 인문학을 ... ...
- 인도네시아로 날아간 GIST의 젊은이들 진화의 뿌리와 만나다과학동아 l2013년 10호
- 도전적인 자세를 요구했다. 이들과의 만남을 통해 그리고 여행을 통해 나는 지극히 수동적인 자세를 가진 자신을 발견하고 반성하게 됐다. 그래서 이 뒤로는 아주 사소한 것이라도 지도교수나 조교, 친구들과 서로 묻고 생각을 나누었다. 인터넷이 되는 곳이었다면 쑥스러워서 검색부터 해보았을 ... ...
이전2092102112122132142152162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