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고명
저명
명성
유망
우수
현저함
빼어난
뉴스
"
유명
"(으)로 총 2,459건 검색되었습니다.
[스페이스십2 폭발] 지상 100km 우주관광, 언제쯤 가능할까
2014.11.03
25만 달러(약 2억6790만 원) 수준. 안젤리나 졸리와 브래드 피트 부부, 스티븐 호킹 박사 등
유명
인사들의 예약이 줄을 선 상태다. ● 첫 우주여행선 발사 누가 할까 상업 우주여행에서 가장 앞서나가던 버진갤럭틱이 이번 사고로 주춤함에 따라 첫 우주여행선 발사를 두고 선두기업들 간의 경쟁이 ... ...
“진리와 지식을 갈구하는 진정한 과학자라면…”
2014.11.02
생명체의 조작과 복제를 넘어 제조가 시도되고 있는 21세기 바이오 시대에 생명은, 그
유명
한 상자를 들고 있는 판도라처럼 보이기도 한다. 그 상자를 열면 인류에게 큰 행복이 올 것이라는 기대만큼이나 전혀 예상치 못한 재앙이 닥칠 수고 있다는 우려도 있다.” 그리고 이런 알쏭달쏭한 생물학을 ... ...
요즘 아이들은 왜 이렇게 클까?
2014.10.27
없는 사람들에 비해 평균 키가 작다고. 헬리코박터는 위궤양과 관련된 박테리아로
유명
하지만 사실 이는 특정 균주에 한정된 현상이고 이 박테리아가 사람의 위에서 무슨 역할을 하는지는 아직도 확실히 밝혀지지 않은 상태다. 다만 식욕을 비롯해 대사조절에 관여하는 호르몬인 렙틴과 그렐린 ... ...
[이주의 과학신간] 붕어가 물 속에 살듯 우리는 ‘oo’ 속에 산다
2014.10.19
유니버스 (데이비드 보더니스 著, 글램북스 刊) 세계적인 베스트셀러 ‘E=mc2’로
유명
세를 탔으며, ‘이주의 과학신간’ 코너에서도 여러 번 소개하기도 한 수학자 겸 수학이야기꾼 데이비드 보더니스의 신간이 나왔다. ‘일렉트릭 유니버스’라는 책 제목답게 이야기는 인류와 전기의 동거가 ... ...
‘한국판 퀴리 부인’ 찾아보니…
2014.10.17
대학원에 와서 실험에 빠져 만화가의 꿈을 잊고 지내다가 만화를 그리는 과학자로
유명
한 정민석 아주대 의대 교수와 공동연구를 하게 된 일이 계기가 됐다. 이때부터 틈틈이 그린 만화가 지금까지 총 4편이다. 권 교수는 “국가 예산으로 진행한 연구인 만큼 대중에게 연구 내용을 알리는 일이 ... ...
12월부터 에볼라 감염자 1주일에 1만 명씩 는다
2014.10.15
이송된 켄트 브랜틀리 박사가 회복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유명
세를 탔다. Z맵을 개발한 미국 맵바이오파마큐티컬사는 공정을 수정해 지금까지 소량밖에 만들 수 없던 생산량을 늘릴 것이라 최근 밝혔다. 하지만 임상시험을 거치지 않은 신약인 Z맵을 환자에게 투여해도 ... ...
2014 노벨생리의학상은 ‘노르웨이판 퀴리 부부’에게
2014.10.13
를 발견한 신경과학자다. 특정 장소에서만 발화되는 뉴런이라서 이런 이름을 붙였다.
유명
한 교수 밑에서 연구할 수 있게 된 부부는 그러나 몇 달 안 돼 선택의 기로에 서게 된다. 트론헤임에 있는 노르웨이과학기술대에서 두 사람 다 조교수로 뽑을 의향이 있다고 알려온 것. 제안을 받아들이면 ... ...
[이주의 과학 신간] 리처드 뮬러의 그림으로 배우는 물리학 外
2014.10.12
刊) ‘대통령을 위한 물리학’ ‘대통령을 위한 에너지 강의’ 등 대통령 시리즈로
유명
한 리처드 뮬러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UC버클리) 교수의 새 책이 출간됐다. 이번에는 그림으로 배우는, 청소년을 위한 쉬운 물리학 교양서다. 길어야 한 페이지를 조금 넘기는 짧은 글은 읽기에 부담이 ... ...
노벨상 받은 '부산 싸나이'
과학동아
l
2014.10.01
받는다. 노벨상 수상자 중에는 온 가족이 노벨상을 받은 ‘노벨상 집안’이 있다.
유명
한 퀴리 부부다. 폴란드 출신의 마리 퀴리와 그의 남편인 프랑스인 피에르 퀴리는 1903년 라듐 연구로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퀴리 부부의 딸인 이렌 졸리오-퀴리와 사위 프레데릭 졸리오-퀴리도 1935년 ... ...
‘안젤리나 효과’는 계속 된다
2014.09.21
유전자’로 부르는 브라카1(BRCA1) 유전자는 2013년 5월 섹시함의 대명사였던 미국의
유명
배우 안젤리나 졸리가 자신의 두 가슴을 절제하고 본인의 의학적 선택을 미국의 유력매체 ‘뉴욕타임스’에 기고하면서 전 세계로 알려졌다. 이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있는 여성은 그렇지 않은 여성보다 ... ...
이전
209
210
211
212
213
214
215
216
2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