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형상
형태
생김새
꼴
외형
모습
모양새
뉴스
"
모양
"(으)로 총 3,843건 검색되었습니다.
[이강운의 곤충記] 직접 알을 품는 물장군의 부성애
2018.07.11
에 암·수가 자리를 잡은 후 무려 2시간 40분에 걸친 긴 산란. 윗부분이 움푹 들어간 좁쌀
모양
의 70여개 알은 무늬가 없는 에메랄드빛을 띠다가 노랑쐐기나방의 고치처럼 연한 노란색 바탕에 갈색 세로줄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노랑쐐기나방고치 - 홀로세생태보존연구소 제공 인간을 포함한 거의 ... ...
[지구를 위한 과학] 제돌이의 고향에서 남방큰돌고래 연구팀을 만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8.07.11
있었던 걸까요? “등지느러미의
모양
으로 알아볼 수 있어요.” 연구자들은 등지느러미
모양
을 비교해서 120마리에 이르는 돌고래를 구분할 수 있다고 해요. 매일 몇 시간씩 수년 간 돌고래를 관찰한 결과지요. 남방큰돌고래 무리를 발견한 이후부터는 이를 천천히 따라다니며 돌고래의 행동을 ... ...
통나무 때문에 주저앉은 차
팝뉴스
l
2018.07.11
쓰는 차에 거대한 통나무를 실었다. 운반비를 아낄 목적이었거나 가용한 트럭이 없었던
모양
이다. 차는 주저앉은 것 같다. 범퍼가 거의 땅에 닿은 상태다. 저런 상태에서 이동을 했다는 것이 놀랍다고 네티즌들은 말한다. 한편 더 이상한 일이 있다. 통나무를 차에 실었다는 사실이 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동물 다세포성의 기원에 대한 고찰
2018.07.10
뒤에도 두 세포가 떨어지지 않는다. 이런 식으로 세포들이 분열해 최대 50개로 이뤄진 공
모양
의 군체를 이룬다. 수정란이 발생과정에서 분열하는 것이 연상된다. 반면 개별 세포는 절대 하나로 뭉치지 않는다. 깃편모충류와 동물의 공동조상이 지금까지 동물에만 있는 것으로 알고 있었던 ... ...
계단으로 변신한 고양이
팝뉴스
l
2018.07.10
좀 특별하다. 변신술이 가능하다. 고양이는 계단으로 변신했다. 색깔이 비슷하고
모양
도 계단에 들어맞는다. 앞발을 몸에 착 붙인 것이 인상적이다. 정말 계단같이 보이고 싶었던 것만 같다. 카메라를 응시하는 눈빛의 의미는 뭘까? “어떻게 알았지?”일까 아니면 “뭘 이런 걸 찍어?”일까. ... ...
[2018년 필즈상] 미분기하학 분야 필즈상 0순위, 시몬 브렌들
수학동아
l
2018.07.09
특이점이 생길 때를 해결하지 못해서였습니다. 이 경우 그림①처럼 점이 아닌
모양
으로 축소돼 골칫거리였지요. 페렐만은 양쪽에 생기는 특이점 부위를 잘라 붙여 문제를 풀었습니다. 이게 말은 쉬워 보여도 복잡한 수식을 만족하게 잘라 붙이는 ‘수술’은 수학자도 혀를 내두를 정도로 ... ...
300만 년 전 ‘두발 보행’ 인류, 아기 땐 나무타기도 잘했을 듯
동아사이언스
l
2018.07.09
마치 사람의 엄지손가락처럼 움직임이 자유로웠다. 이는 무언가를 쥐는 데 적합한 발
모양
으로, 나무줄기를 발로 움켜쥐었다는 뜻이다. 또 발 한가운데에 있는 뼈인 설상골이 활처럼 위로 휘어 있었다. 발꿈치 끝에서 체중을 지탱하는 뼈인 발꿈치뼈결절도 덜 발달해 있었다. 모두 걷기보다는 ... ...
사람 몸의 혈관만 남기니
팝뉴스
l
2018.07.06
정교한 예술 작품처럼 보이기도 한다. 그러나 아니다. 사람의 핏줄만 보존하니 이런
모양
이다. 사진은 한 미국인이 테네시에서 열린 과학 전시회에서 촬영했다고 하는데,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큰 반향을 일으키고 있다. 많은 이들이 놀라움과 경외감을 표한다. “인간의 몸은 상상할 수 없이 ... ...
[카드뉴스] 세상에서 가장 작은 로봇이 말하는 당신의 건강은?
2018.07.05
구멍이 많고 속이 비어 있으며 표면 곳곳에 뿔이 난 수십 마이크로미터의 축구공
모양
초미세 입체 구조를 만들었다. 비록 관절을 움직이는 등 세부 동작은 할 수 없지만, 금속 코팅 덕분에 외부에서 자기장만으로 위치를 조종할 수 있다. 생체에 아무런 해를 끼치지 않은 채 혈관 등을 타고 이동해 ... ...
풍뎅이 껍질에서 아이디어...초미세 레이저 기기 탄생
동아사이언스
l
2018.07.04
모아 통제하면 레이저를 만들 수 있다. 연구팀은 이 장치를 머리카락 두께 크기의 공
모양
캡슐에 넣었다. 이렇게 완성된 기기는 몸 안에 자유롭게 주사할 수 있으며, 빛의 방향과 강도, 그리고 파장까지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김 교수는 “크기가 작고 안정성이 높아 체내에 주입할 수 ... ...
이전
209
210
211
212
213
214
215
216
2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