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구
설비
장비
기계
설치
기기
시스템
뉴스
"
장치
"(으)로 총 4,197건 검색되었습니다.
[프리미엄리포트]"박휘이따고훼서 곡종헸는대"…맞춤법 틀려도 해석이 되는 이유
과학동아
l
2019.08.10
안구의 미세한 움직임을 감지해 단어를 인지하는 방법과 속도를 조사하는
장치
다. 최 교수는 이 측정기로 사람이 단어를 인지하는 과정에 어떤 요소들이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하고 있다. 미세한 안구운동을 측정하기 위해 컴퓨터 모니터 앞에 고정된 안구운동측정기에 앉아 얼굴을 단단히 ... ...
NFL 선수와 메이저리거 앓는 병도 다르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09
공동 연구팀은 로체스터대 소속 미식축구 선수 38명의 중뇌 백질을 자기공명영상
장치
(MRI)로 촬영한 결과, 뇌진탕을 겪은 적이 전혀 없더라도 운동선수가 아닌 뇌진탕 환자의 뇌와 비슷한 손상이 일어났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 7일자에 발표됐다. ... ...
원전 안전문화 해이 어디까지…"한빛1호기 사건 한수원 안전문화 결여 원인"결론
동아사이언스
l
2019.08.09
등 4개 분야 26개 재발방지대책을 마련하기로 했다. 우선 원전 주제어실에 영상기록
장치
(CCTV)를 설치하도록 하는 행정명령을 내리기로 했다. 원전 주제어실이 소수 관련자만 근무하는 폐쇄된 공간이라 운전원 행위를 관리할 수 없다는 지적은 과거부터 이어져 왔다. 한수원은 2021년까지 모든 원전에 ... ...
폭염 속 전기 없어도 시원한 빌딩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09
팬 교수와 동료들은 ‘스카이쿨시스템즈(Skycoolsystems)’라는 회사를 창업해 광 복사냉각
장치
의 상용화를 준비중이다. 팬 교수는 “건물 내부의 열을 시스템에 전달하는 방법과 큰 빌딩에 적용할 수 있는 대규모 패널을 대면적으로 제작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며 “미래에는 전기에너지 없이 ... ...
스마트폰앱 버튼 누르니 뇌에 칩 심은 쥐가 움직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08
질병 치료 방법으로 주목받고 있다. 광유전학은 신경약물학과 관련된 뇌 연구에 쓰이는
장치
크기가 광섬유의 경우 125~200μm(마이크로미터, 1 μm는 백만 분의 1m), 금속 약물주입관은 250~500μm로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편이다. 뇌조직을 손상시키거나 정교한 선택적 신경회로 제어에 어려움을 준다. 또 ... ...
통신기기·GPS 망가뜨리는 우주재난 AI로 예측할 아이디어 찾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08
인해 미국과 한국을 포함해 가장 많이 사용하는 GPS나 통신기기처럼 전파를 사용하는
장치
들에 오류가 발생하면서 큰 피해가 날 수 있다. 통신과 GPS가 일상화된 사회와 경제에 미치는 피해가 크기 때문에 전세계적으로 우주환경을 미리 예측하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 한국도 2011년 우주전파센터를 ... ...
1000조분의 1초 단위로 나노입자 움직임 찍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07
UNIST 연구원(왼쪽)와 권오훈 UNIST 교수 뒤에 있는
장치
가 초고속투과전자현미경이다. UNIST 제공. 물질을 구성하는 원자나 분자는 가만히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끊임없이 움직인다. 원자나 분자의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포착하면 새로운 소재 개발에 도움을 줄 수 있다. 국내 연구진이 물질 ... ...
박호석 성대 교수 8월의 과학기술인상…‘포스포린’의 에너지 저장 가능성 입증
동아사이언스
l
2019.08.07
제공. 2차원 물질 ‘포스포린’의 에너지 저장 메커니즘을 규명해 에너지 저장
장치
로서 가능성을 입증한 박호석 성균관대학교 화학공학·고분자공학부 교수가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8월 수상자로 선정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에너지 소비가 많은 8월 친환경 신재생 에너지 개발 필요성이 ... ...
동물실험 대체할까…깜빡임까지 재현한 '눈 모사칩' 개발
연합뉴스
l
2019.08.06
있다. 장기칩은 플라스틱 위에 세포를 배양해 인체 조직이나 장기를 모사한 실험
장치
다. 최근 안구 표면 구조는 물론 눈 깜빡임까지 흉내 낸 눈 모사칩이 나와 안과 질환과 신약 연구에 도움을 줄 것으로 보인다. 허동은 미국 펜실베이니아대 바이오공학과 석좌교수는 안구 표면을 형성하는 ... ...
전국 10개 지역에서 찾아가는 과학관 순회 전시
동아사이언스
l
2019.08.06
같은 로봇제품을 관람하고 체험할 수 있다. 과학놀이터는 거중기, 자이로드롭와 같은
장치
를 통해 물리적 운동을 알아보는 작동체험존과 전시물을 직접 만지며 체험하는 놀이존, 생물∙광물과 관련된 과학을 알아보는 비교관촬존으로 구성된다. 과학교실에서는 우주슬라임 만들기, 천체관측, 3D펜 ... ...
이전
209
210
211
212
213
214
215
216
217
다음
공지사항